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적인 서술방식으로 구성된 과학 읽기 자료가 고등학생의 과학철학적 관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pretive Style Scientific Reading Materials on the Change of High School Students' Philosophical Viewpoints on Science

  • 발행 : 2004.04.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과학철학적 관점을 조사하고, 해석적인 서술방식의 과학 읽기 자료가 고등학생들의 과학철학적 관점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는 것이다. 대전광역시의 일반계 고등학교 여학생 4개 학급을 2개 학급씩 각각 실험, 통제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기존의 교과서에 나타난 확정적인 서술방식과는 다른 해석적인 서술방식의 과학 읽기 자료를 12주 36차시 분량을 개발했다. 과학 읽기 자료는 매 시간 10분에 걸쳐 투입되었으며, 자료의 이해를 돕기 위해 2개의 질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과학철학적 관점을 검사하는 도구로는 PPP (Philosophic외 Perspectives Prove)를 이용하였다. 고등학생들의 과학철학적 관점은 귀납주의적으로 편중되어 있었으며, 해석적인 서술방식으로 개발된 36차시 분량의 과학 읽기 자료를 학생들에게 처치한 결과, 학생들의 편중된 귀납주의적인 과학철학적 관점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24차시를 처치한 선행연구에서 변화된 관점이 어느 정도 회귀되었던 것과는 다르게 변화된 관점이 지속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pretive style reading materials on high school students philosophical viewpoints on scienc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37 girl students in four classes of a high school located in Daejeon city. The class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administered a series of the reading materials over thirty-six sessions. Additionally, PPP(Philosophical Perspectives Prove) was used in order to assess students philosophical viewpoints on scienc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interpretive style reading materials takes effect on the change of students philosophical viewpoints on science. At the initial stage, a number of students exhibited viewpoints inclined toward inductivism. As time goes by, however, viewpoint of inductivism was decreased and view of falcificationism and view of relativism were increased.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intervention was stabl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준태, 권재술(1994). 학습자의 인지 특성에 따른 학습지속 효과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화회지, 14(1), 70-84
  2. 김희백, 이선경(1997). 과학교사의 과학 및 학교과학에 대한 신념과 실험실 환경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4), 501-510
  3. 소원주(1998). 과학 교사의 과학철학적 관점과 과학 서술방식이 중학생들의 과학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4. 송진웅, 정병훈, 권성기, 박종원(1997). 현대 과학철학자들의 저술에 나타난 과학교육의 이미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2), 209-224
  5. 우종옥, 소원주(1995). 과학인식론의 일부 주제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견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3), 349-362
  6. 이기영(1998). 과학사를 이용한 지구과학 개념학습 지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7. 조정일, 주동기(1996). 과학교사들의 과학의 본성에 관한 관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2), 200-209
  8. 한지숙, 정영란(1997). 중.고등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2), 119-125
  9.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A Project 2061 repor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0. Hodson, D.(1988). Toward a philosophically more valid science curriculum. Science Education, 72(1), 19-40 https://doi.org/10.1002/sce.3730720103
  11. National Research Council.(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c Press
  12. Sutton, C.(1993). Figuring out a scientific understand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10), 1215-1227 https://doi.org/10.1002/tea.3660301005
  13. Sutton, C.(1996). Beliefs about science and beliefs about langua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Teaching, 30(10), 1215-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