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산업단지에 대한 재정지출의 경제적 효과

The Economic Effect of the Public Financial Expenditure on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 발행 : 2005.03.0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산업단지에 대한 재정지출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국가산업단지에 대한 계정지출은 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에 대한 직접적 지원보다는 기반시설 투자 등 간접적인 지원에 치중해 있기 때문에, 국가산업단지에 대한 계정지출의 평가는 간접적이고 우회적인 방법으로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산업단지의 계정지출에 대한 효과를 3단계의 분석방법으로 평가하였다. 1단계에서는 다중회귀모형을 통해 국가산업단지에 대한 계정지출이 국가산업단지 입주기업의 분양, 생산, 고용 등 투자와 운영의 활성화에 얼마나 효과를 가져왔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2단계에서는 다중회귀모형을 통해 국가산업단지에 대한 투자가 궁극적인 정책목표인 국가 및 지역경제 성장에 얼마나 효과를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3단계에서는 1단계, 2단계 분석 내용을 종합하여, 국가산업단지에 대한 재정지출이 국가 및 지역경제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1단계로 국가산업단지 기반시설에 대한 재정투자는 단기적으로는 국가산업단지 입주기업의 분양에 정(+)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입주기업의 분양의 증가가 입주기업의 고용과 생산에 정(+)의 효과를 가져와, 장기적으로는 국가산업단지에 대한 재정지출이 시차를 두고 고용자수와 생산액에 정(+)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국가산업단지 투자 및 운영의 활성화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평가된다. 2단계로, 회귀모형 추정을 통해 산업단지 분양면적이 지역내총생산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산업단지에 대한 투자는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1단계, 2단계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국가산업단지 기반시설에 대한 계정투자는 국가산업단지 투자 및 운영의 활성화 효과를 가져오고, 국가산업단지 투자 및 운영의 활성화는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평가된다.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economic effect of the public financial expenditure on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Since public finance support is indirectly supplied to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the economic effect of the public financial expenditure on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may be analyzed indirectly and circuitously In this contort, this paper uses 3 stage analysis method. In the first stage, the economic effect that the public financial expenditure influence the allotment, production and employment of companies residing in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i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second stage, the economic effect that the investment on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influence the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es i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third stage, the economic effect of the public financial expenditure on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is analyzed through the compromising the results of the first and second stage.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ly, public financial expenditure on the infrastructure of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leaded to positive growth of the allotment of companies residing in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Additionally, growth of the allotment of companies leaded to the positive effect on the production and employment of companies. And secondly, growth of the allotment of companies leaded to the positive effect on the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ion. Finally, financial expenditure on the infrastructure of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leaded to positive effect on the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through the compromising the results of the first and second stag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웅용 . 차미숙, 2001, 지역개발사업의 파급효과분석기법 및 적용 연구, 국토연구원
  2. 김홍배, 2001, 도시 및 지역경제 분석론, 지문당
  3. 김홍석, 1999, 안산테크노파크 조성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경기개발연구원
  4. 민경휘,2004, '산업단지의 지역경제발전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산업입지 4월호, 한국산업단지공단
  5. 박기백 외, 2002, 예산사업의 사업평가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6. 박영철, 2002, 해외직접투자에 따른 산업입지 대응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7. 박영철, 2003,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산업단지 개발 방향, 국토연구원
  8. 박재룡, 1996, '주요 국가 공업단지 경쟁력 비교,' CEO Informantion, 51, 삼성경제연구소
  9. 박재룡 외,1999, IMF 시대의 지방첨단산업단지개발의 효율화 방안, 삼성경제연구소
  10. 산업자원부 . 한국산업단지공단, 2002, 외국인기업전용단지 적정후보지 선정 및 제도개선방안 연구
  11. 임종인 . 박종배 . 김진영, 2002, 주요국 산업단지의 입지경쟁력 비교와 정책 시사점, 한국산업단지공단
  12. 전명진 . 진광현, 1998, '산업단지개발의 공간적 파급효과 분석,' 국토계획, 33(6),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3. 조혜영, 2004, '산업단지 현황 및 정책과제,' 산업입지, 4월호, 한국산업단지공단
  14. 진영환 외, 1980, 산업기지개발의 지역파급효과 분석, 국토 연구원
  15. 한국산업단지공단, 2003, 산업입지요람
  16. 한국산업단지공단 . 아시아개발연구원, 1998, 공장설립제도 국제비교연구
  17. Krugman, P., 1998, Space: The final frontier,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12(2), 161-174 https://doi.org/10.1257/jep.12.2.161
  18. OECD, 1997, Industrial Competitiveness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 The Role of Government
  19. Thompson, C., 1989, High-technology theories and public policy, Environment and Planning, 7
  20. Wilson, A. G., 1974, Urban and Regional Models in Geography and Planning, John Wi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