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도를 이용한 고등학생의 개념 분화 유형 분석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Differentiation Patterns using Concept map

  • 발행 : 2004.04.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소화 개념을 주제로 고등학생들의 개념 분화 유형이 어떤 것이 있으며, 이 개념 분화 유형의 각각의 특징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24명의 고등학생들이 수업 전후에 개념도를 작성하였고, 이 중 19명을 표집하여 인터뷰, 간단한 쪽지 시험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이 작성한 개념도, 인터뷰 내용, 쪽지시혐의 결과는 학생들의 개념 분화 유형을 추출하기 위해 분석되었다. 소화 개념에서 개념 분화 유형은 3가지로 구분되었는데, 첫째 유형은 나열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유형에 속하는 학생들은 개념도의 작성에서 개념보다는 사례들을 많이 제시하고 있으며, 개념들 사이의 위계 관계가 분명하지 않고, 개념들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보였다. 두 번째 유형은 순서형이라고 부를 수 있는데 이 학생들은 학습의 순서에 따라 개념도를 작성하는 특징을 보였으며, 위계형보다 덜 조직화된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세 번째 유형은 개념의 위계에 따라 개념도를 작성하는데 위계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위계 형성의 정도는 차이가 많았다. 이들 세 가지 유형에 속하는 학생들은 수업 후에 모두 개념도를 보다 정교화 시켰으며, 순서형은 순서형과 위계형이 혼합된 유형 또는 나열형과 순서형이 혼합된 유형으로 바뀌는 사례가 많았으나 다른 유형에 속한 학생들은 개념 유형이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비춰볼 때 나열형에 속하는 학생들이 순서형이나 위계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도구들과 효과적인 수업 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리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identify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differentiation patterns on human digestion system. The subjects were 124 high school students and this group was guided to independently construct concept maps. Among them, 19 were selected for an in-depth interview and a short test. The concept maps, interview transcripts and the results of short-test were analyzed to identify conceptual differentiation patter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ainly three distinct conceptual differentiation patterns were identified. The first pattern can be named as an 'Free-flow type'. The group belongs to this pattern expressed numerous examples than meaningful concepts with unclear understanding of hierarchial relation between each concepts. Also, this group had difficulties in grasp interrelations of different concepts. The second pattern can be identified as 'Sequence type'. This group constructed concept maps by featuring conceptual sequence. The group applied meaningful learning, yet assembled concept maps primarily according to sequence of learning and exhibited less organized concept maps than hierarchial type. The third pattern can be named as 'Hierarchial type'. All students elaborated concept maps after lessons. The sequence type changed hierarchial type or sequence mixed with hierarchial type but free-flow type was hardly changed.

키워드

참고문헌

  1. 곽향란(1990). 중학교 생물교수 전략으로서의 개념도 적용.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강심원(1994). 인지양식에 따른 인지수준과 과학 탐구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3. 김경호(1996). 위계형 개념도식화 수업모형이 아동의 개념획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4. 심재호(1996). 식물 분류 개념에서 중학생들의 심리적 위계에 따른 수업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오영순(1997). 사려성-충동성 인지양식에 따라 귀납적 수업과 연역적 수업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6. 이순영(2000). 하이퍼미디어 학습 환경에서 개념도 유형이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7. 조재근(1999). 분자와 분자운동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유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8. Heinze- Fry, J. A., & Novak, J. D.(1990). Concept mapping brings long-term movement toward meaningful learning. Science Education, 74(4), 461-472 https://doi.org/10.1002/sce.3730740406
  9. Hunt, D.(1979). Learning styles and student needs: An introduction to conceptual leve l. In student learning styles: Diagnosing and prescribing programs. Reston, VA
  10. Johnson, P. & Gott, R.(1996). Constructivism and evidence from children' s ideas. Science Education, 80(5), 561-577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609)80:5<561::AID-SCE4>3.0.CO;2-9
  11. Jones , M. G., Rua, M. J., & Cater,G.(1998). Science Teachers’ Conceptual Growth within Vygotsky’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9), 967-985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11)35:9<967::AID-TEA2>3.0.CO;2-R
  12. Lloyd, C.(1990). The elaboration of concepts in three biology textbooks: facilitating student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10), 1019-1032 https://doi.org/10.1002/tea.3660271009
  13. Mason, C. L.(1992). Concept Mapping: A Tool to develope reflective Science Instruction. Science Education, 76(1), 51-63 https://doi.org/10.1002/sce.3730760105
  14. Novak, J. D., & Gowin, B., & Johansen, G. T.(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https://doi.org/10.1002/sce.3730670511
  15. Novak, J. D., & Gowin, B.(1984). Learning how to lear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Novak, J. D., & Wandersee, J. H.(eds.).(1990). Perspectives on concept mapp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10)
  17. Ruiz-Primo, M. A., & Shavelson, R. J.(1996). Problems and Issues in the use of concept maps in science assess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6), 569-600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8)33:6<569::AID-TEA1>3.0.CO;2-M
  18. Wilson, J. M.(1998). Differences in knowledge networks about acids and bases of year-12,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chemistry student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4), 429-446 https://doi.org/10.1007/BF02461508
  19. Witkin, H. A.(1973). The role of cognitive style in academic performance and in teacher-student relations, Unpublished Report, Prinston, N. J.: Educational Testing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