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던디자인 역사 서술의 전통과 극복

The tradition in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modern design and overcoming its limitations

  • 오창섭 (건국대학교 예술문화대학 디자인학부)
  • 발행 : 2005.05.31

초록

본 논문은 모던디자인 역사 서술의 구체적인 내용과 한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모던디자인 역사 서술의 전통은 다양한 개별적 디자인 현상들을 억압하거나 왜곡시키면서 지나친 일반화를 추구하였다. 뿐만 아니라 헤게모니를 장악한 제한된 디자인들을 단선적 흐름으로 서술하였으며, 일부 영웅적 인물 중심의 역사를 보편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이러한 전통이 일반화되면서 우리는 '디자인'이라는 자극에 '모던디자인'을 떠올리게 되었고 ‘모던디자인’이라는 자극에 일부 제국주의 국가의 영웅들과 그들의 무용담을 떠올려야 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논문은 역사를 바라보는 주체적인 시각의 필요성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디자인 역사들의 존재가능성과 필요성을 환기시키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the history of modern design has been described and what has been turned out to be shortcomings and limitations in its description. Traditionally,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modern design shows over generalization, which means that it suppresses or distorts various and individual designs, stressing on the mainstream of design history. Also it, focusing on some selected designs in hegemony, depicts their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 too lineally, and regards a hero-centered history as universal or absolute one. As this tradition is generalized, we are ofter reminded of 'modern design' when touched by ‘design,’ and of colonial heroes and heroism when touched by ‘modern design.’ In this context, this paper will argue that we need to accept various design histories, keeping the subjective attitudes toward histor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