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과학 학습에서 EQ 향상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

The Effec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 발행 : 2004.04.30

초록

본 연구는 EQ(Emotional Quotient)향상 프로그램을 과학교과에 도입하여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의 능력을 향상시켜 보다 효과적인 과학교육을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EQ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EQ, 과학적 태도, 과학 불안도, 학업성취도에 어떤 효과를 주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안산시 소재의 중학교 1학년 남 녀 학생 168명이었으며 두개 학급은 전통적인 수업을, 두 개 학급은 EQ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EQ향상 프로그램은 한국교육 개발원의 수업과정 일반모형을 근거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 검사 통제 집단(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설계에 기초하였으며 약 14주간 42차시에 걸쳐 수업처치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이원공변량분석(2-way ANCOVA)과 상관분석으로 처리하였다. EQ향상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정서지능을 높이고 과학 불안도를 낮추는데 전통적 수업보다 효과적이었다(p< .05). EQ향상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전반적인 과학적 태도를 향상 시키데는 효과적이지 않았으나(p> .05) 그 하위 영역 중에서 '과학수업의 즐거움'의 영역에서는 효과적이었다(p< .05). EQ향상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은 전통적 수업에 비해 학업성취도를 향상 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p< .05). EQ향상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의 과학불안도를 낮추고 과학수업에 즐거움을 줄 수 있으며 따라서 학업성취도도 향상될 수 있음을 알았다.

An increasing number of educators emphasize the affective domain in learning. Affective and cognitive objectives interact and can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Good emotions and feelings assist students achieving optimally in the cognitive domain. Emotional intelligence harmonizes well with an affective science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EQ(Emotional quotient) improvement program on students' EQ, science achievement, the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science anxiety.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employed. Subjects were 168 male and female first grade students in a middle school. A control group was instructed with a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an experimental group was instructed using EQ improvement program. Two groups were treated for 42 hours during 14 weeks. Two way ANC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who received EQ program got higher EQ and their science anxiety was lowered than students who were in a control group(p<.05). EQ program was not significantly effective on science attitude than the traditional instruction but, in the domain 'the enjoyment of science class' it was effective(p<.05). EQ program was significantly effective on students' achievement than the traditional instruction(p<.05).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미자(1997). EQ와 수학의 학업성취도 및 EQ와 IQ의 상관성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 고영희, 김재복(1982). 수업전략. 배영사: 서울
  3. 곽윤정(1997). 정서지능의 발달 경향성과 구인타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4. 김경화(1987). 성 차에 따른 과학과 학습 태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5. 김은량(1991). 중 고등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6. 김진비 (2002). 과학불안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분석과 학생의 특성에 따른 과학 불안도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7. 박순옥(2001). 감성지능을 높이기 위한 미술교육 모델 연구. 전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8. 류광선(1999). 정서지능 향상 교육프로그램이 정서지능과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윤정민(1997). 중학생들의 기질이 과학태도 및 성취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논문
  10. 이일수(2000). 고교생의 감성지능과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의 관계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1. 임선빈, 조수연, 노성향(2001). 중학생을 위한 정서지능-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50가지 활동. 양서원: 서울
  12. 이재천(1992). 중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불안도 측정도구 개발 및 과학불안 경향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이정옥(2000). 정서지능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감정이입 및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전형렬(1999). 초등학교 아동의 정서지능 발달 및 정서지능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정홍섭(1996). 정서지능, 일반지능 및 정서안정도와 대학생의 적응과의 관계. 부산교육학연구, 9(1), 103-123
  16. 황재기(1998). 청소년의 감성지능과 학업성취, 적응행동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7. Czerniak, C. & Chiarelott, L.(1984). Science anxiety: an investigation of science achievement, sex and grade level factor. ED 243672
  18. Ediger, M.(1999). Affective Objectives in community college science. ED 436218
  19. Fraser, B. J.(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Handbook.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Macquarie University
  20. Golman, D.(1995). Emotional Intelligence. Brockmann Inc., USA
  21. Golman, D.(1996). 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Learning, 24(6), 49-50
  22. Mallow, J. V.(1986). Science anxiety: fear of science and how overcome it, Sunnydale, Blvd: H&H Publishing Co., Inc
  23. Maree, J. G., & Ebersohn, L.(2002).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Redefining giftendness?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16(3), 261-273 https://doi.org/10.1177/026142940201600309
  24. Mayer, J. D. & Geher, G.(1996).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identification of emotion. Intelligence, 22, 89-113 https://doi.org/10.1016/S0160-2896(96)90011-2
  25. Salovey, P. & Mayer, J. D.(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85-211
  26. Sutarso, T., Baggett, L. K., Sutarso, P., & Tapia, M.(1996). Effect of Gender and GPA on Emotional intelligence. ED40641O
  27. Westerback M. E.(1990). Science knowledge and the reduction of anxiety about teaching earth science in exemplary teachers as measured by the science teaching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5), 361-374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0.tb17225.x
  28. Wierzbicki, M.(1993). Use of MCMI subtle and obvious subscales to detect faking.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9(6), 809-814 https://doi.org/10.1002/1097-4679(199311)49:6<809::AID-JCLP2270490608>3.0.CO;2-S
  29. Wynstra, S. & Cummings, C.(1993). High school science anxiety. The Science teacher, October, 1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