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사 박물관 관람객의 관람유형과 관람만족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s and Satisfactions of Visitors at Natural History Museum

  • 최지은 (청주교대 과학교육연구소)
  • Choi, Ji-Eun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발행 : 2004.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사 박물관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들의 관람 유형과 관람 만족도 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전국 소재 초, 중, 고 학생, 교사, 학부모, 그리고 대학생들 204명이었고, 연구 결과는 교차 분석과 카이 제곱 검증 등을 통해 검증되었다. 구체적으로 자연사 박물관 관람의 지배적인 행동 유형을 알아본 후, 그 다음 이것과 관람 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지배적인 관람 행동 유형은 '가족 단위'의 관람, '여가와 단순 관람'의 목적, '설명카드'를 읽으면서 관람하는 방식, 그리고 평균 '2시간 이상'의 관람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행인이 가족과 혼자인 경우, 과학에 대한 관심으로 관람하는 경우, 설명카드나 설명을 들으면서 하는 관람 등은 관람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다. 셋째, 학교 단체 관람객, 여가 및 단순관람의 목적, 과제탐구의 목적 그리고 전시물만 보는 관람방식은 관람 만족도가 낮은 편이었다. 넷째, 관람 시간이 길수록 관람 만족도가 높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s' behavior and their satisfaction at Natural History Museum (NHM). This study involves 204 participants includ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ir teachers and parents, and university students from Korea. The results are tested using crosstabs and chi-squar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ominant behavior involves visiting with family, visiting for leisure and just visiting, viewing exhibits utilizing explanation cards, and visiting for over 2 hours. Seco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tends to be high in visiting with family or alone, visiting for interest in science, and viewing exhibits utilizing explanation cards or explanation by a parent, teacher, or a guide. While, third, the degree of satisfaction tends to be low in visiting with a school group, visiting for leisure/just visiting, or visiting for homework research, and viewing exhibits without any guidance. Forth, the relationship between length of visits and degree of satisfaction is positively significant.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상달, 1983, 학생과학관 운영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5 p
  2. 박승재 등, 2000, 청소년 학교 밖 과학활동 진흥방안 연구. 과학기술부, 정책연구 2000-18, 98 p
  3. 송진응, 2002, 청소년 학교 밖 과학활동 지원 시설에 대한 실태 조사 및 DB구축. 한국과학문화재단, 2002-075, 57 p
  4. 이기우, 1996, 시.도 과학교육원의 운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4 p
  5. 이병훈, 1997, 자연사박물관과 생물다양성. 사이언스북스, 서울, 30 p
  6. 이윤경, 1990, 체험학습을 위한 과학관 전시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3 p
  7. 이태호, 1997, 현단계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진단과 전망. 교육철학, 18, 27-53
  8. 정순지, 1984, 과학관 전시연출의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사관 금속공예실 전시 공간 계획.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9 p
  9. 최고운, 1996, 과학관 이용자 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4개 과학관의 전시실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0 p
  10. 최지은, 2004, 자연사 및 자연사 박물관에 대한 국민 인식 연구. 과학교육학회지. (심사중)
  11. Beiers, R.J. and McRobbie, D.J., 1992, Learning in interactive science center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2, 38-44 https://doi.org/10.1007/BF02356877
  12. Dieking, L.D. and Falk, J.H., 1994, Farnily behavior and learning in informal science settings: A review of the research. Science Education, 78 (1), 57-72 https://doi.org/10.1002/sce.3730780104
  13. Falk, J.H., 1991, Analysis of the behavior of farmily visitors in natural history museums. Curator, 34 (1), 44-50 https://doi.org/10.1111/j.2151-6952.1991.tb01454.x
  14. Falk, J.H., 1983, Field trips: A look at environmental effects on learning.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17 (2). 137-142 https://doi.org/10.1080/00219266.1983.9654522
  15. Flexer, B.K. and Borun, M., 1984, The impact of a class visit to a participatory science museum exhibit and a classroom science less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1 (9), 863-873 https://doi.org/10.1002/tea.3660210902
  16. Hein, G.E., 1995, The constructivist museum. Journal of Education in Museums, 16, 21-23
  17. McManus, P.M., 1987, It's the company you keep: The social determination of learning-related behavior in a science museum. International Journal of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6, 263-270
  18. McManus, P.M., 1988, Good companions: More on the social determination of learning-related behavior in a science museum. International Journal of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7, 37-44
  19. NMNH, 1993, Mission statement and annual report.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20. Randol, S.M., 2003, The effect of a previsit activity on the quality of inquiry at museum exhibits. NARST
  21. Sandifer, C., 1997, Time-based behaviors at an interactive science museum: Exploring the differences between weekday/weekend and family/nonfamily visitors. Science Education, 81, 689-701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711)81:6<689::AID-SCE6>3.0.CO;2-E
  22. Stronck, D.R., 1983, The comparative effects of different museum tours on children's attitudes and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 (4), 283-290 https://doi.org/10.1002/tea.3660200403
  23. Wright, E.L., 1980, Analysis of the effect of a museum experience on the biology achievement of sixth-grad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7 (2), 99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