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성장잠재력 조사를 이용한 청계천 복원 이후 수질 평가

Evaluation of Water Quality after Rehabilitation of Cheonggye Stream using AGP Test

  • Park, Myung-Hwa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Konkuk University) ;
  • Hwang, Soon-Ji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Konkuk University) ;
  • Suh, Mi-Ye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Kim, Yong-Jae (Department of Life Science, Daejin University) ;
  • Kim, Baik-Ho (Department of Life Science, Hanyang University)
  • 발행 : 2007.06.30

초록

청계천 복원이후 하천수질의 생태학적 평가를 하기 위하여 청계천을 비롯한 인접수역 중랑천 및 한강 본류를 대상으로 강우 전후 조류 및 수질변화와 현장수에 대한 조류성장잠재력(AGP)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청계천(정점 1, 2), 중량천(정점 3), 두 하천의 합류부(정점 4), 한강 본류의 상류(정점 5)및 하류(정점 6)등 총 6개 정점을 선정하여 2006년 하계(강우 이 전 7월 25일, 강우 이 후 8월 28일)에 각각 1회씩 실시하였다. 한편, AGP조사를 위해 각 정점에서 채수한 현장수를 공시종 남조 Microcystis aeruginosa 배양계에 1/6, 2/6, 3/6씩 각각 첨가하고, 온도 $25^{\circ}C$, 광조건 100 ${\mu}mol$ photons $m^{-2}s^{-1}$ (14h : 10h LD cycle)에서 11일간 배양하였다. 조사결과, 총질소는 중랑천과 청계천의 합류부에서 높았는데, 특히 후자는 강우 전후 각각 14.4, 18.5 mg $L^{-1}$를 기록하며 가장 높았다. 총인 역시 중랑천과 청계천의 합류부에서 높았는데, 총질소의 경우와 같이 정점 4의 총인은 강우 전후 각각 1.1, 1.3 mg $L^{-1}$를 기록하며 가장 높았다. 엽록소-${\alpha}$는 강우 후에는 중랑하수처리장 방류지점을 포함하고 있는 청계천과 중랑천의 합류부인 정점 4에서 매우 높았으며 가장 우점한 조류는 Cyclotella sp.로 조사되었다. 현장수에 대한 AGP조사결과, 강우 전에는 대조구에 비해 모든 정점에서 높은 성장을 보였으나, 강우 후에는 대조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성장을 나타냈다. 다만, 강우 후에는 현장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강우에 의한 영양물질의 증가가 원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청계천을 포함한 조사하천들은 평상시에는 비교적 안정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으나 집중강우시 영양물질 유입으로 인한 하류의 조류번식 가능성이 우려되며, 특히 중량천의 수질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lgal growth potential (AGP)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water quality and changes in phytoplankton communities before and after a heavy rain event at six sampling sites in Cheonggye Stream (St. 1 and 2), Jungnang Stream (St. 3 and 4), and Lower part of Han River System (St. 5 and 6) after rehabilitation of Cheonggye Stream, October 2005. To test AGP on each sampling site, cyanobacterium Microcystis aeruginosa was applied as a standard alga. Total nitrogen (TN) showed high values at Jungnang Stream, while St. 4 recorded highest values in this study. However, TN values of Cheonggye Stream and Lower Part of Han River showed similar levels. Total phosphate (TP) also showed high values at Jungnang Stream, while St. 4 recorded highest. However, TP in Cheonggye Stream were extremely low levels. Although chlorophyll-${\alpha}$ (chi-${\alpha}$) contents before the rain event were similar through the sampling sites, chl-${\alpha}$ after the rain increased dramatically at Jungnang Stream and Lower part of Ban River. In particular, after the rain, TP was the highest at St. 4, where Cyclotella sp. dominated the phytoplankton community. When compared with control, AGP values before the rain were comparatively low in all sites, while those after the rain highly increased with the dose-dependently of field water added, due perhaps to the increased nutrients by rainfall.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in Cheonggye Stream. Therefore, for the aesthetic fostering for the citizens, although Cheonggye Stream was Presently being sustained by treated water supply, they have a potential of outbreak of phytoplankton by the increased nutrients supply when a heavy rain com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갑수. 2005. 청계천의 환경과 생태, 대한토목학회지 53: 111-116
  2. 김백호, 한명수. 2005. 청계천 생태기능 복원의 가치와 부착조류에 의한 수질 및 생태계 관리, 원광대 환경과학연구지 13: 37-42
  3. 김숙진. 2006. 생태환경 공간의 생산과 그 혼종성(hybridity) 에 대한 분석: 청계천 복원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9: 113-124
  4. 김용재, 김명운, 김상종. 1998. 한강 중 . 하류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한국조류학회지 13: 331-338
  5. 김재욱, 이동근, 오규식, 성현찬. 2003. 하천 및 녹지와 온도의 관계에 대한 기초적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 79-85
  6. 김혜주. 2004. 청계천 수질 및 생태모니터링. 청계천 유역 물순환 해석 국제심포지움. 2004.3.9. 서울프레스센터
