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pment of Analysis and Evaluation Model for a bus Transit Route Network Design

버스 노선망 설계를 위한 평가모형 개발

  • 한종학 (인천발전연구원 교통물류연구실) ;
  • 이승재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종형 (인천발전연구원 교통물류연구실)
  • Published : 2005.01.01

Abstract

This study is to develop Bus Transit Route Analysis and Evaluation Model that can product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measures for Bus Transit Route Network Design. So far, in Korea, there are no so many models that evaluate a variety of other performance measures or service quality that are of concern to both the transit users and operator because of lower-level bus database system and transit route network analysis algorithm's limit. The BTRAEM in this research differ from the previous approach in that the BTRAEM employs a multiple path transit trip assignment model that explicitly considers the transfer and different travel time after boarding. And we develop input-output data structure and quantitative performance measure for the BTRAEM. In the numerical experimental applying BTRAEM to Mandl transit network, We got the meaningful results on performance measure of bus transit route network. In the future, we expect BTRAEM to give a good solution in real transit network.

본 연구에서는 버스 노선망 설계 과정에서 다양한 평가지표의 정략적 산출이 가능하고 관련 주체들의 입장과 시각을 반영할 수 있는 버스 노선체계 평가모형(BTRAEM: Bus Transit Route Analysis & Evaluation Model)을 개발하였다. 우리나라 대도시 버스 노선망의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고 노선체계를 새롭게 정비하는데 있어 가장 큰 문제점은 평가지표를 정량화 할 수 있는 자료기반의 미흡과 노선망 분석체계 알고리즘의 한계로 계획가의 직관이나 경험에 의존하거나 교통수요분석 프로그램(EMME/2)에 기반하여 평가지표를 산출하여 노선망을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이 연구에서는 평가모형의 정립을 위해서 국외의 버스 노선망 평가모형의 개발추이를 검토하고, 평가모형에 적용할 번스 노선망 설계 문제의 목적함수와 제약조선을 정의하였다. 또한 평가모형의 구동을 위해서 요구되는 입${\cdot}$출력자료구조와 정량화된 평가지표자료를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버스 이용자들의 대중교통 노선 선택 및 통행배분모형을 평가모형내에 반영하였다. Visual-C++로 구현된 버스 노선망 평가모형을 Mandl's Transit Network에 적용한 결과, 노선망 구조의 성능을 특징짓는 변수들에 대한 의미있는 결과값이 도출되었다. 향후 이 연구에서 개발된 버스 노선망 평가모형은 다양한 버스 노선망 대안에 대해서 관련 이해당사자들의 입장과 시각을 균형 있게 반영할 수 있고 다양한 목표를 조화시킬 수 있는 평가가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상용.박경아(2003), '시내버스노선체계 평가를 위한 정량적 지표의 설정 및 적용', 대한교통학회지, 제21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29-44
  2. 이신해(2002), '대중교통 통행배정 모형개발 및 통행량 기반 대중교통 기종점 통행량 추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윤혁렬(2000), '용량을 고려한 대중교통 통행배정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Baaj(1990), 'The Transit Network design Problem:An AI-based approach', Ph.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5. L. J. Leblanc(1988), 'Transit System Network Design', Transpn. Res.-B Vol.22B. No.5. pp.383-390 https://doi.org/10.1016/0191-2615(88)90042-2
  6. S. Carrese and S. Gori(1998), 'An Urban Bus Network Design Procedure', 6th meeting of the Euro WG on Transportation, Gothenburg, Sweden
  7. Shih, Mao-Chang et al.(1994), 'A Design Methodology for Bus Transit Networks with Coordinated Operaions', SWUTC /94 /60016-1, Center for Transportation, Bureau of Engineering Research,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8. Spiess, H. and Florian, M. (1989), 'Optimal Strategies: A New Assignment Model for Transit Networks,' Transportation Research B,Vol.III,No.2, pp.83-102 https://doi.org/10.1016/0191-2615(89)90034-9
  9. Wei fan et al.(2004.), 'Optimal Transit Route Network Design Problem',SWUTC/04/167244-1, Center for Transportation, Bureau of Engineering Research,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0. Y. Israeli and A. Ceder(1996), 'Public Transportation Assignment with passenger Strategies for Overlapping Route Choice', In Transportation and Traffic Theorv(13th ISTTT), pp.561-588
  11. Y. J. Lee(1998),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Transit Network Design with Integrated Routing and Scheduling,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