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소아 ${\cdot}$ 청소년 강박장애로 입원한 환아들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AND ADOLESCENT INPATIENTS WITH SEVERE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황준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소아 청소년분과)) ;
  • 유소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소아 청소년분과)) ;
  • 장준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소아 청소년분과)) ;
  • 신민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소아 청소년분과)) ;
  • 조수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소아 청소년분과)) ;
  • 홍강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소아 청소년분과)) ;
  • 김붕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소아 청소년분과))
  • Hwang, Jun-Won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ou, So-Young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ang, Jun-Hwan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hin, Min-Sup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 Soo-Churl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ong, Kang-E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Boong-Nyun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4.12.31

초록

연구목적:소아·청소년기 발병 강박장애는 낮은 약물반응, 높은 공존장애율, 강한 유전적 경향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서 소아·청소년기 발병 강박장애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미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강박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임상양상, 유전부하, 약물 반응양상, 퇴원후의 경과등을 조사하여, 심각한 증상을 보이는 소아·청소년 강박장애 군의 특성을 파악하려 하였다. 방 법:최근 9년사이에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에 입원한 환아 20명(남 16, 여 4)의 자료를 조사하였고 이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진단 및 임상 상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의무기록지, 심리학적 보고서, 가족 면담 자료, 간호 보고서를 모두 고려하였고, 퇴원시 확정된 진단을 일차진단으로 하였다. 결 과:1) 환아의 성비는 남성이 4:1로 우위였다. 2) 강박사고에 있어서 가장 흔한 형태는 병적의심이었고, 이어서 더러움에 대한 공포, 공격적 사고, 대칭에의 요구, 성적 강박 사고였다. 강박행동에서 가장 흔한 내용은 확인, 씻기, 숨쉬기, 움직임, 대칭, 반복적 질문, 물건수집, 정신적 강박행동 등이었다. 3) 가장 흔한 공존 장애는 우울증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다른 불안장애, 틱장애, 품행장애, 반항장애였다. 드물게 강박사고에 대한 현실검증력이 손상된 것으로 판단되는 아동도 발견되었다. 4) 정신과 질환에 대한 가족력을 살펴본 결과, 17 가족(85%)에서 2차 친척 중 정신과 장애를 앓는 사람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강박 스펙트럼 장애로 의심되는 친척을 둔 아동이 전체의 45%(9명)이었다. 5) 약물치료로서 사분의 삼 정도의 환아들(75%)이, SSRI와 항정신병약물을 함께 복용하고 있었고, 치료 반응상 CGI에서 중등도 호전(moderate improved) 이상을 보이는 경우가 75%로 파악되었다. 6) 퇴원 후의 외래 추적 결과, 지속적인 증상의 관해를 보인 경우는 5명(25%)이었고, 부분적인 증상을 가진 채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경우가 10명(50%)이었다. 결 론:심각한 소아·청소년 강박장애약물 환아들의 임상상을 국내에서는 최초로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높은 공존장애율, 높은 정신과장애의 가족력, 높은 항정신병약물 복용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증상면에서도 공격적-성적 강박사고의 비율이 높았으며, 숨쉬기, 움직이기 등의 특이한 강박행동이 발견되었다. 치료로서 사분의삼 정도의 환아들(75%)이, SSRI와 항정신병약물을 함께 복용하고 있었고, 치료 반응상 CGI에서 중등도 호전(moderate improved) 이상을 보이는 경우가 75%로 파악되었다.

Objectives : Child and adolescent onset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C-OCD)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poor drug response, high comorbid rate and strong genetic tendencies. Till now studies for C-OCD have been very rare in Korea. We conduct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informations about clinical features, familial psychiatric loading, treatment profiles and course of server C-OCD from the retrospective analysis of inpatient data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Method : Retrospective chart review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wenty(male 16 : female 4) patients with final C-OCD diagnosis by DSM-IV at discharge from 1994 to 2002 were found and their medical chart, psychological data, family interview data and nursing repor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 1) The sex ratio of C-OCD was male dominant(4:1). 2) Phenomenological, most common obsession was pathologic doubt, contamination fear, followed by aggressive obsession, need for symmetry, sexual obsession, most common compulsion was checking and washing, followed by breathing, movement, symmetry, repetitive asking, hoarding, mental compulsion. 3) Most common comorbid diagnosis was depression. Other axis-I diagnosis associated OCD were anxiety disorder, tic disorder, conduct and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and psychosis. 4) Regarding psychiatric familial loadings, 17 patients(85%) had relatives with psychiatric disorders, OC-spectrum disorders(OCD or OCPD) were found in 9 patients(45%). 5) The majority of patients(75%) have received SSRI and antipsychotics treatment. The response rate above 'moderate improved" by CGI was 75%. 6) During follow-up period in outpatient clinic, five patients(25%) showed continuous complete remission, 10 patients (50%) did residual symptoms with chronic course. Conclusion : This seems to be the first systemic investigation of severe pediatric OCD patients in Korea. The children & adolescents with severe OCD in inpatient-setting showed the high comorbid rate, familial psychiatric loading, and combined pharmacotherapy with antipsychotics, As for symptoms, high rate of aggressive-sexual obsession and atypical compulsions like breathing and moving was reported in this study. Severe pediatric OCD patients, however, responded well to the combined SSRI and antipsychotics regime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