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Industrial High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Value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능력 중심 교육의 가치가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운영 개선에 주는 시사점

  • Received : 2005.10.30
  • Accepted : 2005.12.26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s to improve the industrial high school through the inquiry of Competency-Based Education(CBE).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ings: (1)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dustrial high school must be based on job analysis. (2) Instructional objectives must be defined as a performance objective and enabling objectives. (3) Instruction must be individualized in method, the instructional contents must be organized in the unit of module. (4) Evaluation system must be not knowledge based but performance-based. (5) Physical Environment of work shop must be organized based on facilities, equipments and machines abstracted by job analysis. (6) Competency-Based Teacher Education(CBTE) program is required to train competent teachers in practice.

Keywords

References

  1. 강종훈. (2002). 외국의 직업 기술교육 개혁 동향. 직업교육연구,21(2),365-375
  2. 김선태. (2002). 공업계 고교 및 천문대학 천기.천자 분야의 모듈식 교채 체제 개발. 충남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김판욱. (1992). 직무분석에 의한 공업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발과 교과서 개선 방안. 대한공업교육학회지,17(1),66-75
  4. 김판욱. (2000). 공업 교육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대한공업교육학회지,25(1),1-14.
  5. 김판욱. (2004). 체계적 능력 중심 교육과정 개발 핸드북. 충남대학교출판부
  6. 김판욱. (2005). 성공적인 취업 전략과 직장 생활. 충남대학교공업교육연구소
  7. 김희필, 김판욱. (2003a). 기술 교과 교육 목표 성취를 위한 기술적 능력의 구조화 모형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3(1) 33-53
  8. 김희필, 김판욱. (2003b). 기술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기술적 능력의 영역과 요소의 내용. 한국기술교육학회지,3(2),34-56
  9. 김희필. (2004). 기술 교과 교육의 목표와 내용 구성을 위한 기술적 능력의 구성 요인.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문대영,류창열. (1996). 정의적 직업 능력과 그의 구성 요인. 충남대학교 공업교육연구소 논문집,19(1),23-32
  11. 문대영,류창열. (1998). 21세기 사회에서 필요한 직업기초능력. 충남대학교 공업교육연구소 논문집,21(1),3-16
  12. 서효자. (1983). 현장기술연습 위주의 직업기술교육. 공업기술교육 제 26호. 공업교육연구소,5-14. 서울
  13. 성공인. (2000. 1. 13). 주간 동아 제217호
  14. 이무근. (2001). 인적 자원 개발을 위한 직업 교육의 방향(기조 연설). 2001 학술 대회 및 정기 총회 자료집,한국직업교육학회
  15. 이병욱. (2002). 공업계 고등학교 학교수준의 교육 과정 평가준거 개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병욱. 노태천. 김춘길. (2002). 공업계 고등학교 맥락에서의 직업 교육 발전 방안-공고 교육의 현안문제와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지,27(2),53-66
  17. 정태범. (1998). 능력 중심 교사 교육. 교육학대백과사전,1007-1016.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18. 홍후조. (2002).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문음사
  19. McAshan H. H. (1981).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behavioral objectives.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20. Norton, R. E. (1997). DACUM Handbook-second edition. Columbus: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21. Sumeral, W., Lopez, S. & Oehlert, M. (2000).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Training in Psychology. IL: Charles C Thomas publisher
  22. VVCC(Virginia Vocational Curriculum Center). 1984). Trade and industrial education service area resource (VA 23060-2208). VI: Commonwealth of Virginia Department of Education Vocational and Adult Educ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01 668)
  23. Walker, N. (ED). (1982). Performance outcomes and performance standards for selected occupational programs. Pensacola, FL: The Pensacola Junior College.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20 119)
  24. Wright, S. L. (1977). Foundation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J. G. Brueckman, S. E. Brooks (Eds.), Competency-based industrial arts teacher education (pp. 18-42). IL: McKn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