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장애인의 의료기관 접근성 조사: 서울시 종로구 병의원을 대상으로

Accessibility of the disabled to Health Care Institution : A Case Study of Chongno-Gu in Seoul

  • 이진용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
  • 장명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 김가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 윤수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 이자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 정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 도영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
  • 이범석 (국립재활원) ;
  • 김완호 (국립재활원) ;
  • 박기동 (질병관리본부 방역과) ;
  • 김용익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 Lee, Jin-Yong (Department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ang, Myung-Wha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
  • Kim, Ka-Yu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un, Su-Mi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Ja-Ho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eong, Ju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Do, Young-Kyung (Department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Bum-Suk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National Rehabilitation Hospital) ;
  • Kim, Wan-Ho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National Rehabilitation Hospital) ;
  • Park, Ki-Dong (Division of Communicable Disease Control,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 Kim, Yong-Ik (Department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6.09.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adequately equipped with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160 healthcare institutions in Jongno district, Seoul. Healthcare institutions were equipped an average of 3.7 facilities out of 10. General hospitals had an average of 5.0 facilities, which was higher than an average of 3.6 facilities for private clinics (p<0.05). Of 160 healthcare institutions, only 13 (8.1%) offered easy access to the outpatient setting from the entrance for wheelchair users, highlighting difficult wheelchair access within hospitals. To provide easy access to medical service for the disabled, more accessible designs need to be adopted as part of the effort to improve public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lso, universal designs could be applied for newly constructed roads, structures and transportation vehicles to maximize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Increased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in the community will eventually increase the use of healthcare institu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성진. 장애인 노인 등을 위한 편의증진 방향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1997; 4: 20-26
  2. 김성희.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 및 개선방안. 보건복지포럼 1998; 2: 66-75
  3. 김신원, 강태순. 지체장애인 이동 편의시설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서울권 5개 주요 문화시설의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003;31(3):1-16
  4. 김양우. 종합병원 대기공간 편의시설 재배치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5.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03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 .2004
  6. 박순일, 권선진. 장애인 노인을 위한 편의시설 확충방안.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7
  7. 안관옥. 공공건물 장애인시설 '전시용' 한겨레신문 2005년 4월 18일자 인터넷판 .Available from: URL:http://www.hani.co.kr/section-005100033/2005/04/005100033200504182007209.html
  8. 이범석, 김용익, 박기동, 김완호. 장애인 보건의료서비스 체계 구축 방안 연구. 서울: 국립재활원; 2003. 건강증진기금 연구비 지원
  9. 이성일. 장애인의 정보접근권 향상을 위한 보편적 설계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공학회지 2000;26(4): 402-410
  10. 장애인 . 노인 .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제정 1997.4.10 법률 5332호)
  11. 정지아. 의료시설의 접근을 위한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분석; 서울시내 종합병원의 장애인 편의시설을 중심으로[석사학위 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1999
  12. 조원탁, 김상욱, 하민경. 장애인의 공공시설 이용접근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사회복지정책. 1999;8:125-148
  13. 최승권, 손미진. 특수체육 특수아체육 생활체육 :스포츠센터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현황. 한국체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 1998
  14. 하상범. 장애인의 접근권에 관한 연구-지하철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조사를 중심으로[석사학위 논문]서울: 숭실대학교 대학원: 1998
  15. 한겨레신문. 공공기관 장애인 편의시설 미흡. 2005년 4월 18일자 인터넷판 Available from: URL: http://www.hani.co.kr/section-005100009/2005/04/005100009200504181430676.html
  16. 한명기. 전국 종합병원 편의시설의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대 학원;1992
  17. UN. Vienna Declaration and Programme of Action. Available from: URL: http://www.ohchr.org/english/law/vienna.htm

피인용 문헌

  1. Unmet Healthcare Needs in People with Disabilities: Comparison with the General Population in Korea vol.35, pp.5, 2011, https://doi.org/10.5535/arm.2011.35.5.627
  2. Access to Medical Services in Korean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vol.38, pp.2, 2014, https://doi.org/10.5535/arm.2014.38.2.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