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reen-tourism Performance Indicators by Using BSC on Rural Village

BSC에 의한 농촌마을 그린투어리즘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Um, Dae-Ho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Rural Community) ;
  • Kim, Dae-Sik (Agriculture Corporation, Dept. of Bio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Tai-Cheol (Agriculture Corporation, Dept. of Bio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Eun-Soon (Agriculture Economic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엄대호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 김대식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공학부) ;
  • 김태철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공학부) ;
  • 김은순 (충남대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경제학과)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Recently, increases of leisure activities and 5-day workweek system enforce government employ rural tourism policy and projects. Operating projects are Green Rural Experience Village, Rural Tradition Theme Village, etc. In this study under investigation of Green Rural Experience Village site, Green-Tourism performance indicators were developed. Green-Tourism performance indicators of rural village were developed by BSC(balanced scorecard) an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Four perspective of BSC are divided into financial perspective, customer, internal-business process, and teaming and growth perspectives. To develop green-tourism performance indicators of rural village, low perspectives of BSC are converted into investment effect, visitor, internal process, and village inhabitants perspectives. By these perspectives, green-tourism performance indicators of rural village were developed. Weighting values on importance were calculated by AHP. Performance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applied in 12 villages. With the result, generally well-known villages gained high score, and in accord with survey content.

