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한국 - 이스라엘 과학교사 연수프로그램의 효율성

What Makes Korea-Israel Science Teachers Inservice Program for Fostering Learners' Creativity Effective?

  • 발행 : 2004.04.30

초록

본 연구는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한국-이스라엘 과학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분석한 구체적 결과를 근거로 향후 보다 효율성이 높은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연수개선 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교육 현황에 대한 이해, 및 저해요인 등에 대한 이해수준의 분석을 통해 연수 프로그램의 내용을 선정하고 수업방법 등에 대한 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들의 창의성에 대한 이해수준을 심화시킬 수 있는 내용을 확대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연수시 창의성 계발 교수방법이 모범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수업관찰 및 분석을 위한 내용이 충분히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이스라엘의 문화와 교육체제에 관련된 내용은 축소하여야 할 것이다.

The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Korea-Israel science teachers inservice program. Thirty scien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service program responded to pre- and post tests of the survey instrument on (a) their perceptions to creativity fostering science education and understandings of current education status and reform movement, (b) degrees of changes about understanding of creativity and implementing teaching methods for fostering creativi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c) their evaluative opinions on the program.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program were proposed as follows: First, a pre-service workshop for the program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clearly realize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program through increase of participating teachers' understanding of facing conditions of education, school policy, reform movement toward science education fostering creativity. Second, for the content of the program, creativity is more emphasized. Appropriate content and sufficient time arrangement for creativity will develop teacher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reativity in depth. Third, classroom observation of exemplary science teaching for fostering creativity should be sufficiently arranged. Fourth, amount of content and time allotment to Israel culture, religion, and education system should be reduc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곤, 김인호, 정계준, 김봉곤, 구인선(1991). 과학교사 재교육의 개선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1), 97-115
  2. 박윤배(1992). 현직교사들이 바라는 중등과학 교사의 특성과 사전교사교육과정,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103-118
  3. 박종렬, 서혜애, 김순남(2002).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 사이버 연수 운영의 행.재정적 지원체제에 대한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19(3), 79-103
  4. 서혜애, 조석희, 박성익 (2001). 창의성 계발 교육 실태분석 및 전략 구안. 연구보고 RR2001-6. 한국교육개발원 : 서울
  5. 이강열(1998). 창의성 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향. 경기도교육연구원
  6. 이학동, 손연아, 노경임, 송진웅(1996). 과학교사의 양성.임용. 재교육에 대한 개선 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1), 103-120
  7. 조연순(2001).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창의성 계발 교육 전략 연구 세미나, 연구자료RM 2001-32. 한국교육개발원 : 서울
  8. 조정일, 박현(1999). 과학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대안적 현직교육 프로그램의 개발-STS/구성주의 모률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340-352
  9. 최경희, 조연순. 조덕주(1998).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교육과정연구 :현행 교육과정과 수업현장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149-160
  10. 최경희(1999). STS(Science-Technology-Society) 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에 관한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1), 100-106
  11. 한복수(1995). 과학교사 국내 연수의 현황과 개선 방안: 전문성 신장을 위한 과학교사 연수의 혁신 방안. 한국 과학교육위원회. 27-38
  12. 허경철, 김흥원, 임선하, 김명수, 양미경 (1991)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V) . 한국교육개발원: 서울
  13. 홍성일, 우종옥, 정진우(1995). 과학교사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3), 241-249
  14. Arieti S.(1976). Creativity: The magic synthesis. NY: Basic Books
  15. Cha, H. & Yager, R(2003). Effectiveness of the Korean scien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concerning the teacher conceptions on constructivism and S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3(4), 341-359
  16. Corcoran, T.(1995). Transform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A guide for state policy makers. Washington, DC: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17. Cropley, A.(1997). Fostering creativity in the classroom: General principles. In: M Runco (ed.), The creativity research handbook, (pp. 81-112). Cresskill, NJ: Hampton Press
  18. Csikszentmihalyi, M. & Wolfe, R.(2000), New conceptions and research approaches to creativity: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 for creativity in education In: K. Heller, F. Monks, R. Sternberg, & R. Subotnik (eds.) International handbook for research on giftedness and talent (pp. 81-93). Oxford: Pergamon
  19. Garet, M., Poter, A., Desimone, L., Birman, B., & Yoon, K.(2001). What make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ective? Results from a national sample of teacher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8(4), 915-945 https://doi.org/10.3102/00028312038004915
  20. Guilford, J. P.(1950),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 444-454
  21. Hiebert, J.(1999).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 and the NCTM standard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0(10), 3-19 https://doi.org/10.2307/749627
  22. Dacey, J. & Lennon, K.(1998), Understanding Creativity,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 10-12
  23. Loucks-Horsley. S., Hewson, P., Love, N., & Stiles, K.(1998). Design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of science and mathematics. Thousand Oaks, CA: Corwin
  24. Soh, K.(2000). Indexing creativity fostering teacher behavior: A preliminary validation stud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34(2), 118-134
  25.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1),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4, 1-31 https://doi.org/10.1159/000277029
  26. Sternberg, R. J.(1994).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7. Torrance, E. P.(1962). Guiding creative talent. Ea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8. Urban, K.(1995). Creativity-A component approach model. A paper presented at the 11th World Conference on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Hong Kong: July 31-August 4, 1995
  29. Woolfolk, A.(1995). Educational Psychology. (6th ed.), London: Allyn and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