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STS Instruction through Science to Enhance Hypothetical Deductive Thinking Skills for Creativity - Water Section of Chemistry I

창의성의 기저가 되는 가설 연역적 사고력 신장을 고려한 과학 교수인 STS 수업 전략의 효과 - 과학 I의 물 단원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student achievement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on STS hypothetical deductive instruction strategy in the water section of high school chemistry. Two 11th grade co-ed high school clas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one control group and one treatment group. After being taught for 10 class periods during the second semester. ANCOVA analysis reveal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two groups' achievement tests. However, analysis by ANCOVA did show that the scores for science-related attitudes in th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5). In particular, the scores of science learning contents and science value about science-related attitud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eatment group.

이 연구에서는 STS 가설 연역적 수업 전략을 고등학교 화학 I의 물 단원의 수업 전략에 사용하여 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과학에 관련된 태도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있는 남녀 공학 고등학교 2학년 자연 계열 학생들이다. 본 연구는 사전 검사로 실험반과 통제반 학생들의 물 단원 관련 과학 학업 성취도와 과학에 관련된 태도를 조사한 후 STS 가설 연역적 수업 전략과 교과서 위주의 전통적 강의식 수업 전략을 총 10차시에 걸쳐 시행한 후에, 학생들이 수업 후 형성된 과학 학업 성취도와 과학과 관련된 태도를 사후 검사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과 관련하여 STS 가설 연역적 수업 전략을 도입한 실험반의 학생들과 교과서 위주의 강의식 수업 방식을 도입한 통제반의 학생들은 과학 학업 성취도 변화에 있어서 실험반의 교정 평균이 통제반의 교정 평균보다 4.26점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둘째, STS 가설 연역적 수업 전략을 도입한 실험반의 학생들이 교과서 위주의 강의식 수업 방식을 도입한 통제반의 학생들보다 과학/기술/사회와 관련된 태도 변화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05).과학에 관련된 태도의 하위 영역에서 실험반이 통제반 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영역은 과학 수업 내용(II영역), 과학 공부(III영역), 과학의 가치(IV영역)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희 (2003). 탐구적 일반화학 실험-우수한 과학교사 양성을 위한 개정판. 서울: 자유아카데미
  2. 강순희, 김지영, 박은미 (2004). 에너지 때문에 상태가 변했어요. 중학교 1학년 상태 변화와 에너지 탐구 수업 자료. 교육인적자원부 . 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서울: (주)서울멀티넷
  3.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 과정. 제 7차 교육 과정 교육부 고시 1997-15 호(〔별책9〕). 서울: (주)대한교과서 주식회사
  4. 권용주, 정완호, 김영신 (1995). STS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3), 303-309
  5. 권재술, 김범기, 우종욱,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 (1998). 과학 교육론. 서울: 교육 과학사
  6.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 (1999). 과학 교육학 개론. 서울 (주)북스힐
  7. 류주현, 유계화 (1997). 고등학교 과학 I (하) 천문영역에 대한 STS프로그램 적용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학회지, 18(6), 473-479
  8. 박승재 (1985). 과학교육. 서울: 교육 과학사
  9. 정완호, 권재술, 정진우, 김효남, 최병순, 허명 (1997). 과학과 수업 모형. 서울: 교육 과학사
  10. 조현순, 정영란 (1995). STS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환경 문제에 대한 태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3), 310-315
  11. 조희형 (2003). 일반 과학 교육학. 서울: 교육 과학사
  12. 조희형, 박승재 (1995). 과학 학습 지도. 서울: 교육 과학사
  13. 조희형, 최경희 (1997). STS란 무엇인가. 서울: 사이언스북스
  14. 조희형, 최경희 (2001). 과학 교육 총론, 서울: 교육 과학사
  15. 최경희 (1996). STS 교육의 이해와 적용. 서울: 교학사
  16. 최경희, 김추령 (1995). STS 수업 방법과 전통적 수업방법에 의한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및 과학과 관련된 태도에 관한 연구. 물리 교육, 13(1). 17-22
  17. 한안진 (1987). 현대 탐구 과학 교육. 서울: 교육 과학사
  18. Bybee, R.w. (ed) (1985). NSTA Yearbook : Science, Technology, Society. Washington, D. C.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9. Kauchak, D. & Eggen, P. (1986). 과학과 학습 모형의 이론과 실제(최돈형 역). (pp. 366-367). 서울: 교육과학사(원저 1980 출판)
  20.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Belmont, California
  21. Layton, D.(Eds.). (1986). Innovat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Vol. I, II, III, IV, V, Unesco 1986: Belgium
  22. Siolmon, J. (1993), Teaching science, technology, society. Buckingham: OpenUniversity Press
  23.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990). Science-Technology-Society: A New effort for Providing appropriate science for all, A NSTAPosition Statement. Washing D. C. NSTA 1-4
  24. Yager, R. E. and Tamir, P. (1992), STS Approach: Reasons, Intensions, Accomplishments and Outcome, Science Education Center, The University of Iowa
  25. Yager, R. E. and Tamir, P. (1993), STS Approach: Reasons, Intensions, Accomplishments and Outcomes, Science Education, 77(6), 637-658 https://doi.org/10.1002/sce.3730770607
  26. Yager, R. E. (2001). Science-Technology-Society and education: A focus on learning and how persons know, In S. H. Cutcliffe & C. Mitcham (Eds).,Vision of STS. Albany: State of University of New York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