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경관의 수면폭 변화에 따른 시각적 선호도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Preference of Keum River Sceneries at Different Water Level

  • 유상완 (중부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발행 : 2006.02.28

초록

본 연구는 수량에 의한 수면폭의 변화로 인한 하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변 환경이 일정할 때 수량에 의한 수면폭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선호되어지는가?'에 대한 연구의문에서 출발하여 금강경관의 수면폭에 미치는 선호요인을 구명하였다. 1) 수면폭 변화에 따른 금강경관의 시각적 선호요인 변수는 먼저 갑천의 경우 감정적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심미성 인자, 개성적 인자 4개의 변수, 무주의 경우 감정적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2개 변수로서 모두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모든 선호요인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시각적 선호의 값도 증가를 가져오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2) 다중회귀모형에서 다른 조건이 불변일 경우, 갑천, 무주 모두 감정적 인자의 값이 증가할 때 전체적인 시각적 선호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다음으로 물리적 특성 인자가 두 번째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선호요인이 시각적 선호에 기여하는 상대적 중요도는 갑천의 경우 감정적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심미성 인자, 개성적 인자 순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적 인자는 개성적 인자에 비해 4.3배만큼 중요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무주의 경우 감정적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순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적 인자는 물리적 특성 인자 비해 1.1배만큼 중요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 장소 모두 감정적 인자가 가장 중요한 선호요인으로 판명되었다. 수면폭 변화에 따른 금강경관의 시각적 평가에 의한 요인분석 결과는 하천의 수면 폭 및 수량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is study has evaluated the visual preference factor of Keum river sceneries which could vary according to the change of water level while other scenic environment near by the river did not change. 1) At Gap Cheon site, the variances of the visual preferences for river scenery at different water level are determined as emotional, physical, aesthetic and individual factor. At Mujoo site, the variances of the visual preferences are determined as only two factors such as emotional and physical factors. Those factors show significant relations. All of the visual preferences are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preference factors. Also decreasing of preference factors result in decreasing of visual preferences. 2) In multiple regression model, both the Gap cheon site and Mujoo site show that the increase of emotional factor affect most to visual preference when other conditions are fixed. The physical factor affect less than the emotional factor. At Gap cheon site, the relative importance level which the preference factors contribute to the visual preference appears as the order of emotional, physical, aesthetic and individual factor. Emotional factor's importance level is 4.2 times greater than individual factor. At Mujoo site, the relative importance level which the preference factors contribute to the visual preference appears as the order of emotional and physical factor. The emotional factor's importance level is 1.1 times greater than physical factor. It is clearly indicate that the emotional factor is most important preference factor in both study sites. The factor analysis results of Keum river scenery at different water level using the visual evaluation method affect a lot to the quantification of river instream flow and water leve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