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Synthesis of Gender Differences in Korean Science Education Journals

성 차이 경향 파악을 위한 국내 과학 교육 문헌 분석

  • 신동희 (단국대학교 과학교육과) ;
  • 박병태 (단국대학교 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all of th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six of the Korean science education journals in the past three decad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ynthesis was to identify gender differences in hundreds of research articles accomplished at the personal, local, and national level that have repeatedly been reported in several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There were few of articles that focused on gender issues, but 279 articles presented a result of gender issues separately. Of the 279 articles, we finally analyzed 225 research articles for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rticle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of research method: test-based studies and experiment-based studies. The results of research synthesis in test-based studies were as follows: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reported male superiority in science knowledge and science-related attitude, which is similar to the results of recent international studies. In particular, gender differences were the biggest in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the least in scientific process skills. The result of research synthesis in experimental studies was that the largest number of articles did not show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the applied program. It is noteworthy that the applied science education programs tend to b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female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and male students' science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gender-inclusive science programs for female students to feel science more positively.

대규모 표준화된 문항을 사용하는 과학과 국제 비교 연구에서 드러난 우리 나라 학생들의 성 차이가 국내 연구에서도 나타나는지 파악하기 위해 지난 30년 동안 과학 교육 관련 학술지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한국지구과학회지, 한국생물교육학회지, 화학교육, 새물리 등에 게재된 논문 전체를 분석했다. 젠더 문제를 연구의 주제로 한 논문은 많지 않았지만, 총 279편의 논문에서 연구 결과를 성별로 제시했다. 이 중 통계적 유의미도가 검증된 225개의 논문을 2인의 연구자가 내용 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검사 문항을 사용한 조사 연구와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 연구 등으로 구분해 경향을 파악했다. 조사 연구 논문 분석 결과, 과학 지식과 태도 모두에서 국제 비교 연구와 마찬가지로 남학생이 우월하게 나타난 논문이 가장 많았다. 특히, 과학 관련 태도에서 성 차이를 보인 논문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과학 지식, 그리고 과학 탐구 능력에서의 성 차이를 보인 논문이 가장 적었다. 실험 연구 분석 결과, 새로운 과학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있어서 성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논문이 가장 많았지만, 프로그램 적용 후 남학생은 인지적 측면에서 여학생은 정의적 측면에서 더 효과적으로 드러난 논문이 많았다. 여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향상과 과학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희, 노정원, 박종윤, 1998, 과학 교육 연구에 사용된 GALT 완본과 축소본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 학회지, 18(3), 399-413
  2. 권오남, 김희백, 신동희, 정경아, 2005, 여학생의 수학.과학 성취도 제고를 위한 교수-학습 과정 혁신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 연구보고서, 2005-공모-11, 324 p
  3. 김경순, 노태희, 2006, 분자의 운동에 대한 개념 학습에서 상호 동료 교수 전략을 활용한 CAI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98-306
  4. 김성원, 최성연, 2002, 영재아의 부모 특성이 영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71-681
  5. 김영민, 1985, 한국의 과학교육 연구 내용 분석. 한국과학 교육학회지, 5(2), 139-146
  6. 김영민, 오종실, 한용술, 1987, 한국의 과학 교육 관련 학회들의 연구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2), 15-20
  7. 김희백, 김미영, 임성민, 2004, 일반계 고등 학생의 성별 과학 선호도와 인과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87-398
  8. 남철우, 최춘호, 김정길, 김석중, 송판섭, 한광래, 최도성, 2002, STS 교수-학습이 초등 학교 과학적 태도 교육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1(2), 159-170
  9. 노국향, 최미숙, 최승현, 박경미, 신동희, 201, PISA 2000 평가 결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RE 2001- 9-1, 219 p
  10. 노태희, 최용남, 1996a, 성 역할의 관점에서 조사한 과학자와 자신에 대한 이미지의 격차 및 과학 관련 태도와의 관련성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16(3), 401-409
  11. 노태희, 최용남, 1996b, 남녀 혼성반 학생들의 과학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의 성별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246-253
  12. 노태희, 변순화, 전경물, 권혁순, 2003, 화학 개념 학습에서 역할 놀이 비유 활동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46-253
