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광(光)산업 집적지의 형성과 그 특성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Gwangiu Photonics Agglomeration

  • 임영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
  • 박삼옥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Lim, Young-Hun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Sam-Ock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6.12.31

초록

본 연구는 신산업 집적지이자 새로운 산업집적지로서 광주 광산업 집적지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여러 각도에서 살펴보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현지에서 수집한 기업관련 자료와 설문조사의 결과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정책적 측면에서, 국가는 정책의 전체적인 틀과 재정적 지원을 하였고, 지방자치단체는 전략산업을 발굴하여 적극적으로 육성하였다. 이는 광산업의 초기 집적에 중요한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 공간적 측면에서, 광주 광산업 집적은 네트워크 환경을 필요로 하며 생산가치사슬상 기업간 거래관계 못지않게 지식과 기술의 외부성이라는 입지요인에 기반하고 있다. 따라서 광주 광산업 집적지가 단순히 생산거점이 아니라 지식기반경제의 혁신클러스터로 발전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Gwangju photonics agglomeration as a new agglomeration with a new industry. Data used in this study are locally investigatedfirm related data and the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viewpoint of policy, national government suggested the whole policy frameworks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strategic industrial development. Regional government picked up and fostered the strategic industry. The initial support of the national government and role of regional government triggered the initial development of the agglomeration. Second, in the spatial perspective, Gwangju photonics agglomeration is based on the externalities of knowledge and technology as well as the input-output network within value chains of produc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Gwangju photonics agglomeration will be developed as an innovation cluster of knowledge-based economy in the future beyond a mere production base of photonic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