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undamental Research for Discomfort Glare Evaluation of Building Interior Artificial Illumination

건축실내 인공조명의 불쾌글레어 평가를 위한 기초적 연구

  • 이진숙 (충남대학교 건축학부) ;
  • 김원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김병수 (건양대학교 인테리어학과)
  • Published : 2006.01.31

Abstract

Evaluating comfort of illumination environment of building interior is recognizing the degree of glare causing discomfort. Currently, to use the experimental formula for discomfort glare studied abroad it would be not appropriate because each races feel about the degree of glare differently. Therefore, this study aim to make up prediction formula for evaluating discomfort glare reasonably from Koreans' vision and it proceeded with 4 stages as follows: First, after reviewing the existing discomfort glare evaluation formula, I selected experimental variables. Second, I made a mock-up that I can control experimental variables and condi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rd, 1 conducted discomfort glare evaluation experiment. Finally, compared with UGR evaluation method suggested for Westerner in prior studies. In conclusion, 1) it's proved that discomfort glare is influenced highly by a light source luminance, background luminance and location of testee and the line of vision. 2) In interior discomfort glare experiment whether the glare light source is placed within range of vision or not has more significant influence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estee. 3) I compared and analyzed with UGR, the most representative discomfort glare evaluation system and I found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in the results. This shows discomfort glare of Koreans and Westerners are different.

건축 실내의 조명환경의 쾌적성을 평가하는 것은 주로 불쾌감을 유발하는 글레어의 정도를 인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재 국외에서 연구된 불쾌글레어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식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글레어의 감각을 느끼는 정도가 인종에 따라 크게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시각적인 특성에 맞는 합리적인 불쾌글레어 평가를 위한 예측식을 작성하는 것을 최종목표로 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4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기존의 불쾌글레어 평가식에 대한 검토를 통해 실험변인들을 선정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실험변인과 조건을 제어할 수 있는 실물대모형을 제작하였다. 셋째, 불쾌글레어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선행연구에서 서양인을 대상으로 제안된 UGR평가법과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1)불쾌글레어는 광원휘도, 배경휘도, 피험자와 시선의 위치 등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실내 불쾌글레어 평가에서 광원과 피험자간의 거리보다 시야내에 글레어 광원이 위치하는 지의 여부가 더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3)대표적인 불쾌글레어 평가시스템인 UGR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한국인의 불쾌글레어감이 서양인과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CIE Technical Committe 3-13, CIE Technical Report : Discomfort Glare in Interior Lighting, CIE117-1995
  2. CIE Technical Committee 3.4, CIE Publication No.15 : Discomfort Glare in the Interior Working Environemnt, 1983
  3. H. E. Einhorn, Unified Glare Rating : merits and application to multiple sources, Lighting Res. Technol. 30(2), 1998
  4. IESNA Lighting Handbook, 1993, pp.79-82
  5. Yukio Arashi Rikuo Muramatsu Sueko Kanaya, Unified Glare Rating(UGR) and subjective appraisal of discomfrt glare, Lighting Res. Technol. 28(4), 1996
  6. ISO-8995:2002 CIE S 008/E-2001 : Lighting of indoor work places, 2002
  7. Van den Berg, T. J. T. P., Importance of pathological intraocular scatterfor visual disability, Documenta Ophthalmologica, 61, pp327-333, 1986 https://doi.org/10.1007/BF00142360
  8. Vanden Berg, T. J. T. P., IJspeert, J. K., de Waard, P. W. T. & Meire, F., Functional quantification of disphany, Documenta Ophthalmologica, 25, pp239-246, 1990
  9. 이진숙, 김병수, 권혁일 ; UGR(Unified Glare Rating)의 보정 및 불쾌글레어 주관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권7호(통권117호), 2003. 7
  10. 이진숙, 김병수 ; 창면 불쾌글레어 지표설정을 위한 기존 불쾌글레어 평가식과의 비교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권9호(통권179호), 2003. 9
  11. 이진숙, 김병수 ; 창면 불쾌글레어 평가실험에 적용된 실험변수의 민감도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권5호(통권187호), 200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