  13. 박규은, 김규용, 오덕철, 1991, 미국 대학을 중심으로 한 과학 교육 분야 박사 학위 논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 (1), 73-82
  14. 박영효, 홍승호, 2006, Driver의 학습 모형이 초등 학생들의 꽃에 대한 오개념 교정에 미치는 성별, 지역별 영향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5(3), 231-243
  15. 박 정, 2006, 우리 나라 여학생과 남학생의 OECD/PISA 과학적 소양 평가 문항에서의 차별 기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26(3), 440-449
  16. 박 정, 곽영순, 김경희, 정은영, 이미경, 최석진, 최운식, 김선희, 이종희, 허 명, 2004a, 남.여학생의 성취도 차이 해소 방안: TIMSS와 PISA 2003 결과를 반영하여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RE 2004-10, 156 p
  17. 박 정, 정은영, 김경희, 한경혜, 2004b, 수학 . 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 비교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RE 2004-3-2, 206 p
  18. 박학규, 권재술, 1991, 물리 문제 해결에 관한 최근 연구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2), 67-77
  19. 성숙경, 김주래, 한인옥, 이진승, 정대홍, 서정쌍, 1998, 고등 학교 화학 수업에서 CAI의 효과성 연구-화학 평형 단원을 대상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03-312
  20. 송진웅, 박승재, 장경애, 1992, 초.중.고 남녀 학생의 과학 수업과 과학자에 대한 태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3), 109-118
  21. 신동희, 2000, 국내 지구 과학 교육 연구의 동향과 나아갈 방향. 한국지구과학회지 , 21(4), 479-487
  22. 신동희, 박 정, 2002, 국제 비교 연구에 나타난 우리 나라 학생들의 지구과학 성취도: 성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3(3), 207-220
  23. 신동희, 2004, 과학 교육의 변화: 과학적 소양의 추구. 국어교육학연구, 21, 95-120
  24. 신동희, 권오남, 김희백, 2006, TIMSS 2003 과학 공개 문항 내용 분석에서 나타난 성별 문항 응답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26(6), 732-742
  25. 신동희, 김동영, 2003, 평가 방법에 따른 과학 성취도에서의 성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65-275
  26. 신동희, 노국향, 2002, 우리 나라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성취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76-92
  27. 신동희, 박 정, 노국향, 2002, OECD 주관 학생 성취도 국제비교연구(PISA 2000) 지구 환경 과학 영역 성취도에서의 성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40-53
  28. 신영준, 박미아, 최원호, 송현미, 이기영, 이기순, 1999, 여학생에 친화적인 과학 프로그램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대통령 직속 여성특별위원회 연구보고서, 180 p
  29. 여상인, 김희정, 2005, 성별에 따른 초등 학생의 과학 학력과 인지적 언어 능력 및 그 상관.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1), 51-58
  30. 오덕철, 김규용, 1990, 외국 대학의 과학 교육에 대한 박사 학위 논문 분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0(1), 119-125
  31. 이면우, 2001, 근대 교육기(1876-1910) 학회지를 통한 과학 교육의 전개. 한국지구과학회지, 22(2), 75-88
  32. 이미경, 곽영순, 민경석, 채선희, 최성연, 최미숙, 나귀수, 2004,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RE 2004-2-1. 326 p
  33. 이미경, 홍미영, 정은영, 2004, TIMSS-R 과학 성취도에서의 성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35-1244
  34. 이원식, 박승재, 김영수, 1991, 과학 교육 연구 자료의 정보 전산화 체제(II)-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과의 학위 논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2), 143-159
  35. 이원식, 박승재, 김영수, 1992, 과학 교육 연구 자료의 정보 전산화 체제(III)-과학 교육 관련 학술지의 과학 교육 논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3), 17-34
  36. 이현주, 곽대오, 2006, 학교 유형과 성에 따른 고등 학생들의 과학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1), 38-52
  37. 정경아, 정해숙, 신동희, 서혜애, 2003, 중등 학생의 과학에서의 성별 격차 및 해소 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 연구보고서, 2003-14, 314 p
  38. 정영란, 이주연, 2004,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뇌 기능 분화에 따른 마인드맵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805-813
  39. 정완호, 권용주, 김영신, 1993, STS 교육 운동의 국내 연구 경향 분석과 적용 방안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1), 66-79
  40. 정은영, 이미경, 홍미영, 2006, TIMSS 2003 과학 성취도에서의 성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492-501
  41. 정진우, 1991, CAI 프로그램이 컴퓨터와 과학 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47-60
  42. 최경희, 2001, 과학 교과에서의 양성 평등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전략 및 자료 개발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213-230
  43. 최병순, 최미화, 남정희, 이상권, 2002, Thinking Science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지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422-431
  44. 최병순, 한미애, 1992, 고등 학생들의 탐구 능력 신장을 위한 화학 실험의 개발 및 적용. 화학교육, 19(4), 306-313
  45. 최은순, 노석구, 2001, 마인드맵 활용이 자연과 학업 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0(2), 281-291
  46. 한국일보, 2006, 여학생이 정말 공부 더 잘하나. 한국일보 2006년 2월 20일자 A5면 기획 기사
  47. 홍성일, 우종옥, 정진우, 1995, 과학 교사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3), 241-249
