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anocrystalline Si formation inside SiNx nanostructures usingionized N2 gas bombardment

이온화 N2 가스 입사를 이용한 SiNx 나노구조 내부의 Si 나노결정 형성

  • 정민철 (포항방사광가속기 연구소 빔라인부) ;
  • 박용주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나노소자 연구 센터) ;
  • 신현준 (포항방사광가속기 연구소 빔라인부) ;
  • 변준석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물리학과) ;
  • 윤재진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물리학과) ;
  • 박용섭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물리학과)
  • Published : 2007.11.30

Abstract

Nanostructures of $SiN_x$ were made by bombardment of ionized $N_2$ on Si surface and subsequent annealing. Atomic force micrograph showed the density of $SiN_x$ nanostructures was $3\times10^{10}/cm^2$. Their lateral size and height were 40$\sim$60 nm and 15 nm, respectively. The chemical state of the nanostructure was measured using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which changed from $SiN_x$ to $Si_3N_4\;+\;SiN_x$ as the bombarding ionized gas current increases. Upon anneal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showed a clear evidence for crystalline Si phase formation inside the $SiN_x$ nanostructures. Photoluminescence peak observed at around 400nm was thought to be originated from the interface states between the nanocrystalline Si and surrounding $SiN_x$ nanostructures.

실리콘 표면에 이온화된 $N_2$ 가스를 입사한 후 어닐링을 통해서 $SiN_x$ 나노구조를 형성하였다. 원자힘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이 나노구조의 밀도는 $3\times10^{10}/cm^2$였으며, 가로 크기는 40$\sim$60 nm 이고 높이는 약 15 nm 임을 알 수 있었다. 엑스선광전자 분광기술을 이용하여 이 나노구조의 화학상태를 측정하였는데, 입사하는 이온화된 $N_2$의 단위시간당 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화학상태가 $SiN_x$에서 $Si_3N_4\;+\;SiN_x$형태로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열처리를 한 시료를 투과전자 현미경으로 측정된 결과는 $SiN_x$ 나노구조를 내부에 Si 나노 결정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었다. 광여기 발광특성에서 관찰된 400 nm파장의 스펙트럼은 Si 나노결정의 크기를 고려할 때 나노결정과 $SiN_x$ 나노구조 사이의 계면상태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J. Robertson, Nature 418, 30 (2002)
  2. S. Srirman, S. Agarwal, E. S. Aydil and D. Maroudas, Nature 418, 62 (2002) https://doi.org/10.1038/nature00866
  3. G. F. Grom, D. J. Lockwood, J. P. McCaffrey, H. J. Labbe, P. M. Fauchet, B. White, Jr. J. Diener, D. Kovalev, F. Koch and L. Tsybeskov, Nature 407, 358 (2000) https://doi.org/10.1038/35030062
  4. L. Pavesi, L. Dal Negro, C. Mazzoleni, G. Franzo and F. Priolo, Nature 408, 440 (2000) https://doi.org/10.1038/35044012
  5. M.-C. Jung and M. Han, Jpn. J. Appl. Phys. 43, 1127 (2004) https://doi.org/10.1143/JJAP.43.1127
  6. M.-C. Jung, T. G. Lee, Y. J. Park, S. H. Jun, J. Lee, M. Han, J. S. Jeong and J. Y. Lee, Appl. Phys. Lett. 82, 33653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