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Forest Fire Damage Areas Using Spectral Reflectance of the Vegetation

식생의 분광 반사특성을 이용한 산불 피해지 분석

  • Choi, Seung-Pil ;
  • Kim, Dong-Hee ;
  • Ryutaro, Tateishi
  • 최승필 (관동대학교 토목교통공학부) ;
  • 김동희 (일본 국립치바대학 자연과학연구과) ;
  • 건석육태랑 (강릉영동대학 토목건설과)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Forest damage is a worldwide issue and specially, a forest fire involves damage to itself and causes secondary damage such as a flood etc. However, actually, clear analysis on forest fire damage can be hardly conducted due to difficulty in approaching a forest fire and quite a long period of time for analysis. To overcome such difficulty, recently, forest fire damage has been actively investigated with satellite image data, but it is also difficult to obtain satellite image data fitted to the time a forest fire occurred. In addition, it is burdensome to verify accuracy of the obtained image. Therefor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look into the damaged districts from forest fires by reference to spectrorad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obtained vegetation with a spectroradiometer as preliminary work to use satellite image data. To begin with, the researcher analyzed the field survey data each measured 3 months and 6 months after occurrence of a forest fire by judging the extent of the damage through visual observation and using a spectroradiometer in order to investigate any potential errors arising out of one-time visual observation. Besides, in this study, groups showing possibilities that trees might be restored to life and wither to death could be classified on the sampling points where forest fire damage is minor.

산림피해는 세계적으로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산불에 의한 피해는 그 자체로서의 피해 뿐 만이 아니라, 홍수 등으로 이어지는 2차 피해로 연결이 된다. 그러나, 산불 발생 당시 접근의 어려움과 상당기간에 걸친 조사기간으로 인하여 산불 피해에 대하여 명확한 분석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최근 들어 인공위성 영상 자료를 이용한 피해 조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위성 영상 자료 역시 산불 발생 시점에 부합하는 자료를 입수하는 것은 매우 힘들다. 또한 입수된 영상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한 작업도 상당한 부담을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 분광방사계를 사용하여 얻어진 식생의 분광방사특성을 이용하여 산불 피해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일차적으로 육안관측에 의해 피해 정도를 판단하고 분광반사계를 이용하여 산불 발생 3개월과 6개월 후에 각각 측정된 현지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 두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일회성 육안 관측에 의해 발생하기 쉬운 오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산불피해가 경미한 샘플링 포인트에서 수목의 소생가능성과 고사가능성을 보이는 군집을 분류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