  7. 배경석, 김교붕, 길혜경, 유병태, 김민영. 2002. 중량천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구조의 장기 변동, 육수지 35: 63-70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보고서. 2006. 서울시 도시하천의 생태통로 기능향상 방안: 청계천을 중심으로. 서울시청개발연구원. 118pp
  9. 서정관, 이재정, 양상용, 정익교. 2003. 낙동강 수계 하 . 폐수 처리시설의 방류수가 조류 성장 잠재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류학회지 18: 157-167
  10. 신재기, 조경제. 1999. 낙동강에서 AGP에 의한 수질평가, 육수지 32: 349-357
  11. 신재기, 황순진. 2003. 평택호와 유역 하천에서 조류생장잠재력측정, 육수지 36: 172-180
  12. 위인선, 나철호, 이종빈, 주현수. 1997. 조류생산잠재력조사 방법개발에 의한 육수환경의 부영양화 방지대책에 관한 연구(I): 순수분리종의 형태 및 증식특성,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3: 18-27
  13. 위인선, 이종빈, 주현수. 1991. 주암댐 및 이사천댐 유역의 조류생장 잠재력 조사에 관한 연구, 환경생물 9: 104-112
  14. 윤병만,2005. 청계천 하도의 수리특성 및 홍수소통 능력, 대한토목학회지 53: 134-139
  15. 이영곤, 엄향희, 남재철, 이부용. 2004. 2004년 3월 청정한 9일 동안 청계천 주변 증발량 관측, 한국기상학회지 40: 741-749
  16. 이인근. 2005. 청계천 복원사업, 대한토목학회지 53: 117-126
  17. 이재성, 박두현, 이대식, 정지형. 2001. 한강수계에서의 녹조류 현황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분석학회지 4: 41-47
  18. 이학동. 1976. 오수생물학적 지표생물에 의한 청계천의 오염도에 대한 연구, 육수지 9: 49-53
  19. 이혜숙, 박석순. 2005. 합류식 하수관거 윌류수 유입 기간 동안에 나타나는 청계천 수질 변화 모델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7: 1340-1346
  20. 정승원, 이진환, 유종수. 2003 한강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V. 식물플랑크톤의 운집 대발생의 특징, 한국조류학회지 18: 255-262
  21. 정 준. 1993. 한국담수조류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496pp
  22. 조명래. 2005. 청계천 복원의 성과와 한계, 대한토목학회지 53: 140-155
  23. 한경남. 1980. 수질지표를 이용한 청계천의 수질평가, 대한보건협회지 6: 59-65
  24. 황순진, 유경아, 신재기. 2006. 낙동강 수계 대형 인공호 및 하천본류의 조류성장 잠재력 비교, 육수지 39: 138-144
  25. APHA.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26. Hirose, H., M. Akiyama, T. Iriya, K. Imahori, H. Kasaki, K. Tsumura, M. Hirano and T. Yamagishi, 1981. Illustrations of the Japanese freshwater algae, Uchidarockakuho Publishing Co., Tokyo, 931
  27. Geis, S.W., K.L. Fleming, E.T. Korthals, G. Searle, L. Reynolds and D.A. Karner. 2000. Modifications to the algal growth inhibition test for use as a regulatory assay. Environ. Toxieol. Chem. 19: 36-41 https://doi.org/10.1897/1551-5028(2000)019<0036:MTTAGI>2.3.CO;2
  28. Lehmusluoto, P.O. 1978. Some aspects on the classification of natural waters by algal assays(AGP), prelude. Mitt. Internat. Verein. Limnol. 21: 437-440
  29. Lorenzen, C.J. 1967.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and pheo-pigments: spectrophotometric equation. Limnol, Oceanogr. 12: 343-346 https://doi.org/10.4319/lo.1967.12.2.0343
  30. Lowe, R.L. 1974. Environmental requirements and pollution tolerance of freshwater diatoms. EPA-670/4-74005
  31. Maloney, T.E., W.E. Miller and N.L. Blind. 1973. Use of algal assays in studying eutrophication problems. Proceedings: Advances in Water Pollution Research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Pergamon Press, Oxford & New York. p. 205-214
  32. Miller, W.E., T.E. Maloney and J.C. Greene. 1974. Algal productivity in 49 lake waters as determined by algal assays. Wat. Res. 8: 667-679 https://doi.org/10.1016/0043-1354(74)90126-2
  33. Nyholm, N. and T. Kallqvist. 1989. Methods for growth inhibition toxicity tests with freshwater algae. Environ. Toxicol. Chem. 8: 689-703 https://doi.org/10.1897/1552-8618(1989)8[689:MFGITT]2.0.CO;2
  34. Payne, A.G. 1975. Responses of the three test algae of the algal assay procedure: Bottle test. Wat. Res. 9: 437-445 https://doi.org/10.1016/0043-1354(75)90190-6
  35. Stoermer, E.F., J.A. Wolin, C.L. Schelske and D.J. Conley. 1985. An assessment of ecological changes during the recent history of Lake Ontario based on siliceous algal microfossils preserved in the sediments. J. Phycol. 21: 257-276 https://doi.org/10.1111/j.0022-3646.1985.00257.x
  36. Weyers, A., B. Sokull-Kluttgen, J. Baraibar-Fentanes and G. Vollmer. 2000. Acute toxicity data: a comprehensive comparison of results of fish, Daphnia, and algae tests with new substances notified in the European Union. Environ. Toxicol. Chem. 19: 1931-1933 https://doi.org/10.1897/1551-5028(2000)019<1931:ATDACC>2.3.CO;2
  37. Wong, S.L. 1995. 'Algal assay approaches to pollution studies in aquatic systems', in B.C. Rana (ed.), Pollution and Biomonitoring, Tata McGraw-Hill Publishing Company Ltd., New Delhi, p. 2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