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과학과 '지구'분야의 ICT 활용 수업모듈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struction Module Using ICT on Earth Field at Elementary School Science

  • 발행 : 2004.08.30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을 위한 ICT 활용 수업모듈의 개발과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 첫째, ICT 활용 수업모듈을 활용한 집단은 전통적 집단에 비해 과학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ICT 활용 수업모듈을 활용한 집단은 전통적 집단에 비해 자기주도적 학습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특히, 자기주도적 학습특성의 하위요소인 개방성, 자아개념, 솔선수범, 미래지향적 자기이해, 창의성, 자기 평가력에 대해서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자기주도적 학습특성의 하위요소인 학습열성, 책임감에서는 향상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ICT 활용 수업모듈을 활용한 집단은 전통적 집단에 비해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이를 세부적으로 보면,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유창성, 독창성에서는 향상을 보이고 있으나 융통성에서는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 module using ICT on earth field at elementary school science. The effects by 5th graders appeared as follows; First. ICT-applied teaching method proved to enhance the science teaming achievement regardless of their grades compared to the ordinary one. Second, Instruction module using ICT devoted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at all grades by comparition of the ordinary teaching method. The 5th graders showed the improvements in the fields of' openness', 'self-conception', 'initiative', 'future inclination', 'creativity', 'self-assessment ability' all of which belong to self-directed teaming characteristics. They did not, however, show meaningful effect on improving 'learning eagerness' and 'responsibility' improvement. Thirdly, ICT-applied teaching method proved that it is more effective for developing 'creativity' than the ordinary one at all sample grades. The effectiveness was presented highly at 'fluency', 'originality' all of which belong to creativity. They did not, however, show meaningful effect on improving 'flexi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주, 2000, 지구과학 해양분야 학습을 위한 WBI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7 p
  2. 교육인적자원부, 2003,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5-1.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9 p
  3. 김상달, 1995, 제 6차 교육과정의 공통과학 및 지구과학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 부산대 과학교육연구보, 22, 123-150
  4. 김상달, 이용섭, 김종희, 2004,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ICT 활용 수업자료의 효과. 한국지구과학회 25 (5), 7
  5. 김희수, 2002, 웹기반 지구과학교육에서 가상현실 기술의 활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3 (7), 531-542
  6. 손은미, 2003, 중학교 과학과 암석 분야의 ICT 활용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과학태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5 p
  7. 이용섭, 2004, 초등학교 과학과 '지구' 분야의 ICT활용 수업 모듈 개발과 그 효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눈문, 52 p
  8. 주국영, 2001, 과학과의 수준별 WBI가 자기주도적 학습특성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7 p
  9.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학교에서 e-Learning의 이해와 활용 방안. 5 p
  10. Edwards, D.J., Bryon, D., and Sowerbutts, B., 1996, Recent advances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courseware within earth science teaching.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4 (3), 309-314 https://doi.org/10.5408/1089-9995-44.3.309
  11. Guglielmino, L.M.,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38 p
  12. Joseph, G.R., Martinez, P.A., and Nancy C., 1999, Teacher effectiveness and learning for mastery, master teachers; mastery learning; group work in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2 (5), 279 https://doi.org/10.1080/00220679909597607
  13. Krajcik, J., Simmons, P., and Lunetta, V., 1988, A research strategy for the dynamic study of students' concepts and problem solving strategies using science softwar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5 (2), 147-155 https://doi.org/10.1002/tea.3660250206
  14. Smaldino, S. and Thompson, C., 1990, Infusion of science software: Applying Gagne's strategies. Journal of Computers in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ing. 9 (3), 17-22
  15. Torrance, E.P. and Myers, R.E., 1970, Creative Learning and Teching. New York, Dodd, Mead and Company. 35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