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 단원의 탐구 과제 분석

Analysis of Inquiry Tasks in Earth Unit of the 10th Grade Science Textbooks

  • 김정률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김명숙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박예리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Kim, Jeong-Yul (Department of Earth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im, Myung-Suk (Department of Earth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Park, Ye-Ri (Department of Earth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발행 : 2005.08.01

초록

10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 단원의 학습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탐구 과제가 제7차 교육 과정의 목표에 따라 제시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11종 과학 교과서의 기본 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탐구 과제의 유형과 기본 탐구 기능, 통합탐구 기능, 탐구 활동의 빈도를 조사하였고, 제시된 탐구 기능과 활동이 적절한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탐구 과제는 평균 24.0개가 제시되었으나 교과서마다 차이가 있었고 제시하는 유형이 달랐다. 탐구 활동의 빈도는 교과서마다 달랐고 제시된 것보다 더 많이 분석되었으며 통합적인 활동으로 제시되지 않고 하나의 탐구 기능처럼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통합 탐구 기능은 $77.2\%$로 기본 탐구 기능 $22.8\%$보다 많은 것으로 보였지만, 실제로 기본 탐구기능과 통합 탐구 기능의 분포 비율은 각각 $45.6\%$$56.4\%$로 조사되었다. 각 탐구 기능 중에서는 추리$(49.5\%)$와 자료해석$(68.7\%)$이 가장 많이 있었고, 문제 인식, 가설 설정, 일반화 등의 탐구 요소는 제시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제7차 교육 과정에서 탐구 기능, 탐구 활동에 대한 의미를 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교과서마다 본질적 의미와 일치하지 않거나 협소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는 교육 과정이 탐구, 탐구 기능, 탐구 활동에 대한 의미를 조작적 수준으로 제시하고, 탐구 활동을 구성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한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n analysis was done on the “inquiry sections” of Earth Science chapters of 10th grade science textbooks. The Inquiry section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types and the frequencies of basic process skills, integrated process skills, and inquiry activities were measured in section to find out whether they sufficiently satisfy the requirements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number of selected science textbooks that have been used in high school for this study were eleven. The number of inquiry tasks were on an average of 24.0. The types of inquiry sections and the elements of basic and integrated process skills were different in every textbooks.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were also different and analyzed more than those presented. They were not integrated activities but presented as scientific process skills. The basic process skills and integrated process skills presented in textbooks were $16\%\;and\;77.2\%$, respectively. However, the distribution of two kinds of process skills were analyzed to be $45.6\%\;and\;55.4\%$, respectively. In the process skills, the frequencies of inferring $(49.5\%)$ and data interpretation (68.7%) were the highest; however, the other process skills including recognizing problem, formulating hypothesis and generalization were not even presented in any of the text books. Due to the lack of the definitions of Science process skills and inquiry activitie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each text book defined these terms differently. It suggests that the meaning of inquiry, science process skills, and inquiry activities should be operationally defin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riteria for construction of inquiry activities are requir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 1999, 제7차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III).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서울, 266 p
  2. 교육부, 2001,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서울, 250 p
  3. 교육인적자원부, 과학기술부, 2003, 탐구.실험 중심의 초.중등 과학교육 활성화 계획, 19 p
  4. 김정수, 2003,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 교과서의 심화.보충 학습 내용 분석-10학년 물질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2 p
  5. 박원혁, 김은아, 1999, 제6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공통과학 교과서의 탐구영역 분석-탐구 실험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 (4), 528-541
  6. 박정호, 2004,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지구과학 관련 영역의 심화.보충 학습 내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5 p
  7. 박정희, 김정률, 박예리, 2004, 탐구 학습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인식. 한국지구과학회지, 25 (8), 731-738
  8. 박효순, 조희형, 2003,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3), 239-245
  9. 백종숙, 2005,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지구과학 I 교과서의 비교 분석-탐구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5 p
  10. 심규철, 김현섭, 박영철, 2002, 제7차 교육과정 7학년 과학교과 생명 영역의 탐구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 (3), 550-559
  11. 심규철, 안중임, 김현섭, 2004,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생명 영역 물질대사 관련 탐구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2), 202-215
  12. 오강호, 고영규, 윤석태, 2004,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해양영역에 관련된 용어 및 탐구의 연계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5 (7), 576-585
  13. 유모경, 조희형, 2003,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5), 494-504
  14. 윤은희, 2003, 10학년 과학 물질 영역에서 기본과정에 근거한 보충.심화과정의 탐구내용 및 탐구능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0 p
  15. 이문남, 2001, 과학 학습에서 과학교과서가 차지하는 비중과 과학 학습 경험 조직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연구, 5, 251-274
  16. 조희형, 2003, 일반과학교육학. 교육과학사, 서울, 582 p
  17. 조희형, 이문원, 조영신, 지찬수, 강순희, 박종윤, 허명, 김찬종, 1995, 고등학교의 과학적 탐구력 신장을 위한 과학 학습지도 방법과 자료의 개발에 관한 연구 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 (1), 54-67
  1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연구보고 RRC 98-8, 서울, 660 p
  19.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90, Science-A Process Approach II (SAPA II). Delta education, Inc
  20. Chang, C. Y., 2002, An exploratory study on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in earth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 (5), 441-451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66502
  21. Germann, P. J., 1996, Analysis of nine high school biology laboratory manuals: promoting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 (5), 475-49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5)33:5<475::AID-TEA2>3.0.CO;2-O
  22. Harlen, w., 1999, Purposes and procedures for assessing science process skills. Assessment in Education, 6 (1), 129-144 https://doi.org/10.1207/S15326977EA0602_03
  23.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62 p
  24.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2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