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 요구를 반영한 사이버 강좌의 재설계 효과

On the Redesign Effect of Cyber Lecture reflected the Requirement of the Students

  • 정상목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 교육과) ;
  • 황성욱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 교육과) ;
  • 송기상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 교육과)
  • 발행 : 2006.02.01

초록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활용한 사이버 강좌는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고 빠른 피드백, 역동적인 학습형태를 이루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사이버 대학의 운영 현황의 문제점, 사례연구, 활성화 연구에 초점을 두고 있어 학습의 주체자인 학습자들에 대한 요구사항을 반영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중략> 설문 분석 결과, 이들이 선호하는 콘텐츠 유형은 텍스트+이미지+동영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불만 사항으로는 학습난이도, 강의분량, 시스템접속, 출석 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불만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개선 방안을 수립하여 이를 새로운 사이버 강좌에 반영한 후 학업 성취도를 검증한 결과 전체 평균 17.3점이 향상되어 매우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성취도결과는 교수자의 관점에서 교수설계도 중요하지만 학습자의 관점에서도 교수 설계도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cyber lecture, which uses the computer system and its networking, has the benefit of learning anytime and anywhere and quick feedback with positive learning system. Now the research on the cyber lecture is actively performed. But most of researches focus on the problems of operational status of cyber colleges, example study and activation study. So there aren't many researches that reflect the requirements of students who are the main force of the learning system. This research asked 145 students from 20 colleges about the cyber lectures and analyzed their requirements. Then it applied then to the cyber lectures and studied its effect. <중략> It removed the factors of these complaints and established a way of improvement to apply it to a new cyber lecture. Then it found the total average for the learning achievement improved by 17.3. It showed high learning achievement. The result of the achievement shows that the teaching design is necessary with the viewpoint of the students as well as the viewpoint of the teache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