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graphical Metacognition in the Reading Maps Inquiry Activity

중학생의 '지도 읽기' 탐구활동에서 나타나는 지리적 메타인지

  • Published : 2005.04.30

Abstract

Since the 1980's, metacognition has been one of the core subjects in the studies on teaching-learning.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onsiderations about the metacognition in the reaching-learning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relation with learner's thinking. Though, metacognition has now become important concept used in learning process,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researches in geographic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rer is to define metacognition concept in geograpbic education. First, the concept of metacognition in geograpbic education, alike in the other education, can be classified as metacognitive knowledge and metacognitive function. Metacognitive knowledge can be categorized as knowledge about self, task, and strategy. Metacognitive function can be categorized as function about monitoring, evaluating and controling. Next, based on geographical metacognition concept, this paper is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ical metacognition in the students' reading maps inquiry activity.

1980년 이래로 메타인지는 교과교육적 관점에서 교수-학습 과정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학습자의 사고와 학습자의 학습을 효율화할 수 있는 개념으로 그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지만, 지리교육에서는 이에 대한 관심이나 연구가 부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 메타인지를 교과교육의 일반적인 분류에 따라 메타인지적 지식(개인, 과제, 전략)과 메타인지적 기능(점검, 평가, 제어)으로 개념화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지리적 메타인지 개념을 바탕으로 중학생의 '지도 읽기' 탐구활동에서 나타나는 지리적 메타인지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는 20명의 지리학습 우수아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이므로 지리적 메타인지 특성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지리적 메타인지로 충분히 발생 가능한 양상으로 고려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학습자의 학습을 이해하곤 좀더 적극적이고 효율적으로 조력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