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산양산삼 추출물이 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ultivated Wild Ginseng Extract on Preadipocyte Proliferation

  • 김병우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권기록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Kim, Byoung-Woo (Dept. of Internal Medicine, Oriental Medical College, Sangji University) ;
  • Kwon, Ki-Rok (DDept. of Acup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angji University)
  • 발행 : 2007.12.31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ltivated wild ginseng extract on primary cultured preadipocyte and adipocytes. Methods Diminish preadipocyte proliferation does primary role to reduce obesity. So, preadipocytes and adipocytes were performed on cell cultures with using Sprague-Dawley rats and treated with 0.01-1mg/ml cultivated wild ginseng extract. Result At all concentrations, cultivated wild ginseng extract wasn't show the suppress proliferation of preadipocytes significantly and failed to show effects on decomposition of adipocytes except high dosage.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cultivated wild ginseng is not a suitable choice for the treatment of localized obes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수진, 신정아, 윤영숙, 박혜순. 과체중 환자에서 간단한 환자교육이 지방분포 및 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가정의학회지. 2002; 23(6): 769-778
  2. 신순식, 김경철, 최영현, 이용태, 엄현섭, 김창식. 산삼 감정 기준의 객관성. 한의학연구소 동의 한의연 제 5집. 2001; 107-114
  3.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수 공편저. 본초학. 영림사.1994; 531
  4. 중약대사전 편찬위원회. 완역중약대사전. 정담. 1997; (7): 3473-3479
  5. 김성진, 신순식, 서부일, 지선영. 산삼, 장뇌삼, 인삼의 항암효과 비교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04;19(2); 41-50
  6. Se Na Yun, Sang Jung Moon, Sung Kwon Ko, Byung Ok Im, Sung Hyun Chung. Wild Ginseng Prevents the Onset of High-Fat Diet Induced Hyperglycemia and Obesity in ICR mice. Arch Pham Res. 2004; 27(7): 790-796 https://doi.org/10.1007/BF02980150
  7. Ki-Rok Kwon, Jung-Chul Seo. Genetical Identification of Korean Wild Ginseng and American Wild Ginseng by using Pyrosequencing Method. Kor. J. Herbology. 2004;19(4): 45-50
  8. 권기록, 조아라, 이선구. 정맥주입용 산양산삼 증류 약침의 급성, 아급성 독성 실험 및 Sarcoma-180 항암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2003;6(2): 7-27 https://doi.org/10.3831/KPI.2003.6.2.007
  9. 조희철, 이선구, 권기록. 농도별 산양산삼 증류약침의 apoptosis 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2004; 7(2)1-15 https://doi.org/10.3831/KPI.2004.7.2.005
  10. 곡경승, 이선구, 권기록. pH 및 전해질 조절 산양산삼 증류약침의 apoptosis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 침구학회지. 2004; 21(6): 1-17
  11. 권기록. 정맥주입용 산삼약침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2004; 7(1):15-26 https://doi.org/10.3831/KPI.2004.7.1.015
  12. Ki-Rok Kwon, Chi-Wan Park, Min-Soo Ra, Chong-Kwan Cho. Clinical Observation of Multiple Metastatic Cancer Patient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treated with Cultivated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Therapy, J.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5; 22(2): 211-217
  13. 권기록, 윤휘철, 김호연. B16/F10 세포를 이식한 C57/BL6 생쥐에서 산삼약침의 항암효과 및 Doxorubicin에 의한 생식독성 완화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6; 23(1): 105-120
  14. 성태수, 손규목, 배만종, 최정. 오가피의 열수추출액이 고지방식이에 의한 비만유도 흰쥐의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992; 21(1): 9-12
  15. 신미경, 한성희. 서목태추출물이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 흰쥐의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998; 27(5): 940-944
  16. 권미원, 김일한, 박은정, 강병기. 조위승청탕과 배수혈 침구요법을 통한 비만 환자 66례의 임상적 보고.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1; 15(2): 43-51
