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in Maeri (III) - With a Special Reference on Slope Stability Analysis -

매리 땅밀림형 산사태(山沙汰)의 발생특성(發生特性)에 관한 분석(分析) (III) - 사면(斜面)의 안정해석(安定解析)을 중심(中心)으로 -

  • Park, Jae-Hyeon (Department or Forest Resources, Jinju National University) ;
  • Choi, Kyung (Korean Society of Forest Environmental Research) ;
  • Bae, Jong Soon (Dept. of Civil Eng., Division of Construction Eng., College of Eng.,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Ma, Ho-Seop (Division of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Jong-Hak (Ubi System) ;
  • Youn, Ho-Jung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박재현 (진주산업대학교) ;
  • 최경 (한국산지환경조사연구회) ;
  • 배종순 (경상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토목공학과, 경상대학교 공학연구원) ;
  • 마호섭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 이종학 (유비시스템) ;
  • 윤호중 (국립산림과학원)
  • Received : 2005.06.01
  • Accepted : 2005.07.05
  • Published : 2005.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e the landslide characteristics by ground investigation, borehole image processing system, field seismic test, laboratory test and ground stability analysis at the landsliding area occurred in Maeri, Sangdong-myeon, Gimhaesi, Gyeongsangnam-do. Region I needs to install data logger system to monitor a land displacement during the heavy rainfall events because the region can be liable to occur the land slide by land creeping. It is needed to restore rapidly, if the land displacement occurs in Region I. Region II needs to monitor and repair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slope failure by long-term soil loss. Region III needs constructions to remove ground runoff and ground water to be infiltrated from talus. Region IV where is a stable region, needs to be protected from land cutting or other man-made damage.

김해시 상동면 매리 산사태지의 발생특성을 밝히기 위한 일련의 연구를 진행중에 있으며, 본보에서는 지반조사, 시추공내영상촬영, 탄성파탐사 및 실내시험 후 안정해석을 실시하였다. 안정해석결과, 영역 I 지역은 집중호우 시 땅밀림 산사태가 발생될 위험이 있으므로 계측기를 설치하여 지표의 변위발생을 모니터링하고, 변위가 발생될 경우 긴급복구가 필요한 지역으로 판단된다. 영역 II는 토사유실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붕괴(slope failure)가 예상되므로, 향후 지속적인 관찰과 보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역 Ill은 상부로부터 집수되는 지표수 배제 및 상부 너덜(talus)지역으로부터 침투된 지하수의 배제를 위한 시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역 IV는 현재 안정한 지역으로 가능하면 절취 등 훼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2003. 산사태 발생원인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산림청. 563pp.
  2. 건설교통부. 2002.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320pp
  3. 朴在鉉, 崔敬, 李壽坤, 麻鎬燮, 李宗學, 禹保命. 2003. 內三里 땅밀림형 山沙汰의 發生特性에 관한 分析 (I) -地形 및 地質特性을 中心으로-. 한국임학회지 92(3): 246-253
  4. 朴在鉉, 崔敬, 裵鍾淳, 麻鎬燮, 추宗學. 2005. 매리 땅밀림형 山沙汰의 發生特性에 관한 分析 (I) -地形 및 地質特性을 中心으로 -. 한국임학회지 94(2): 인쇄중
  5. 우보명, 박재현, 최형태, 전기성, 김경훈. 1996a. 휴석동 땅미끄러짐 산사태의 발생특성에 관한 연구(I) - 땅미끄러짐 산사태지구의 지형 및 지표층위특성. 한국임학회지 85(4): 565-570
  6. 우보명, 박재현, 최형태, 전기성, 김경훈. 1996b. 휴석동 땅미끄러짐 산사태의 발생특성에 관한 연구(II) - 땅미끄러짐 산사태지구의 지칠 및 수문특성. 한국임학회지 85(4): 571-576
  7. 이영남. 1991. 산사태(지반공학과 자연재해 11). 대한토질공학회지 7(1): 105-113
  8. 임업연구원. 2003. 산지개발에 따른 산사태 발생특성 및 산지토사재해 예지 시스템 개발. 농림부. 306pp.
  9. 전성기. 2001. 실무자를 위한 사면안정화 설계실무편람. 과학기술. 278pp.
  10. 최 경. 2001. 산사태 예보와 위험지 판정기술. 방재연구 3(4): 15-27
  11. 한국도로공사. 2000. 도로설계실무편람(토질 및 기초). 한국도로공사. p. 6
  12. 池谷浩. 2004. 土石流災害. 岩波新書. 222p.
  13. 廣住富夫, 阿部宗平, 野田猛, 瀨戶俊彦. 1990. 卜ウマン グン(インドネシア)の地すべり災害. 新砂防 42(6): 57-59
  14. 久保田宏. 1985. 平谷地すべり地内における水路工の破壊 の現況と補修. 治山林道硏究發表論文集 20: 203-209
  15. 矢野 勝. 1983. 小豆島當賓地區北原地すべり. 治山林道硏究發表論文集 18: 200-203
  16. 中村俊彦. 1981. 地すべり發生豫知についての硏究(I). 治山林道硏究發表論文集 16: 162-163
  17. 士木施設防災工法硏究會. 1984. のり而及び斜面災害復舊工法. 山海堂
  18. Varnes, D.J. 1984. Landslide hazard zonation: A review of principle and practic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pp. 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