인지갈등 전략을 이용한 과학 개념변화에서 학습자 특성의 효과

The Effects by Learners' Characteristics on Scientific Conceptual Changes using Cognitive Conflict Strategy

  • 발행 : 2004.04.30

초록

과학교육에서 개념학습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히는 만큼, 개념변화에서 인지갈등의 역할은 크다. 그러나 과학교육 연구에서 인지갈등을 유발하는 방법이 과연 얼마나 효과적인지 다수의 인원으로 검증한 연구가 많지 많으며, 같은 상황임에도 학생에 따라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의 정도가 다른 원인에 대한 연구도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을 해결하여 인지갈등을 올바로 이해하고, 앞으로의 개념변화 학습에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에 미치는 학습자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대도시, 중소도시, 읍지역의 777명 남녀 중학생이며, 학습자 특성이란 과학 개념학습과 인지갈등 관련 문헌의 고찰과 과학교육 전문가 대상의 설문 조사를 통하여 대표적인 6가지 학습 변인으로서 지능, 인지수준, 성적, 인지양식, 성격, 과학에 관련된 태도등이다. 연구 결과, 인지갈등 전략에 의한 개념변화에서, 인지갈등의 정도는 성격과 태도 등 정의적 영역과 관계 있으며, 과학적 개념으로의 변화는 지능, 성적 등 지적 영역과 관계 있었다.

Cognitive conflic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towards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education. Many research were conducted on the topic, but they were limited and fail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conflict strategies for conceptual change on science instruction. It is worth noting that the levels of cognitive conflict varied the same given situation. Besides, the conceptual change resulted in different forms, despite the same level of cognitive conflict. Assuming that one explanation could be found in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gnitive conflict and scientific conceptual change by learners'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ognitive conflict will help science teachers to apply effectively the strategies towards science conceptual instruction. In this study, learners' characteristics are 'intelligence', 'cognitive level', 'general grade of science subject', 'cognitive style', 'personality', and 'attitudes related to science'. The results says; the intensity of cognitive conflict correlated with students' personality (reflectiveness) and attitudes related to science, and conceptual change correlated with intelligence and cognitive level.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동식, 김대영(2000). 인지갈등 수업모형이 대기압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1, 369-379
  2. 권난주(2000). 인지갈등에 의한 중학생의 과학 개념변화에서 학습자 특성의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권난주, 권재술(1998). 인지갈등을 통한 개념학습 절차 모형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 261-272
  4. 권재술(1991). 학문 중심 과학교육의 문제점과 생활 소재의 과학 교재화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 117-126
  5. 권혁구(1999). 과학학습에서 불일치 상황에 대면한 고등학생의 인지갈등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명련(1994). 인지갈등 수업전략이 중학생의 과학 개념변화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범기, 권재술(1995). 과학개념과 인지갈등의 유형이 학생들의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 472-486
  8. 김승익, 권난주, 권재술(1998). 중학생의 인지갈등 집단과 비갈등 집단의 과학개념 형성. 물리교육, 16, 83-90
  9. 김정환(1999). 과학학습에서 불일치 상황에 대면한 중학생의 인지갈등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지나(1997). 갈등 상황 제시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물리개념 변화.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문충식(1990). 전류에 관한 학생들의 오인 유형 변화의 종단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종원(1996). 학생의 선개념과 탐구 기능이 전기 실험 결과의 해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 222-238
  13. 박춘길, 권난주, 권재술(1998). 초등학생의 갈등유발 집단과 비갈등 집단의 개념 형성 정도 및 지속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 273-282
  14. 이영직(1998). 인지갈등에 의한 고등학생의 물리 개념변화.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이채은(1999). 갈등 상황 제시 유형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역학 개념변화.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임이숙, 박용운, 권재술(1998). 뉴턴 운동법칙에 관한 문제에서 갈등상황의 유형이 학생들의 인지적 갈등 유발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 473-484
  17. 전윤식(Cheon), 장혁표(1983). 집단잠입도형검사. 태화출판사
  18. 정완호(Cheong), 권재술, 최병순, 정진우, 김효남, 허명(1996). 과학수업 모형의 비교분석 및 내용과 활동유형에 따른 적정 수업모형의 구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 13-34
  19. 정진수(1994).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습자 특성에 따른 순환학습 모형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중앙교육진흥연구소 [Institute For Better Education](1997). 집단지필 지능검사
  21. 중앙적성 연구소 [ChunAng Aptitude Testing Service](1987). 표준화 성격진단검사
  22. 최돈형(1989). 중학생의 과학 활동과 과학학습 결과의 관계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허 형(1982). 인지능력과 인지양식과의 관계.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발표회 원고
  24. Chi, M. T. H., Slotta, J. D., & deLeeuw, N.(1994). From things to processes: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for learning science concepts. Learning and Instruction, 4, 27-43 https://doi.org/10.1016/0959-4752(94)90017-5
  25. Dreyfus, A., Jungwirth, E., & Eliovitch, R.(1990). Applying the 'cognitive conflict' strategy for conceptual change: Some implications, difficulties, and problems. Science Education, 74, 555-569 https://doi.org/10.1002/sce.3730740506
  26. Fensham, P. J., Gunstone, R. F., & White. R. T. (Eds.).(1994). The content of science: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its teaching and learning. London: Palmer Press
  27. Jones, G.(1990). Cognitive conflict and cooperative learn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ED 319 598
  28. Kwon, J. S.(1997). The necessity of cognitive,conflict strategy in science teaching.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ience education: Globalization of science education. Seoul, Korea, May 26-30
  29. Lawson, A. E., & Wollman, W. T.(1977). Cognitive level, cognitive style, and value judgement Science Education, 61, 397-407
  30. Lee, G., Kwon, J., Park, S., Kim,J., Kwon, H., & Park, H.(2003).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cognitive conflict in secondary-level science clas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6), 585-603 https://doi.org/10.1002/tea.10099
  31. McDermott, L.(1983). Critical review of research in the domain of mechanics. Research on physics education: Proceeding of the first international workshop (pp. 139-182). La Londe les Maures, France, June 26-July 13
  32. Mintzes, J. J. , Wandersse, J. H., & Novak, J. D. (Eds.).(1998). Teaching science for understanding: A human constructivist view. Academic Press
  33. Niaz, M.(1995). Cognitive conflict as a teaching strategy in solving in chemistry problems: A dialectic-constructivist perspectiv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 959-970 https://doi.org/10.1002/tea.3660320907
  34. Roadranka,V., Yeany, R. H., & Padillia, M. J.(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GALT). Paper presented at the 56th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Dallas, Texas, April
  35. Shipstone, M., Rhoneck, C., Karrqvist,C., Jung, W., Dupin, J., Johsua, S., & Licht, P.(1988). A study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electricity in five European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0, 303-316 https://doi.org/10.1080/0950069880100306
  36. Stavy, R.(1991). Using analogy to overcome misconceptions about conservation of matte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 305-313 https://doi.org/10.1002/tea.3660280404
  37. Thorley, R., & Treagust, F.(1987). Conflict within dyadic interactions as a stimulant for conceptual change in phys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9, 203-216 https://doi.org/10.1080/0950069870090209
  38. Vernon, P. E.(1958). Education and the psychology of individual differences. Harvard Educational Review, 28, 91-104
  39. Vygotsky, L.(1962). Thought and language. Cambridge, MA: MIT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