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유형별 구강건강실태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oral health status for each type of Disabilities

  • 고미희 (대전보건대학 치위생과)
  • Ko, Mi-He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aejeon Health Science College)
  • 투고 : 2004.06.08
  • 심사 : 2004.06.15
  • 발행 : 2004.06.30

초록

본 연구는 정신지체아동, 뇌성마비아동, 자폐아동의 치아우식 경험과 구강위생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3개의 특수학교(정신지체특수학교, 지체장애특수학교, 정서장애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만 8-13세의 99명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통계처리하였고, 장애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도 조사하였다. 1. 장애유형별 치아우식경험을 조사한 결과 장애유형별로 치아우식경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집단간 평균의 차이는 나타났다. 치아우식경험의 평균은 정신지체아동집단이 4.70, 뇌성마비아동집단이 4.58, 자폐아동집단이 3.67으로 정신지체아동집단이 가장 심한 치아우식경험을 나타냈고, 자폐아동집단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장애유형별 구강위생상태를 조사한 결과 장애유형별로 구강위생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장애유형별 평균을 비교해 보면 정신지체아동집단이 32.30, 뇌성마비아동집단이 35.00, 자폐아동집단이 27.79로 뇌성마비아동이 구강위생상태가 가장 좋지 않으며, 그 다음으로 정신지체아동, 그리고 자폐아동의 구강위생상태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위생상태는 구강위생 관리능력지수와 유두변역부착치은염지수로 측정하였다. 지금까지 결과를 통해 볼 때 장애유형별로 공통적으로 치과 질환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며 치과질환이 발생하면 치료받는 것이 비장애 아동에 비해 많은 인력과 시간과 경제적 부담과 노력이 요구됨에 따라, 근본적인 대책으로 장애아동의 정기적인 치아관리를 위해 학교에서의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을 도입시키고 지원하여 예방적 처치와 초기치료와 계속관리의 시행으로 치과질환의 치료처치보다 예방처치로 치아우식증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일부지역의 3개의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장애유형별에 따른 구강건강상태로 확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본다. 이후 이를 보완하여 후속 연구에서는 장애유형별에 따른 성별, 연령, 장애정도에 따른 심도 있는 구강건강상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investigate the index of dental caries experiences and the state of oral hygiene for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cerebral palsy, and autism. In order to get those things we investigated 99 students that ages from 8 to 13 in three special schools (which are the school for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physical difficulties, emotional disturbance). Then collected the statistics and examined if there were some regardful differences among each type. (1) The investigation shows that there is no regardful differences among them in statistice. However, the averages of their dental caries experience have a little gap. The average of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group is the highest and the autistic children group is the lowest, as we can see the facts of 4.70 for group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4.58 for group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3.67 for group of autistic childre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group is severe, autistic children group is few. (2) The conclusion from research of oral hygiene among each type, statistically regardful differences were revealed (p<0.05). It shows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s on worst stat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s on next state, autistic children is on best state by compare for averages among each type, 32.30 for group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35.00 for group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27.79 for autistic childre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