  48. 홍숙희, 김성원, 2000, ERIC 검색을 통한 미국의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12-136
  49. 황성원, 최재혁, 윤혜경, 유준희, 2001, 비정규 과학 학습으로 본 드라마 '카이스트' 평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316-327
  50. Becker, J.R., 1989, Gender and science achievement: A reanalysis of studies from two meta-analysi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41-169
  51. Beller, M. and Gafni, N., 1996, The 1991 Inter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in mathematics and science: The gender differences perspectiv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8, 365-377 https://doi.org/10.1037/0022-0663.88.2.365
  52. Beyer, K. and Reich, J., 1987, Why are many girls inhibited from learning scientific concepts in physics? Contributions to the Fourth Girls and Science Technology (GASAT) conference, Michigan, USA, 24
  53. Blunck, S.M. and Ajarn, M., 1991, Gender-related differences in students' attitude with STS instruction. Chautauqua Notes, 6 (2), 2-3
  54. Eccles, J.S., 1986, Gender roles and women's achievement. Educational Researcher, 15, 15-19
  55. Fennema, E. and Carpenter, T.P., 1981, Sex-related differences in mathematics: Results from national assessment. Mathematics Teacher, 74, 554-559
  56. Han, H., 2003, A meta-analysis of research on the impact of 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i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3 (4), 375-385
  57. Hough, L.W. and Piper, M.K., 1982,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 (1), 33-38 https://doi.org/10.1002/tea.3660190105
  58. Hyde, J.S., Fennema, E., and Larnon, S. J., 1990,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performance: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07, 139-155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139
  59. Khale, J.B. and Lakes, M.L., 1983, The myth of equity in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 (2), 131-140 https://doi.org/10.1002/tea.3660200205
  60. Koontz, T., 1997, Know thyself: The evolution of an intervention gender-equity program. In J. Trentacosta and M. Kenny (eds.), Multicultural and gender equity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National Council of Teaching of Mathematics, Reston, Virginia, USA, 186-194
  61. Lee, V.E. and Burkam, D.T., 1996, Gender differences in middle grade science achievement: Subject domain, ability level, and course emphasis. Science Education, 80 (6), 613-650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611)80:6<613::AID-SCE1>3.0.CO;2-M
  62. Manhart, J.J., 1998, Gender differences in scientific literac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 ED 420522, 31 p
  63. Nollen, S.B. and Haladyna, T.M., 1990, Motivation and studying in high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 (2), 115-126 https://doi.org/10.1002/tea.3660270204
  64. O'Brien, Y., Martinez-Ponz, M., and Kopala, M., 1999, Mathematics self-efficacy, ethnic identity, gender, and career interests related to mathematics and scienc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2 (4), 231-235 https://doi.org/10.1080/00220679909597600
  65. Rogers, P., 1995, Putting theory into practice. In Rogers, P. and Kaiser, G (eds.), Equity in mathematics education: Influence of feminism and culture. The Falmer Press, New York, USA, 175-185
  66. Shin, D. and Moon, N., 2004, Differential effect of item characteristics on science achievement between gender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 (1), 17-28
  67. Sjoberg, S. and Imsen, G, 1998, Gender and science education I. In P.J. Fensham (eds.), Development and dilemmas in science education. Falmer Press, London, England, 218-248
  68. Yoo, S.H., 1998, A social-cognitive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career choice by high school students. Ph. D.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74 p
  69. Young, DJ. and Fraser, B.J., 1994,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achievement: Do school effects make a differ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857-871 https://doi.org/10.1002/tea.3660310808

Cited by

  1. Comparison of the Recent Trend of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Journals vol.56, pp.2, 2012, https://doi.org/10.5012/jkcs.2012.56.2.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