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purpose Dam Operation Models for Flood Control Using Fuzzy Control Technique ( I ) - Development of Single Dam Operation Models -

퍼지제어모형을 이용한 다목적 댐의 홍수조절모형( I ) - 단일댐의 운영모형 개발 -

  • 심재현 (국립방재연구소 토목연구관) ;
  • 김지태 (연세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허준행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토목) ;
  • 김진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4.03.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ingle dam operation models for flood control using Fuzzy control technique, which can improve flood controllability. We set control rules by water level and inflow, and developed three models Fuzzy I, II, III according to rule to decide outflow. Fuzzy I model consists of six rules considering only flood control and Fuzzy II model considers the effect of water use by increasing water level at the end of flood control period as well as flood control during the same period. Finally, Fuzzy m is an adaptive model designed to perform multipurpose dam operation for both flood control and water use simultaneously based on a control rules.

본 연구에서는 치수방재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단일댐운영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제어기법은 퍼지제어 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모형은 저수지 수위와 유입량을 기준으로 제어규칙을 설정하였으며 방류량을 결정하는 제어기준에 따라 Fuzzy I, II, III의 세가지 모형을 개발하였다. Fuzzy I 모형은 6개의 제어규칙에 의해 홍수조절만을 고려한 것이고, Fuzzy II 모형은 I 모형의 치수효과를 가지면서도 홍수후의 저수위를 상승시켜 이수적인 효과도 얻기 위한 모형이며, Fuzzy III 모형은 적응제어모형으로 제어규칙을 9개로 세분화하여 치수효과와 이수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도록 한 모형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석구, 이광만, 이한구(1997). '양해 추계학적 동적계 획법에 의한 저수지 운영률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 30권 제3호, pp.257-268
  2. 권오익, 섬명필(1997). '다목적 댐의 홍수기중 가변제 한수위 결정 방안'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0 권 제6호, pp.709-721
  3. 김양수(1994). '홍수시 저수지 운영방법의 고찰-Technical ROM을 중심으로-.' 한국수문학회지, 제27권 제4호, pp.14-18.
  4. 심재현(1993), 유수지 배수펌프장의 적정 운용을 위한 퍼지제어모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이길성, 전경수(1986). '홍수시 소양강댐 및 화천댐의 최적운영을 위한 시뮬레이션 ' 한국수문학회 논문집, 제6권 제 l호, pp.13-24
  6. 小尻利治外2 名(1987), 'ファジィ制御によるダム貯水 池の實時間操作に關する硏究' 京都大學防災硏究 所年報,第30號 B-2, pp. 323-339
  7. Kosko, B.(1992), Neural Networks and Fuzzy systems, Prentice Hall, pp. 1~11, pp. 299-338
  8. Zadeh, L. A.(1965), 'Fuzzy sets', Information and Control, vol. 8, pp.338-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