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Aboveground Biomass and Belowground Nutrient Contents for a Phyllostachys pubescens stand

맹종죽(孟宗竹) (Phyllostachys pubescens) 임분(林分) 내(內) 지상부(地上部) 생체량(生體量) 및 지하부(地下部) 양분(養分) 함량(含量) 추정(推定)

  • Hwang, Jaehong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Chung, Young-Gyo (Warm Temperate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Sang-Tae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Byung-Bu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Shin, Hyun-Cheol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Kyung-Jae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Park, Kyu-Jong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황재홍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 정영교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 ;
  • 이상태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 김병부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 신현철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 이경재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 박규종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Received : 2005.03.10
  • Accepted : 2005.04.07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Above and belowground biomass for Phyllostachys pubescens was determined in Jinju, Gyeongsangnam-do. Regression analyses of dry weights of culms, foliages, and twigs versus diameter at breast height were used to calculate regression equations of the form of log Y = a + blogX. Total aboveground biomass for Phyllostachys pubescens was 69.7 ton/ha and rhizomes and roots biomass were 13.7 ton/ha and 7.5 ton/ha, respectively. Culms account for about 60% of total aboveground biomass. The aboveground biomass of each component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culms>foliages>twigs. As diameter at breast height grew thicker, the proportion of culms to total aboveground biomass increased. The proportion of dry weight of culms to green weight gradually increased with height in a bamboo tree and ages. Nutrients (kg/ha) of litter layer were distributed as follows: N(45.1), Ca(17.3), K(6.1), Mg(3.6), P(3.5) and Na(0.7). Nitrogen and K were given much weight in total nutrients of rhizomes and roots.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in measuring carbon stock and drawing up management plan to increase it for Phyllostachys pubescens stand.

맹종죽의 지상부(죽간, 가지, 잎) 및 지히부(지하경, 뿌리) 부위별 현존량과 낙엽층 및 토양 내 양분 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상남도 진주시 내 맹종죽 임분을 대상으로 $20m{\times}20m$ 표본지 조사구 3개를 설치한 후 입죽 밀도 및 임분 구조 등을 조사한 다음 발순 연도별 3본씩의 맹종죽을 벌채한 후 흉고직경변수 모형을 적용하여 생체량 추정 대수회귀식 (log Y=a + blogX)을 조제하였다. 조사지 맹종죽 임분 지상부 전체 생체량은 69.7 ton/ha였으며, 지하경 및 뿌리 생체량은 13.7 ton/ha과 7.5 ton/ha로 각각 조사되었다. 전체 지상부 생체량 중 죽간은 약 60%, 엽은 24%, 가지는 16%를 차지하였다. 한편, 흉고직경이 굵어질수록 전체 생체량 중 죽간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였다. 죽간의 건중량 대 생중량 비는 시료 채취 부위가 올라갈수록 또한, 죽령이 증가할수록 연차적으로 증가하였다. 맹종죽 임분 내 낙엽층의 양분 분포는 질소가 45.1 kg/ha로 가장 높았고, 칼슘>칼륨>마그네슘>인산>나트륨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하경의 양분은 질소와 칼륨이 가장 많았고, 마그네슘, 나트륨, 칼슘 순이었다. 뿌리의 양분은 칼륨이 가장 많았으며 질소와 인산 순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맹종죽 임분 내 탄소 저장량 계량화 및 확대를 위한 관리 방안 도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우석. 1985. 한반도의 대나무류 분포와 그 환경요인에 관한 식물지리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8(2) : 89-98
  2. 국립산림과학원. 2004. 주요 수종의 임목자원 평가 및 예측시스템. pp. 125
  3. 기상청. 2005. 기후정보. http://www.kmago.kr/kor/weather/ climate/climate_03_01.jsp (2005. 02. 27)
  4. 김갑덕, 김재생, 박인협. 1984. 백운산지역 조릿대의 죽 간 형질 및 물질 생산에 관한 연구. 임산에너지 4:19-25
  5. 농업기술연구소. 1988. 토양화학분석법 (토양, 식물체, 토양미생물).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pp. 450
  6. 박인협, 류석봉. 1996 왕대속 대나무림의 물질생산 및 무기영양물 분배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5(3) : 453461
  7. 박인협, 문광선. 1994. 주요 참나무류 천연림의 물질생 산 및 현존량추정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3(2) : 246-253
  8. 박인협, 서영권, 김동엽, 손요환, 이명종, 진현오. 2003. 강원도 춘천지역 신갈나무 임분과 굴참나무 임분의 물질 생산. 한국임학회지 92(1) : 52-57
  9. 산림청. 2004. 임업통계연보. http://www.foa.go.kr/ebooι imup2/index.html (2005. 02. 27)
  10. 이도형. 2004. 흉고직경과 수고에 의한 소나무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체 량 추정. 한국임학회지 93(3) : 242-250
  11. 이도형, 황재우. 2000. 회귀식에 의한 잣나무 물질 생산 성 추정. 자원문제연구논문집 19(1): 77-82
  12. 이상태, 황재홍, 김병부, 이경재, 신현철, 박규종. 2004. 왕대림의 현존량과 양분함량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측정학회지 7(2) : 55-62
  13. 이정석, 김춘식. 1988. 후박나무림의 물질생산량에 관하여. 한국임학회지 77(1): 10-16
  14. 이창복. 1986. 수목학. 향문사 pp. 302-303
  15. 정진현, 구교상, 이충화, 김춘식 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6) : 694-700
  16. Christanty, L., D. Mailly and J.P. Kimmins. 1996. 'Without bamboo, the land dies': Biomass, litterfall, and soil organic matter dynamics of a Javanese bamboo talun-kebun system.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87: 75-88 https://doi.org/10.1016/S0378-1127(96)03834-0
  17. Chung, Y.G and C.W. Ramm. 1990. Relationships between soil-site properties and bamboo (Phyllostachys bambusoides) growth.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79(1) : 16-20
  18. Embaye, K., M. Well, S. Ledin and L. Christersson. 2005. Biomass and nutrient distribution in a highland bamboo forest in southwest Ethiopia: implications for managemen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04: 159-169 https://doi.org/10.1016/j.foreco.2004.07.074
  19. Kim, C., H.K. Won and J.H. Jeong. 1999. Aboveground biomass and nutrient accumulation in a Pinus rigida plantation. FRI. Journal of Forest Science 62: 1-7
  20. Mailly, D., L. Christanty and J.P. Kimmins. 1997. 'Without bamboo, the land dies': nutrient cycling and biogeochemistry of a Javanese bamboo talun-kebun system.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91 : 155-173 https://doi.org/10.1016/S0378-1127(96)03893-5
  21. Ravikumar, R., G. Ananthakrishnan, T. Appasamy and A. Ganapathi. 1997. Effect of endomycorrhizae (YAM) on bamboo seedling growth and biomass productivity.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98 : 205-208 https://doi.org/10.1016/S0378-1127(97)00107-2
  22. Singh, A.N. and J.S. Singh. 1999. Biomass, net primary production and impact of bamboo plantation on soil redevelopment in a dry tropical regio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19(1-3): 195-207 https://doi.org/10.1016/S0378-1127(98)00523-4
  23. Son, Y., I.H. Park, MJ. Yi, B.D. Jin, D.Y. Kim, R.H. Kim and J.D. Hwang. 2004. Biomass, production and nutrient distribution of a natural oak forest in central Korea. Ecological Research 19 : 21-28 https://doi.org/10.1111/j.1440-1703.2003.0061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