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Operational Model of Subject-Based Online Community for Open Access System - with Special Reference to Community Service Functions and Researcher's Participation Will

주제 기반 온라인 학술 커뮤니티의 구축 방향 - 학술 연구자의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한 기능요구사항과 참여의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 김영기 (경성대학교 문과대학 문헌정보학과) ;
  • 정종근 (한국학술진흥재단 지식확산팀) ;
  • 이수상 (부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ccessive online community operational model in response to the world wide open access movement which supports the broadest possible access to published research and other scholarly writings. This study is divided into four areas in a large. First, this study reviewed general community, online community and open access movement. Second, wellknown online scholarly community, i.e., KISTI Society, BRIC, DSpace were analyzed precisely focusing on the administrative and functional factors to find key to success. Third, based on the above two studies, major functions of community services were identified. For this work, community service functions and participation will were asked to the researchers registered in Korea Research Found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bove works, this study presents the important functions of online community services as follows: management function of research results, posting function of issue reports, and provision function of integrated information on research proposal should be provided preferentially to researchers aged 30s and 40s.

본 연구는 학술연구 성과물의 개방과 공유 활동의 국제적인 흐름에 호응하고, 국민들의 학술연구 정보의 자유로운 접근을 보장하기 위한 오픈액세스시스템의 주제기반 온라인 학술 커뮤니티의 성공적인 운영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한 세부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이 네 영역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째는 커뮤니티와 온라인 커뮤니티의 개념과 특성, 주요 성공 요인에 대한 일반적 분석이다. 둘째는 널리 알려진 온라인 학술 커뮤니티인 KISTI의 과학기술 학회마을, 생물학연구정보센터, MIT의 DSpace를 대상으로 기능적인 요소와 구체적인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셋째, 이들 사례의 주요 기능과 성공요인을 토대로 오픈액세스시스템의 핵심기능인 커뮤니티 서비스에 대한 주요기능을 도출하였다. 넷째, 국내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커뮤니티 서비스의 기능 요구도와 참여의지를 설문으로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의 주요 기능은 30-40대의 인문사회계열연구자들에게 초점을 맞추어 특히'연구성과물 관리 기능', '이슈 리포트 게시 기능', '연구 사업 정보 통합 제공 기능' 등을 우선적으로 제공하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수. 2005. 온라인 커뮤니티 형성과 유지에 관한 연구 - 규범적 몰입과 감성적 몰입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대한경영학회지], 48:67-87
  2. 권은경. 2002. 학술잡지 출판의 변화에 의한 학술커뮤니케이션 개선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3(1):77-97
  3. 김승윤, 김세한, 남기찬, 이재범. 2001. 가상 커뮤니티 분류별 성공요인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경영과학회 2001년춘계학술대회논문집], 639-642
  4. 김유정, 조수선. 2001. 사이버 커뮤니티로서의 인터넷 사이트 연구 - 여성 사이트에 대한 탐색적 접근. 『한국언론학보』, 45(3):5-38
  5. 김효근, 이경연, 강소라. 2003. 가상 커뮤니티의 사회적 기반요소가 커뮤니티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Journal of Information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0(1):35-46
  6. 노형진. 2002. 한글 S P S S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형설출판사
  7. 목진자. 2005. 사이버 커뮤니티의 발전 과정과특성. 현상과인식, 96:199-241
  8. 문영주, 이종호, 주상호. 2006. 가상 커뮤니티 유형별 커뮤니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전자상거래학회지], 7(2):1-20
  9. 이종호. 2005. 커뮤니티 지향적설계를 위한 기능요소와 콘텐츠 가치요소가 커뮤니티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논총, 38:83-101
  10. 문준연, 최지훈. 2003. 가상공동체 참여 동기와 공동체 의식, 충성도,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5 ( 2 ) : 71 - 89
  11. 물리학연구정보센터. 2007. Science -attic.org. [cited 2007.3.2].< http://scicence - attic. org/>
  12. 박혜원. 2002. 온라인 커뮤니티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경영학석사 학위논문
  13. 서건수. 2003. 인터넷 커뮤니티의 특성과개인특성이 사용자 충성도에 미치는영향. 경영정보학연구, 13(2):1-2 1
  14. 유시정, 오종철, 홍상진. 2006. 인터넷 커뮤니티 서비스특성이 지식공유활동과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경영학회지, 7(4):153-175
  15. 이재관. 2000. 커뮤니티 요소를 고려하는웹사이트 평가. 경영과학,17(3):119-129
  16. 정경희. 2005. 학술커뮤니케이션전환 과정에 대한 이해: 오픈액세스 모델 적용시도를 통한 고찰. 『정보관리학회지』, 22(3):183-199 https://doi.org/10.3743/KOSIM.2005.22.3.183
  17. 한국.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7. 학회마을 . [cited 2007.3.10].
  18. Baym, N. K. 1995. The Emergence of Communities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sage Publications, Inc
  19. Benjamin, R. 1998. Cyber Communities; Better than being there? Bluprinting to the digital economy; creating wealth in the era of business, Mc Grow -Hill
  20. Farrior J., S. Hacker, P. Judy, A. Kelly ,S. Lawrence & B. Morrison. 2000. On-line Commu nities ,Working Paper, Kellogg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21. Fernback, J & B. Thompson. 1995.Virtual communities: abort ,retry, failure. http://www. well.com/user/hlr/texts/VCcivil.html[cited 2007. 4. 13]
  22. FIC(Fellowship for IC, www.ic .org )
  23. Hag el, J. III. & A. Armstrong. 1997.Net Gain: Expanding marketsthrough virtual ommunities, Havard Business School Press
  24. Jones, Richard, Theo Andrew & John MacColl. 2006. The Insttiutional Repostiory. Oxford Chandos Publishing
  25. Kim, A. J. 2000. Community Buildingthe Web. Berkeley CA: Peachpit Press
  26. Rheingold, H. 1993. The Virtual Community: Homesteading on the Electronic Frontier, Read ing Mass, Addison - Wesley
  27. Simmel G. 1950. The Sociology of George Simme.( New York: Free Press
  28. Tonnies, F. 1967. Community and Society . Lansing: Michigan State Univ. Press
  29. Walmsley, D. 2000'. Community place and cyber space', Australian Geographer. 31(1):5-19 https://doi.org/10.1080/00049180093501
  30. Whitaker V. M. & C. M. Paker .2000. The Factors Enabling and Inhibiting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Internet Virtual Communities: An Australian Case Study, White Paper
  31. Willian, R. L. & J. Cot h rel. 2000'. Four smart ways to run on line communities', Sloan Management Review, 41(4): 81-91
  32. Yoo, W. S., K. S. Suh & M. B. Lee.2001. 'Exploring the fact sen hancing member participat ionin virtual communities',Proceedings of the Fifth Pacific Asia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

Cited by

  1. A Comparative Analysis of Bioinformation Website Services vol.40, pp.1, 2009, https://doi.org/10.1633/JIM.2009.40.1.157
  2. Study on the Building up the Laboratory Database: Case Study from the KOSEN OpenLab Service vol.41, pp.2, 2010, https://doi.org/10.1633/JIM.2010.41.2.095
  3. A Study on Development of GenBank-based Prototype System for Linking Heterogeneous Content vol.40, pp.4, 2009, https://doi.org/10.1633/JIM.2009.40.4.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