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서해 천수만의 해안선 변화 및 조간대 해빈 특성

Characteristics of Tidal Beach and Shoreline Changes in Chonsu Bay, West Coast of Korea

  • 류상옥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 장진호 (목포대학교 해양자원학과)
  • Ryu Sang-Ock (Faculty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ang Jin-Ho (Department of Marine Resourc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5.08.01

초록

한반도 서해 천수만에서 해안선 변화 및 조간대 해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년 동안 지형, 표층퇴적물, 퇴적율과 해안절벽의 침식율 등을 조사하였다. 천수만의 해안선은 심하게 풍화된 퇴적암과 풍화토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관측결과 -58.9\~-73.3 cm/yr$ 후퇴하였다. 해안침식을 지시하는 톱날 모양의 해안선, 고조선 해빈의 전석, 침식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잔류암맥, 그리고 바위섬 모양의 "Island Stack" 등의 여러 가지 특징들이 발견되었다. 한편, 해빈 퇴적물의 조성 성숙도는 돌출부에서 만입된 중앙으로 갈수록 성숙된 경향을 보인다. 이는 해빈을 구성하는 사질퇴적물의 기원이 남측과 북측의 돌출부에 있음을 의미하며, 침식된 퇴적물은 파랑에 의해 야기된 연안류에 의해 만입된 중앙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Morphology, surface sediments, sedimentation rates and sea-cliff erosion have been monitored, for one year to investigate the shoreline changes and tidal beach characteristics in Cheonsu Bay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The seacliff of the bay consists of intensively weathered sedimentary rocks and soft soil, showing an erosion range of $-58.9\~73.3cm/yr$ by a weak wave forcing. Active sea-cliff erosions are recognized by peculiar geomorphic features, including saw teeth-shaped coastline, gravels, relict weathered basement-rock and 'Island Stack' exposed on the high-tide beach surface. The beach sediments show low compositional maturity at the south and north headlands and gradually high towards the central part. This observation seems to be caused by the fact that beach sediments are to originate from the both headlands in the study area and then transported by long-shore current associated with a wave a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태순, 최금인, 황준, 정진호, 2005, 서해연안 침식현황과 모니터링 체계구축. 서해 연안관리와 환경 복원에 관한 워크샵, 군산, 1-45
  2. 국립지리원, 1977, 연안해역 지형측량 보고서(천수만 해역). 56 p
  3. 류상옥, 유환수, 이종덕, 1999, 함평만 조간대의 표층퇴적물과 집적률의 계절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 127-135
  4. 류상옥, 유환수, 전승수, 1997, 한국 서해 남부 함평만 표층퇴적물의 분포 미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18, 367-378
  5. 박용안, 최진용, 이창복, 김대철, 최강원, 1994, 한국 서해 중부해역 대륙붕 퇴적물의 분포와 퇴적작용. 한국해양학회지, 29, 357-365
  6. 송무영, 우영균, 1992. 한반도 중부권 지각물질의 구조와 물성연구(I): 천수만 주변의 지질. 한국지구과학회지, 13, 53-65
  7. 아세아항업주식회사, 1979, 서산AB 지구 간척지 개발 조사보고서. 109 p
  8. 이일상, 1986, 서산만 조간대 퇴적상 및 퇴적구조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55 p
  9. 이철우, 백창훈, 이동우, 1995, 천수만층의 형성과 진화. 한국지구과학회지, 16, 222-231
  10. 임동일, 정희수, 추용식, 박광순, 강시환, S-Y YANG, 2002, 한국 서해 남부 함평만의 해안선 변화 연구 I, 해안절벽의 침식과 후퇴.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7, 148-156
  11. 장진호, 김여상, 조영길, 1999, 해안침식이 우세한 반폐쇄적 조간대의 퇴적작용: 한국 서해안의 함평만.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 117-126
  12. 전동철, 1995. 해양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대한 장기적인 해안침식 모델의 고찰. 해양연구, 17, 41-58
  13. 정공수, 박용안, 1978, 남양만 남부 조간대 퇴적환경의 퇴적학적 특성에 관하여. 한국해양학회지, 1, 9-18
  14. 조성권, 이철우, 손영관, 황인걸, 1995, 퇴적학. 도서출판 우성, 서울, 512 p
  15. 조주환, 임동일, 김백운, 2001, 항공사진을 이용한 서남해 함평만의 해안선 변화 관측. 한국지구과학회지, 22, 217-236
  16. 해양수산부, 2002, 연안침식방지 종합대책 수립을 위한 조사 연구 용역(I). 404 p
  17. Bird, E.C.F., 1984, Coasts: An introduction to coastal geomorphology (3rd edn.).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Canberra, 372 p
  18. Bokuniewicz, H. and Tanski, J., 1980, Managing localized erosion of coastal bluffs. In: Proceedings of coastal zone '80, edited by American Society of Coastal Engineering, 3, 1883-1898
  19. Davidson-Amott, R.G.D. and Ollerhead, J., 1995, Near-shore erosion on a cohesive shoreline. Marine Geology, 122, 349-456 https://doi.org/10.1016/0025-3227(94)00115-2
  20. Evans, G, 1965, Tidal flats sediments and their environ¬ment of deposition in the Wash. Quarternary Journal of Society in London, 121, 209-241
  21. Folk, R.L. and Ward W.C.,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27, 3-26 https://doi.org/10.1306/74D70646-2B21-11D7-8648000102C1865D
  22.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emphills's, Austin, 170 p
  23. Horikawa, K. and Sunamura, T., 1967, A study on erosion of coastal cliffs by using aerial photographs. Coastal Engineering in Japan, 10, 67-84
  24. Ingram, R.L., 1971, Sieve analysis. In: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edited by Carver, R.E., Willey-Inter Science, New York, 49-67
  25. Kim, J.L. and Park, S.C., 1985, Intertidal flat sediments and characteristic sedimentary structures in the Changgu Bay, west coast of Korea.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20, 43-49
  26. Moon, Y.G. and Healy, T., 1994, Mechanisms of coastal cliff retreat and hazard zone delineation in soft flysch deposit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10, 663-680
  27. Pethick, J., 1984, An introduction to coastal geomorphology. Routledge, Champman and Hall, INC, 260 p
  28. Phillips, J.D., 1999, Event timing and sequence in coastal shoreline erosion: Hurricanes Bertha and Fran and the Neuse Estuary. Journal of Coastal Research, 15, 616-623
  29. Reineck, H.E., 1967, Layered sediments of tidal flats, beaches, and shelf bottoms of the North Sea. In: Lauff, G.H. (Ed.), Estuaries. Amer. Assoc. Adv. Sci. Publ. 83, Washington, D.C., 191-206
  30. Ryu, S.O., 2003, Seasonal variation of sedimentary processes in a semi-enclosed bay: Hampyong Bay,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6, 481-492 https://doi.org/10.1016/S0272-7714(02)00199-3
  31. Sunamura, T., 1983, Processed of sea cliff and platform erosion. In: Handbook of coastal processes, edited by Momar, P.D., CRC Press, Boca Raton, 233-265
  32. Yeo, R.K. and Risk, M.J., 1981, The sedimentology, stratigraphy and preservation of intertidal depodits in the Minas Basin system, Bay of Fundy.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51, 245-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