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STS 모듈 및 그 평가 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STS Modules Reflecting Korean local Concerns and Their Evaluation Tools

  • 발행 : 2004.04.30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이라는 지역적 상황에서 고유하게 제기되는 과학-기술-사회 문제들 중 네 가지 과학-기술-사회 관련 문제를 주제로 한 한국의 지역적 관심을 고려한 STS 모듈과 그 모듈이 학교 현장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절한 과정 평가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STS 교재 개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듈은 모듈 1. 보신식품, 정말 먹어야 하나요?, 모듈 2. 외래종과 토착종의 생존경쟁, 모듈 3. 시화호의 교훈, 모듈 4. 음식물쓰레기, 돈이라면 버리시겠습니까? 등 네 가지이다. 각 모듈들마다 고유한 방법으로 학생 활동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과정평가 방법을 준거형과 서술형의 두 가지 형식으로 새로 개발하여 도입하였는데, 이는 과학 수행평가 방법에 관한 아이디어가 절실히 필요한 일선 과학교사들에게 평가 방법의 아이디어 뱅크 역할도 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STS modules which consider the local concerns of Korean society and their authentic evaluation instruments. Their titles are as follows: 'Health-Aiding Foods, are they necessary?', 'Competition between Alien and Native Species', 'Living Lesson of Lake Shihwa', and 'Problems of food wastes; Would you like to throw them away, if they are money?' All of them deal with issues unique to Korean local situations. Each module consisted of two versions; a student worksheet and a teachers' guide. Students' activities were categorized into six processes such as group activities, investigation, discussion and presentation, experiments, field trip, and multiple intelligence activities. Various assessment tools and abilities for the decision-making in their STS classes were also included. In order to validate these modules, 24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science, bi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 in the secondary schools reviewed these modules and provided feedbacks about their validity and usefulness. We expect that the various rubrics included in each module will provide teachers creative and flexible assessment methods for students' understandings and their decision-making abilities toward the issu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순자, 권주희, 여성희(1999). 법률학적 모형에 의한 STS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248-255
  2. 강순자, 정영란, 강혜자(1997) . STS 자료를 이용한 중학교생물과 수업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5(2), 235-242
  3. 강순자, 최경희, 이정애(1994). STS 자료를 이용한 생물수업이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학회지, 22(2), 225-236
  4. 권회진(1993). 고등학교 생물 STS 학습지도 자료 개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관수(1992). 국민학교 6학년 아동들의 환경보전 교육을 위한 STS 교수-학습모형의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부연(2000). STS적 접근에 따른 공통과학 수업이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영성, 이문남(1994).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 및 STS 에 대한 인식도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330-343
  8. 김윤정(1996). 환경교육을 위한 STS 프로그램 개발 및 환경에 대한 태도 조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형섭(2000). 초등학교 실과 환경교육에서 물과 흙에 관한 STS 수업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중희(1996). 중등학교 과학 교사의 STS교육에 대한 인지도 수준에 관한 연구 -강원도내 과학 교사 줌심으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정완호, 권용주, 김영신(1993). STS 교육운동의 국내 연구 경향 분석과 적용 방안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1), 66-79
  12. 조성업(1998). 초등학생의 토질환경 교육에 관한 STS 수업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차희영(1996). 생물교육에 있어서 STS 프로그램의 개발. 과학교육, 378, 60-78
  14. 최경희, 김추령(1995). STS 수업방법과 전통적 수업방법에 의한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및 과학과 관련된 태도변화에 관한 연구. 물리교육, 13(1), 17-22
  15. 한정륭(1993). 콜로이드 용액에 대한 STS적 교재개발과적용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Blunck, S. M., Giles, C. S., & McArthur, J. M.(1993). Gender differences in the science classroom: STS bridging the gap. In RE. Yager(Ed.),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 Vol. 7, the science, technology, society movement. Washington, DC :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pp. 153-160
  17. Holman, J.(1987). Resources or courses? Contrasting approaches to the introduction of industry and technology to the secondary curriculum. School Science Review, 68, 432-438
  18. Lochhead, J., & Yager, R. E.(1996). Is science sinking in a sea of knowledge? In R. E. Yager (Ed.) Science/Technology/Society as reform in science education.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25-38
  19. Lutz, M.(1996). The congruency of the STS approach and constructivism. In R E. Yager (Ed.) Science/Technology/Society as reform in science education.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219-226
  20.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1999-2000). Science/Technology/Society: A new effort for providing appropriate science for all. in NSTA Handbook. Washington, D.C.: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1. Newmann, F. M., & Archibald, D. A.(1992). The nature of authentic academic achievement. In Harold, B. & Newmann, F. M., Toward a New Science of Educational Testing & Assessment (pp.71-83). SUNY Press
  22. Yager, R. E.(1986). Restructuring scien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s the move toward an S/T/S focus. In R.K. James (Ed.)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Resources for science educators. Columbus, Ohio: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Teachers in Science and AMEAC Information Reference Center. pp. 46-55
  23. Yager, R. E.(1991). The Constructivist Learning model: Towards real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Science Teacher, 58(6), 52-57
  24. Yager, R. E.(1993). Science/Technology/Society and teacher education: Solutions for problems of diversity and equity. In M.M. O' Hair and S.J. Odell (Eds.), Diversity and teaching: Teacher education yearbook I.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College Publishers. pp. 243-268
  25. Yager, R. E.(1996). Science/Technology/Society as reform in science educ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Albany
  26. Yager, R. E., & Tamir, P.(1992). The STS approach: Reasons, intentions, accomplishments and outcome. Science Center, The University of Iow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