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GNITIVE BIASES IN INTERPRETATION, EXPECTATION AND JUDGEMENT OF SOCIALLY ANXIOUS CHILDREN

사회불안 아동의 해석, 기대 및 판단에서의 인지 편향

  • Published : 2004.12.31

Abstract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nterpretation bias and expectation and judgemental bias of performance in socially anxious children. Method : Children with high social anxiety (n=18) and low social anxiety (n=16) were recruited through self-report and peer nomination, Participants performed three tasks to assess for cognitive bias. The first task measured interpretation of ambiguous social situations. The second task measured expectations regarding performance in a three minute impromptu speech. The third task assessed for judgemental bias via comparison between post-speech self rating and observer rating. Result : Children with high social anxiet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low social anxiety children on the dependent measures assessing bias in interpretation, expectation and judgement.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judges' rating of children's performances on the speech task, with high social anxiety children obtaining significantly lower scores compared to low social anxiety children. Conclusion : The role of cognitive biases in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social anxiety in children was discussed.

목적:사회불안 아동의 해석 편향과 수행에 대한 기대 및 판단 편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자기 보고와 또래 거명을 근거로 해서 선발된 사회불안이 높은 아동 18명과 사회불안이 낮은 아동 16명을 대상으로 인지 편향을 측정하기 위한 세 가지 과제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 과제는 모호한 사회적 상황을 중립적 또는 위협적으로 해석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두 번째 과제는 즉석 3분 발표를 수행하는 것에 대한 기대를, 세 번째 과제 는 발표 후에 실시한 자기 평정과 평정자 평정간의 비교를 통해 판단 편향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결과:사회불안이 높은 아동들은 해석, 기대 및 판단 측정치에서 사회불안이 낮은 아동들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평정자 평정 결과, 사회불안이 높은 아동들은 사회불안이 낮은 아동들에 비해 3분 발표를 수행하는 능력이 유의하게 더 낮은 것으로 평정되었다. 결론:인지 편향이 아동기 사회불안의 발생과 지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