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Level and Capacity for Multi-piconet in Koinonia High-Rate WPAN

Koinonia 고속 WPAN의 다중 피코넷 레벨 몇 용량 분석

  • 정쌍봉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네트워크시스템연구실) ;
  • 임순빈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네트워크시스템연구실) ;
  • 이태진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네트워크시스템연구실) ;
  • 전선도 (경기공업대학교 전자통신과) ;
  • 이현석 (전자부품연구원 통신네트워크센터) ;
  • 권대길 (전자부품연구원 통신네트워크센터) ;
  • 조진웅 (전자부품연구원 통신네트워크센터)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The KOINONIA is developed to communicate with connection of the short-range devices by the technique of the WPAN. The piconet consists of one master and slaves above one, the multi-poconet consists of parent piconet and child piconets which is formed the basis of parent piconet. The child piconet consists of the child master and slaves. The child master takes a role of the master in the child piconet and the slave in the parent piconet. In this paper, the multi-piconet is made as above, then we estimate the max capacity of assigned CTA by level, number of slaves in child piconet. A super-frame is the maximum 65.535ms of usable capacity. Because of it is a fued number, We suggested quantitatively the fixed reduction of an usable capacity by increases of number of slave and child-master in the piconet. And we analyze the reduction of an available capacity by the increase of number of child piconet.

Koinonia는 고속 무선 개인 네트워크(Wireless Personal Atra Network: WPAN) 기술로 무선으로 근거리 디바이스들을 연결하여 통신을 하기위해 개발되었다. 피코넷(piconet)은 하나의 마스터(master)와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slave)로 구성되며, 다중 피코넷(multi-piconet)은 처음 구성된 피코넷(최상위피코넷: parent piconet)과 이를 기반으로 형성된 하위 피코넷(child piconet)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하위 피코넷은 상위 피코넷에서 슬레이브 역할과 하위 피코넷에서 마스터 역할을 하는 하위 마스터(child master)와 슬레이브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구조로 다중 피코넷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할당되어지는 CTA(Channel Time Allocation)의 최대 용량(maximum capacity)을 계층 수, 하위 피코넷의 슬레이브 수 등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하나의 슈퍼프레임이 최대로 이용할 수 있는 용량(capacity)이 65.535ms로 일정하기 때문에 계층에 따라 형성되는 하위 피코넷의 수와 피코넷에 속한 슬레이브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용량이 감소하는데, 이에 대한 일정한 용량 감소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다중 피코넷의 하위 피코넷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용 할 수 있는 용량의 감소를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IEEE, 'Standards for Part 15.1: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PHY) Specifications fo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WPANs),' Jun. 2002
  2. IEEE, 'Standard for Part 15.3: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pHY) Specifications for High Rat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s),' Sep. 2003
  3. IEEE, 'Standard for Part 15.4: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pHY) Specifications for Low-Rat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LR-WPANs),' Oct. 2003
  4. J. Karaoguz, 'High-Rat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39, No. 12, pp. 96-102, Dec. 2001 https://doi.org/10.1109/35.968818
  5. KETI, Koinonia 표준규격서, 물리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규격버전. 1.0 , 5 . 2003
  6. 조진웅, 주민철 서경학, 류승문, 'WPAN용 Binary CDMA 기술,' 한국통신학회지, Vol. 19, No.5, pp. 136-146, 2002
  7. 박종호, 이태진, 전선도, 연규정, 원윤재, 조진웅, 'KOINONIA 고속 WPAN의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한 채널 타임 할당 및 CAC 알고리즘,' 한국통신학회지 Vol. 30, No. 5A, pp. 417-425, May. 2005
  8. D. Trezentos, G. Froc, I. Moreau and X. Lagrange, 'Algorithms for Ad-hoc Piconet Topology Initialization Evaluation for the IEEE 802.15.3 High Rate WPAN System,' Proc. of IEEE VTC, Vol. 5, pp. 3448-3452, Oct. 2003
  9. A. Rangnekar and K. M. Sivalingam, 'Multiple Channel Scheduling in UWB based IEEE 802.15.3 Networks,' BroadNets, pp. 406-415, Oct. 2004
  10. A. Rangnekar, K. M. Sivalingam and Sumit Roy, 'Impact of Long Acquisition Times on the Performance of IEEE 802.15.3 MAC Protocol,' UMBC/CSEE DAWN Technical Report, Mar.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