Keywords

References

  1. 강황선, 권용수, 2004, 조직성과평가결과에 관한 공무원의 수용성 제고방안 -성과평가 체제의 제도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16(4) : 789-811
  2. 고영선, 윤희숙, 이주호, 2004, 공공부문의 성과관리, 한국개발연구원
  3. 공병천, 2004, 자체평가 및 상위평가 개선방안, 한국행정연구원
  4. 권정아, 2001, 환경친화적 농촌계획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과 적용성 검토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남조, 2004, 농촌어메니티 개념과 관광현상 구성요 소를 이용한 농촌관광정책의 방향, 관광학연구 28(1) : 263-281
  6. 김대식, 1999, 지리정보시스댐과 다기준평가법을 이 용한 농촌중심마을 계획 모의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 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대식 외 3 인, 2005, 농촌관광기반의 지속가능한 마 을정비 유형의 설정,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1(1) : 45-53
  8. 김대식, 정하우, 2003, 농촌마을계획 지원을 위한 통 합계획모의모형의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9(4) : 43-51
  9. 김대식, 2003, 관광객의 체류형태를 고려한 마을정비 방향,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87-90
  10. 김덕기, 2004, 지역관광사업 평가체계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11. 김향자, 2001, 관광지 평가체계 개발 및 운영방안, 한국관광연구원
  12. 김현, 2005, 농촌관광의 선택속성에 따른 시장세분 화, 농촌관광연구 12(1) : 51-72
  13. 김현, 이희찬, 2004, 농촌관광 수요모형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19(2) : 132-146
  14. 김현수 외 7 인, 2005,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효율 적 추진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연구(1),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15. 노화준, 1995, 정책평가론, 법문사
  16. 노화준 외, 2005, 기획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7. 농림부 . 농업기반공사, 2003, 농공기술용어사전, 한국 농공학회 편수
  18. 라휘문, 한표환, 1999, 지방자치단체의 성과평가를 위 한 지표개발, 한국정책학회보 8(2) : 93-114
  19. 류선무 외 5인, 2003, 그린투어리즘 이론과 실제, 경복대학 청송관광농업연구소
  20. 모철민, 1986, 관광개발정책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덕병 외 2 인, 2004, 농촌관광 시장 세분화 연구, 관광연구 28(2) : 193-212
  22. 박덕병, 이혜현, 2005, 농촌관광 마을별 농촌관광 체 험활동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상응분석을 중심으로, 농촌관광연구 12(1) : 141-156
  23. 박주석 외 2인, 2005, 공공부문의 정보화사업 평가를 위한 BSC기법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6(3) : 201-224
  24. 박중훈, 1998, 결과중심의 성과측정 및 성과관리체제 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5. 박중훈, 2003, 성과계약에 기초한 행정서비스의 민간 위탁 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6. 박창원 외 2인, 2004, 농촌마을 개발방향 설정을 위한 자원 평가기법 연구 10(1) : 9-17
  27. 배승종, 2005, GIS 및 RS 기법을 이용한 면수준 농 촌어메니티 가치평가 모델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송미령, 성주인, 2004. 주민참여형 마을개발사업의 평 가와 모형 정립,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9. 신용광 외 2인, 2005, 계층분석과정(AHP)을 이용한 친환경농업정책 프로그램의 우선순위 결정, 농촌정책 28(2) : 39-56
  30. 심원섭, 류광훈, 2001, AHP에 의한 관광개발정책사 업의 평가지표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관관연구논총 13 : 135-156
  31. 안경섭, 2005, 정부투자기관의 경영성과평가 연구(균 형성과표(BSC) 활용),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엄대호 외 10인, 2004, 농촌체험마을의 사후평가 및 관리체계 방안 연구-'02-'04년도 지원된 사업을 중 심으로,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33. 엄대호 외 5인, 2004, 농촌경관보전직불제 시범사업 시행방안 연구,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34. 오준환, 2005, SCM과 BSC를 활용한 벤처기업의 평가 및 관리모형 실증 연구, 벤처경영연구 8(2) : 27-53
  35. 유상오, 2001, 그린 투어리즘을 통한 농촌지역활성화 와 환경정비방안, 관광농업연구 8(2) : 32-56
  36. 이관희 외 3인, 2003. 마을환경개선을 위한 주민참여 지표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 9(2) : 13-17
  37. 이경희, 2004, 농촌관광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문화관광연구 6(1) : 333-343
  38. 이근주, 2001, 정책추진역량평가 개선방안(I), 한국행정연구원
  39. 이삼주 외 3인, 2001, 성과측정을 위한 지방예산회계 제도의 기반정비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40. 이삼주, 이상범, 2005, BSC관점에서의 공공부문 성과측정 19(2) : 155-186
  41. 이재원, 2003, 성과계약 기반의 책임운영기관 제도 확 대방안, 한국행정연구원
  42. 전영미, 2000, 농촌문화마을의 주거환경 실태와 주관 적 평가,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전영미 외 5인, 2003, 도시민의 선호를 바탕으로 한 농촌마을의 관광자원 실태와 정비 방향, 농촌계획 9(1 ) : 55-64
  44. 정구점, 2003, BSC를 활용한 호텔경영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5. 조근태 외 4인, 2003, AHP를 이용한 미래유망기술 투자의 우선순위 설정-농촌개발 및 자원분야를 중심 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9(3) : 41-46
  46. 조근태 외 2 인, 2005,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동현출판사
  47. 최수명, 황한철, 1997, 농촌계획지원용 지역자원평가 시스템 구축(II)-AHP기법에 의한 자원요소의 중요도 평가, 한국농촌계획학회지 3(2) : 50-61
  48. 최수명 외 2인, 1997, 농촌계획지원용 지역자원평가 시스템 구축(I)-자원평가 구성요소의 목표체계 구축 -. 한국농촌계획학회 3(1 ) : 54-67
  49. 캐플런, 노튼, 1998. BSC : balanced score card, 한언
  50. 표성수외 2인, 2005, 관광지 지식과 균형성과표 관점 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6(1) : 1-17
  51. 한경수, 1999, 농촌마을 수준의 지역자원 평가시스템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52. 한만중, 1995, 전략적 성과측정시스템 연구, 한국생 산성본부
  53. Greffe, X., 1994, Is rural tourism a lever for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Journal of Sustainable Tourism 2(1&2) : 22-40 https://doi.org/10.1080/09669589409510681
  54. Green Globe, 2004, Travel and Tourism Industry Benchmarking Methodologies
  55. Green Globe, 2003, Green Globe 21 Company Standard for Travel & Toursim
  56. Hall, C. M., and Jenkins, J. M., 1996, Tourism and Public Policy, International Thomson Business Press
  57. Jenkins, J. M., 1994, Rural Recreation and tourism, in D. Mercerced., New Viewpoint in Australian Outdoor Recreation Recreation Research and Planning Hepper Marriott and Associates
  58. Kaplan, R. S. and Norton, D. P., 1992, The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January-February, 71-79
  59. Kaplan, R. S. and Norton, D. P., 1996, Using the Balanced Scored as a Strategic Management System, Harvard Business Review, January-February, 75-85
  60. Kaplan, R. S. and Norton, D. P., 1997, Why does Business Need a Balanced Scorecard?, Journal of cost management, May-June, 5-10
  61. OECD, 1994, Tourism Policy and International Tourism in OECD Countries: 1991-199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62. Saatty, Thomas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 allocation, McGRAW-Hill International Book Company
  63. Sarply, R., & Sharpley, J., 1997, Rural tourism: An introduction, London, UK: International Business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