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liti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rogram Oriented Social Studies

우리나라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목표와 내용분석

  • Park, Soon-Ho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Youn, Seong-Ja (Daegu Kyungdong Elementary School)
  • 박순호 (대구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 ;
  • 윤성자 (대구 경동초등학교)
  • Published : 2005.04.30

Abstract

Environmental education has been introduced in elementary education in the early 1980s; while,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was not improved as much as the educators expected. This paper analyzed the contents of environment education in the textbooks and objectives of the teacher's guidebooks i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The proportion of cognitive objectives were higher than affective ones. Environment preservation and countermeasure, natural environment, environment pollution were overemphasized in all grades.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not progressed; it did not follow the spiral curriculum. Social studies dealt with on built environment, populatio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resources that the other subjects did not much concern on. Geographic area in social studies was well fit to teach environment as a holistic approach. Environmental programs oriented geographic area within social studies could help to conduct outdoor activities in the residential areas; therefore,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would be improved.

지난 20여년에 걸친 우리나라 학교 환경교육은 기대만큼의 친환경적 행위 함양에 기여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제7차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교사용 지도서 및 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수업목표는 인지적 목표 중심이고, 시수도 학년별로 매우 불규칙하다. 환경교육의 내용은 환경보전 및 대책, 자연 환경, 환경오염에 편중되어 있고,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심화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속성도 결여되어 있다. 그런데 사회과는 타 교과보다 환경교육의 목표와 내용의 비중이 높고 타 교과에서 다루어지지 않는 인공환경, 인구, 산업화와 도시화, 자원영역 등이 교수 학습되고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의 친환경적 행위를 함양시키기 위한 한가지 방안으로 사회과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타 교과의 환경관련 내용과 시간을 통합하여 거주지역 중심의 체험학습을 실시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