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ation of Eupatilin and Jaceosidin Content of Mugwort

약쑥의 Eupatilin과 Jaceosidin 함량변이

  • Ryu Su-Noh (Dept. of Agricultural Scienc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 Han Sang-Suk (Dept. of Agricultural Scienc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 Yang Jong-Jin (Dept. of Agricultural Scienc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 Jeong Hae-Gon (Ganghwa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
  • Kang Sam-Sik (College of Pharmacy, Department of Manufacturing Pharmacy Natural Product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류수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농학과) ;
  • 한상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농학과) ;
  • 양종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농학과) ;
  • 정해곤 (강화군 농업기술센터) ;
  • 강삼식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천연물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5.11.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high eupatilin and jaceosidin containing species and suppose the crop value of Mugwort (Artemisia sp.) investigating plant characteristics. Among the twelve collected mugworts, only one's of Ganghwa and Baekryeongdo contained the eupatilin and jaceosidin and the highest eupatilin and jaceosidin contents weye obtained from the Ssajuarissuk collected in Ganghwa. The result of seasonal variation in eupatilin content indicated the highest contents from May 23 to June 10. Eupatilin content of leaves in upper was higher than in lower leaves and content of middle leaves was not higher than in upper leaves. And the highest eupatilin content found in the leaves of the upper part of the plant, almost 2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lower of the plant.

본 연구는 최근 다양한 기능이 보고된 쑥의 eupatilin성분과 jaceosidin 성분 고함유 유전자원을 선발하고 기능성 작물로서의 개발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2개 지역의 도서벽지에서 수집한 자생쑥을 분석한 결과 강화${\cdot}$백령도 지역의 수집 쑥에서 eupatilin과 jaceosidin함량이 높았다. 그 중 가장 높은 것은 강화의 싸주아리 쑥이었다. 2. 쑥의 채취시기별 함량을 분석한 결과 eupatilin과 jaceosidin 함량은 모두 5월 23일에서 6월 10일 사이 채취한 쑥에서 가장 높았다. 3 쑥의 식물체 부위별 함량을 분석한 결과, eupatilin 함량은 상위엽이 하위엽보다 2배가량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나 jaceosidin 함량은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철· 1992. 항암본초, 바람과 물결, 서울, pp. 174-175.
  2. 류수노, 강삼식, 김주션, 구본일, 2004, 약쑥함유 eupatilin과Jaceosidin 성분의 분직 , 한작지 49(6) : 452-456
  3. 이형주· 2003. 기능성식품 소재화를 위한 암 예방 기능성 식물성분 소재의 탐색, 작용 기작 및 생산조건, 바이오그런2 1 사업성과 발표, 농촌진흥청 , pp 327-330.
  4. 장혜옥· 1992. 믿t쑥 추출물의 항 위염 및 위궤양 작용, 박사학위청구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5. 지형준, 이상인. 1988. 대한약전외 한약(생약) 규격집 주해서. 한국메디칼 인텍스사 서울, pp. 242-243.
  6. 허준. 1991. 동의보감, 남산당 서울, pp 1002.
  7. Chinese Herbal Medicine. 1991. Eastland Press, Seattle, pp. 71-2.
  8. Chang, Y.J., Song, S. H., Park, S. H. and Kim, S. U.. 2000. Amorpha-4, l l-dicne synthase of Artemisia annua : eDNA Isolation andbacterial expression of a terpene synthase involved in artemisininbiosynthesis. Arch. Biochem. Biophys. 383: 178-184.
  9. James E. F. Reynolds. Martindale, 1996. The extra phannacopoeia(online)
  10. Koshihara, Y., Neichi, T., Murata, S.-l., Lao, A.-N., Fugimoto, Y. andTatsuno, T. 1983. FEBS Lett., 158: 41.
  11. Kupchan, S. M., Sigel, C. w., Hemingway, R. J., Knox, J. R. andUdayamurthy, M. S. 1969. Tetrahedron 25: 1603.
  12. Mabry, TJ., Markham, K.R. and Thomas, M.B. 1970. The SystematicIdentification ofFlavonoids, Springer-Verlag, Berlin.
  13. Marco, J. A., Sanz-Cervera, J. E, Manglano, E., Sancenon, F.,Rustaiyan, A. and Kardar, M. 1993. Phytochemistry 34: 1561.
  14. Porter, Q. N. 1985. Mass Specrometry of Heterocyclic Compounds(2nd Ed.). Wiley Interscience,New York, pp. 238-248.
  15. Tang, W. and Eisenbrand, G 1992. Chinese Drugs ofPlant Origin,Springer - Verlag,Berlin, pp. 159-183.
  16. Tsumura, A. 1991.KAMPO, JapanPulications, Inc., Tokyo, pp. 1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