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ng the Governance of Regional Policies in the UK: Collaborative Relationships between Stakeholders within the Cambridge Technopole

영국 케임브리지 지역혁신정책상의 거버넌스 구조: 혁신주체간 협력관계를 중심으로

  • Choi, Young-Chool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최영출 (충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 Published : 2006.04.30

Abstract

The Cambridge Technopole has been recognised as one of the leading clusters in the world, and as such it has been benchmarked by other countries and other regions within the UK.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governance of regional policies in the UK,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stakeholders operating within the Cambridge Technopol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UK has been playing important roles as a customer, regulator and supporter of knowledge sources;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across central departments have been co-ordinated by the DTI, so that overlapping of policies can be prevented; The policies of individual departments relating to regional innovation are co-ordinated by Government Offices for the Region(GOs) in each region, so that departmental sectionalism can be avoided. At the regional level, the EEDA established in the eastern region of England to which the Cambridge Technopole belongs is in charge of implementing all innovation policies within the region in a consolidated way. Networking organisations such as Cambridge Networks (CN) facilitate knowledge exchange between stakeholders, contributing to the building of mutual trust and creating a high level of social capital essential for regional innovation; The system for commercialising university technology and knowledge has been well institutionalised.

본 연구는 영국 케임브리지의 테크노폴을 대상으로 하여 지역혁신정책 거버넌스 구조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 혁신 측면에서 모범적인 사례가 되고 있는 케임브리지 테크노폴을 사례로 지역혁신정책 거버넌스를 분석하기 위하여 Albors et al를 비롯한 여러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응용하여 분석 틀을 설정하였다. 이 분석 틀에 기초하여 국가차원과 지역차원에서 영국 케임브리지 테크노폴의 성장과정에 도입된 혁신정책의 정책목표 및 사업, 혁신주체 및 상호관계, 평가 및 성과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가차원에서는 영국 중앙정부가 구매자, 규제자, 지식원천 지원자로서의 역할이 명확하고, 다양한 정부부처의 정책이 DTI를 거쳐서 통합 조정되고 있으며, 개별 중앙부처의 정책들이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특별행정기관에서 조정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지역차원에서 볼 때, 지역혁신정책들을 통합적으로 조정, 집행하는 전담기관(EEDA)이 있기 때문에 멀티거버넌스로 되어 있는 환경에서도 효율적인 업무의 추진이 가능하다. 지역 내에서는 네트워킹 조직들이 다양한 혁신주체들을 공식 비공식적으로 연계시켜 주고 있으며, 이해 관계자들 간 신뢰를 중시하고 있고, 대학의 지식 및 기술 상용화 제도가 정착되어 있는 점이 성공적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