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Coastal Area in Oncheon Gun of Pyeongnam Province by Neural Network Classification Using Satellite Images, West Coast of North Korea

위성영상의 신경망 분류에 의한 평안남도 온천군 해안지역의 환경 변화 연구

  • Lee, Min-Bo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NUE) ;
  • Kim, Nam-Shin (Institute of Education for National Unification, KNUE) ;
  • Lee, Gwang-Ryul (Institute of Education for National Unification, KNUE) ;
  • Han, U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KMA)
  • 이민부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 김남신 (한국교원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
  • 이광률 (한국교원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
  • 한욱 (육군사관학교 환경학과)
  • Published : 2005.04.30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geomorphic, environmental and land use changes by comparative analysis using Landsat TM images of 1988 year and ETM ones of 2002 year, partly together with the new Quick Bird images having 60cm resolution for more detail analysis, focusing on the Oncheon gun(county) in Pyeongnam Province, west coast zone of North Korea. The main analysis methodology is neural network classification, which is more advanced techniques for the classification of land cover and land use, with higher accuracy rate and lower errors. The TM images of 1988 year show, mainly, the on-construction tide embank for the reclamation at Gwangryangman bay and salt farm on the reclaimed tidal flat. But, ETM images of 2002 year present stabilized reclaimed land, salt farm and rice field, recently transformed from salt farm. Especially, new tidal land has been naturally developed on the coastal shallow out of tide embank and salt farm. The results of the study may help to database coastal environmental changes and to support for reasonable and productive land use of North Korea, and to manage and plan unified national land in the near future.

본 논문은 1988년 Landsat TM 영상과 2002년 ETM 영상의 신경망 분류법을 이용하여 북한 서해안 평남 온천군 해안지역의 지형 및 환경변화, 토지이용의 변화과정을 추정한 것이다. 연구지역 내에서도 변화가 특히 심한 광량만과 서부지역은 해상도 60cm의 Quick Bird 영상을 통해 정밀한 지표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인공신경망 기법은 역전파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보다 높은 분류 등급과 분석 오차의 감소 등 개선된 지표 피복 변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1988년 TM영상과 2002년 ETM 영상의 비교에 의한 측정 변화의 결과를 보면, 1988년 건설 중이던 광량만 방조제가 2002년에는 완성된 상태였다. 그리고 1988년의 간척지는 주로 염전으로 많이 이용되었으나, 2002년에는 염전과 함께 안정화된 간척지, 염전에서 전향된 논농사 지역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두드러진 변화는 간척된 염전이나 방조제 외곽에 새로운 간석지 지형이 형성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북한 해안환경 변화의 database화, 북한의 합리적이고도 생산성 있는 토지이용에 대한 협력방안 강구, 통일 후 국토관리 및 계획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