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튼월 Life Cycle Process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비효율 요인 밑 중요도 도출

An Extraction of Inefficient Factors and Weight for Improving Efficiency of the Curtain wall Life Cycle Process

  • 발행 : 2005.08.01

초록

커튼월은 최근에 고층 건축물에서 공기단축을 위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외장 공법이며, 공사비와 공정관리 측면에서 주요 관리대상의 공종이다. 커튼월 프로세스의 효율적 관리는 전체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주요 대상으로 인식되고있다. 그러나 기존의 커튼월 공사 관리는 시공 단계 중심의 관리에 초점을 맞춤으로서, 공사 수행의 오류, 잘못된 작업으로 인한 재작업, 비효율적 정보관리로 인한 중복 $\cdot$오류 $\cdot$누락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전체 생애주기 관점에서 효율적 관리가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커튼월 공사 전체 생애주기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프로세스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단계별 관리 포인트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효율 요인을 도요다 시스템의 무다(muda)방법으로 규명하고, 계층적 분석법(AHP)을 이용하여 비효율 요인의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커튼월 생애주기 중에서 건축설계 단계에 가장 많은 비효율 요인이 발생되었고, 주요 세부요인으로는 설계변경 의사결정 지연 및 승인지연, 엔지니어링 능력부족, 발주자의 건축도면 승인지연 등으로 나타났다.

Recently, a curtain wall construction is a exterior finishing components which is most used for shortening time in high-rise building as well as the class of key management factors in cost and schedule control. Also, it is recognized that an effective management for curtain wall process is a major subject to accomplish the project successfully. However, as the current management for curtain wall construction i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stage, it makes problems such as errors in business performance, rework by mistakes and duplications, errors and omissions by ineffective information management and there has never been any efficient management from a view of the entire Curtain Wall Life-cycle proces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tage check point for process improvement in the curtain wall Life-cycle process through current curtain wall process analysis, and then to investigate the cause of waste factors using the Muda method from the Toyota Production System and extract the weighted effects of the waste factors using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 Most of the inefficient factors happened in architectural design stage of the entire curtain wall Life-cycle process and my research identified that detail factors of them are a delay of decision making and an approval in changes, a deficit of engineering capacity and a delay of approval in architectural design drawings by owner, etc.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재홍, 김태일, 공공부문의 효율성 평가와 측정, 집문당, pp. 21-78, 2001. 9
  2. 송상훈, 김우영, 이현수, '건설현장 공사관리 프로세스 개선방 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권 2호, pp. 149-158, 2003. 2
  3. 신봉수 외 4인, '건설공사의 적시생산(Just-In-Time)을 위 한 양중시스템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4권 제4호, pp. 182-191. 2003. 12
  4. 안병주 외 3인, '커튼월 공사의 적시생산(JIT) 관리를 위한 양중조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대한건축학회, 제 19권 제 8호, pp. 153-162, 2003. 8
  5. 이상규, 김정인, '외환위기 이후 은행점포의 효율성 분석', 한국경영학회 경영학연구 제32권 제4호, pp. 1033-1061, 2003. 8
  6. 이현수, 송상훈, 김우영, '정보분석을 통한 자재관리 프로세 스 재설계',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권 11호, pp. 125-132, 2002. 11
  7. 임형철, 송종석, '현장 공정 커뮤티케이션을 통한 공장생산자 재의 공급 및 생산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 집 제20권 제4호, pp. 144-152. 2004. 4
  8. 유정호, 이현수, '건설 프로젝트의 생산관리 시스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18권 7호, 2002
  9. 윤수원 외 3인, '공급사슬관리를 통한 커튼월 프로세스의 개 선방안',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4권 제1호, pp. 431-434, 2004. 4
  10. 전용수, 최태성, 김성호 효율성 평가를 위한 자료포락분석, 인하대학교출판부, pp. 1-17, 2002
  11. 조태제, '행정법상의 효율성원칙', 한국비교공법학회 공법학연구 제5권 제1호, pp. 43-70, 2004
  12. 지홍민, 유태우, '외환위기를 전후한 상장건설회사의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 한국경영학회 경영학연구 제32권 제3호, pp. 809-830, 2003
  13. 진상윤 외 7인, 'An analysis of the Life-Cycle Curtain Wall Process through Supply Chain Management', IGLC-12th Conference, pp. 588-599, 2004. 8
  14. 최병진, '생산관리에서의 프로세스 설계 사례', 산업공학 제7권 제3호, pp. 5-20, 1994. 11
  15. 최신융 외, 행정 기획론, 박영사, 2005. 2
  16. 황한철 외 5인, '시설원예의 입지적성평가모델 개발', 한국 농촌계획학회논문집 5권 2호, pp. 30-37, 1999. 8
  17. A. Gunasekaran, C. Patel and R. E. McGaughey, 'A framework for supply chain performance measur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87, pp. 337-347, 2004
  18. A. N. Berger and D. B. Humphrey, 'The Dominance of Inefficiencies over Scale and Product Mix Economics in Banking',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28, pp. 117-148, 1991 https://doi.org/10.1016/0304-3932(91)90027-L
  19. A. S. Hanna and J. S. Russel and D. Thomack, 'Quantifying the effect of Change Orders on Electrical Construction Labor Efficiency', Cost Engineering 40(2), pp. 36-41, 1998. 2
  20. A. Serpell and L. F. Alarcon, 'Construction process improvement methodology for construction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Vol. 16, No.4, pp. 215-221, 1998 https://doi.org/10.1016/S0263-7863(97)00052-5
  21. D. M. Lambert, M. C. Cooper and J. D. Pagh, 'Supply Chain Management: Implementation Issues and Research Opportuniti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Logistics Management 9(2), pp. 1-19. 1998
  22. E. Ballestero and J. A. Maldonado, 'Objective measurement of efficiency: applying price model to rank hospital activities', Computers & Operation Research 31, pp. 515-535, 2004 https://doi.org/10.1016/S0305-0548(02)00231-9
  23. G. Debreu, 'The Coefficient of Resource Utilization', 19(3), pp.273-292, 1951
  24. H. Leibenstein, 'Allocative Efficiency vs. 'XEfficiency'', American Economic Review 56, June, pp. 392-415, 1966
  25. Jorge Soares and Stuart Anderson, 'Modeling Process management in Construction',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pp. 45-53, 1997
  26. L. F. Alarcon and D. B. Ashley, 'Modeling Project Performance for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22(3), pp. 265-273, 1996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1996)122:3(265)
  27. M. J. Farrell, 'The Measurement of Productivity Efficienc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 Series A, 120(3), pp. 253-290, 1957 https://doi.org/10.2307/2343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