  17. 신동준, 김달래, 김선형. 태음조위탕과 마황이 비만백서의 leptin에 미치는 영향. 사상의학회지. 1999;13(1): 79-87
  18. 서동민, 이상훈, 이재동. 비만 환자에 대한 조위승청탕의 효과 및 부작용에 관한 임상적 관찰. 대한침구학회지. 2005; 22(3): 145-153
  19. 장진택, 서일복, 김정범. 가미마행감석탕 및 포황이 비만유도백서의 체중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 17(1): 190-202
  20. 박상용, 이병렬. 비만치료에 대한 침구 및 약물치료의 임상적 연구.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한의학논문집. 1994; 2(2): 163-185
  21. 정선희, 남상수, 김용석, 이재동, 최도영 외. 비만환자의 전침치료 임상례. 대한침구학회지. 1999;13(1): 79-87
  22. 주준성, 윤대환, 나창수, 조명래, 채우석. 풍륭ㆍ양릉천에 대한 약침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 백서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 21(2):131-152
  23. 박원필, 권기록, 이은. 산양산삼약침이 고지방식이에 의한 당뇨병 유발 흰쥐에 미치는 영향. 대한약침학회지. 2005; 8(2): 97-108 https://doi.org/10.3831/KPI.2005.8.2.097
  24. 조희철, 이시형, 신조영, 김강산, 조남근, 권기록, 임태진. 웅담과 우황약침이 지방세포 대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7; 24(4): 125-142
  25. Negrel, R. and Dani, C. Culture of adipose precursor cells and cells of clonal lines from animal white adipose tissue. In Adipose Tissue Protocols. G. Ailhaud (ed). Humana Press, Inc., Totowa, NJ. 2001; 225-237
  26. Snyder, P.B., Esselstyn, J.M., Loughney, K., Wolda, S.L. and Florio, V.A. 2005. The role of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s in the regulation of adipocyte lipolysis. J. Lipid Res. 46:494-503 https://doi.org/10.1194/jlr.M400362-JLR200
  27. Rodbell, M. Metabolism of isolated fat cells. I. Effects of hormones on glucose metabolism and lipolysis. J. Biol. Chem. 1964; 239: 375-380
  28. Zalatan, F., Krause, J.A. and Blask, D.E. Inhibition of isoproterenol-induced lipolysis in rat inguinal adipocytes in vitro by physiological melatonin via a receptormediated mechanism
  29. Mcalindon TE, Wilson PW, Aliabada P, Weissman B, Felson DT.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risk of radiographic and symptomatic knee osteoarthritis in the elderly: The Framingham study. Am J Med.1999; 106: 151-157 https://doi.org/10.1016/S0002-9343(98)00413-6
  30. 김도한. 도시 노인의 가족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노인복지학. 2001; 11: 11-13
  31. 임인숙. 다이어트의 사회문화적 환경: 여대생의 외모차별 경험과 대중매체의 몸 이미지 수용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2004; 38(2): 165-187
  32. 강재헌. 비만의 약물요법. 대한의사협회지. 1999;478: 1106-1117
  33.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과학. 서울 : 군자출판사. 2003 : 343-354
  34. 郭靄春編著. 黃帝內經靈樞校注語釋. 天津科學技術出版社. 1989; 63, 289
  35. 龔廷賢. 萬病回春(上). 杏林書院. 1982; 220
  36. 李梴. 編註醫學入門(外集券1). 성보사. 1984; 323
  37. 張介賓. 類經. 성보사. 1982; 586
  38. 中醫硏究院註譯. 中醫症狀鑑別診斷學. 人民衛生出版社. 1987; 43
  39. 許浚. 東醫寶鑑. 南山堂. 1985; 72

피인용 문헌

  1. Intravenous Single-dose Toxicity of Mountain Ginseng Pharmacopuncture in Sprague-Dawley Rats vol.17, pp.3, 2014, https://doi.org/10.3831/KPI.2014.17.026
  2. Mountain cultivated ginseng water boiled extract decreases blood glucose level and improves lipid metabolism in male db/db mice vol.27, pp.2, 2012, https://doi.org/10.6116/kjh.2012.27.2.69
  3. The Clinical Study about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Acupuncture Sens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Pharmacopuncture: Study about BUM Pharmacopuncture, Mountain Ginseng Pharmacopuncture and Sciatica No. 5 Pharmacopuncture vol.30, pp.5, 2013, https://doi.org/10.13045/acupunct.2013043
  4. A 4-Week, Repeated, Intravenous Dose, Toxicity Test of Mountain Ginseng Pharmacopuncture in Sprague-Dawley Rats vol.17, pp.4, 2014, https://doi.org/10.3831/KPI.2014.17.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