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s of Serum Leptin Levels with Bone Metabolism in the Childhood Obesity

소아 비만에서 Leptin과 골대사의 연관성

  • Kim, Eun 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hosu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Rho, Young il (Department of Pediatrics, Chosu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ang, Eun Seok (Department of Pediatrics, Chosu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Moon, Kyung Rae (Department of Pediatrics, Chosu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Sang Kee (Department of Pediatrics, Chosu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Yeong Bong (Department of Pediatrics, Chosu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Young Hwa (Chosun Medical lnstitute Reseacher)
  • 김은영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노영일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양은석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문경래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상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영봉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영화 (조선대학교 의학연구소)
  • Received : 2006.07.31
  • Accepted : 2006.08.22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leptin on biochemical markers of bone metabolism in childhood obesity. Methods: A total of 50 male children (25 obese and 25 controls) were recruited from the pediatric outpatient clinic at the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November 1st 2005 to May 30th 2006. BMI, body fat percentage, serum leptin, bone-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B-ALP), C-terminal propeptide of type 1 collagen (CICP), total deoxypyridinoline crosslinks (total DPD) were measured. The correlations of leptin with BMI, body fat percentage, B-ALP, CICP, total DPD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In a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leptin after correction for body weight was evaluated if there was a correlation with biochemical markers of bone formation and resorption respectively. Results: The leptin levels of the obes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12). In the obese group, the leptin level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BMI (r=0.551, p=0.01) and the percentage of body fat (r=0.584, p=0.018). In the obese group, of bone markers, B-ALP (r=-0.613, p=0.026) and CICP (r=-0.583, p=0.037)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leptin. B-ALP (r=-0.728, p=0.007) and CICP (r=-0.684, p=0.014)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leptin when corrected for body weight. In the control group, bone markers were not correlated with leptin. In the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ptin and B-ALP (Y=-39.653X+356.341, p=0.026), CICP (Y=-13.437X+ 116.013, p=0.037) respectively in the obese group. Conclusion: Leptin was a significant factor in the bone formation but not in bone resorption in childhood obesity.

목 적: 체중과 지방량이 골밀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비만아에서는 지방 조직에서 합성 분비되는 leptin이 증가되는데, 증가된 leptin이 비만아의 골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연구를 하였다. 방 법: 2005년 11월부터 2006년 5월까지 조선대학교병원 외래를 방문한 50명의 남자(비만아 25명, 정상 체중의 대조군 25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체질량 지수, 체지방률, 삼두박근 피부주름 두께와 견갑골하 피부주름 두께를 측정하고 혈청 leptin과 골대사 지표인 B-ALP, CICP 및 total DPD 농도를 검사하였다. 비만군과 대조군의 신체 계측, leptin 및 골대사 지표 농도를 비교하고, leptin과 골대사 지표와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결 과: 비만군에서 체질량 지수(r=0.551, p<0.05), 체지방률(r=0.584, p<0.05)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Leptin은 골형성 지표인 B-ALP (r=-0.613, p=0.026) 및 CICP (r=-0.583, p=0.037)와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그러나 골흡수 지표인 total DPD (r=0.103)와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대조군에서 leptin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인자는 없었다. 골대사에 영향을 주는 체중을 통제하고 상관성을 알아본 결과에서도 비만군에서 leptin은 B-ALP (r=-0.728, p=0.007) 및 CICP (r=-0.684, p=0.014)와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total DPD와는 연관성이 없었다. 대조군에서는 leptin과 연관성 있는 골대사 지표는 없었다. 비만군에서 골대사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다중 단계별 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종속변수인 B-ALP는 leptin과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Y=-39.653X+356.341, p=0.026), CICP도 leptin과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Y=-13.437X+116.013, p=0.037). 결 론: 비만아에서 leptin은 골형성 지표인 B-ALP 및 CICP와 음의 상관성이 있었으며, 골 흡수가 아닌 골 형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