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IASL. 1993. Policy Statement on School Library [on-line]. [cited. 2007. 01. 01.]
-
IFLA, UNESCO. 2000. School Library Manifesto. [on-line]. [cited.2007. 09. 01.]
-
IFLA, UNESCO. 2002. School Library Guidelines. [on-line]. [cited. 2007. 09. 01.]
- Ann Marlow Riedling 2005. Reference Skills for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Tools and Tips. 2nd. ed. Ohio: Linworth Books, 3
- 김병주. 2002. '학교도서관의 교수 학습지원프로그램 운영.' 한국비블리아. 13(2), 278
-
교육인적자원부. 2007 a.학교도서관 운영 편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on-line]. [cited. 2007, 08. 12.]
- 교육인적자원부, 서울특별시교육청. 2003, 학교도서관 운영 편람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105-148
- 한윤옥, '전문직으로서의 사서교사에 대한 사회문화적 전망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5권, 제3호 (2001. 9), pp.233
- 김대현, '학교에서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한국교육, 20(1993), pp.89-104
- 조세경. '구성주의와 문제중심학습법.' 영어교육, 제56권, 제4호(2001), pp.311-327
- 강인애 등, 구성주의와 교과교육(서울 : 문음사, 1999), p.3
- 함명식, '학교도서관의 교수 학습 이론적 기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제13권, 제2호(2002), pp.197-219
- 이돈희 등, 지식기반사회와 교육(서울 : 교육부, 1999)
- 이돈희, 박순경, 교과학 기초 연구(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1997)
- 한숭희, 평생학습과 학습생태계. 평생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서울 : 학지사 2001)
- 유영만, 지식생태학: 지식기반사회를 위한 포스트 지식경영(서울 : 삼성경제연구소, 2006)
- Howard Gardner. Multiple Intelligences. 문용린, 유경재 옮김. 2007. 다중지능(서울 : 웅진지식하우스, 2006)
- 이영만, 'Gardner의 중다지능이론과 교육적 시사점,' 논문집, 40(1996), pp.147-174,(진주교육대학교)
- 이영만, 통합교육과정(서울 : 학지사 2001)
- 서경화,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교육과정 통합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열린교육연구, 제10권, 제1호(2002), pp.115-130
- 박정희,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설행 및 다중지능발달 측면에서의 효과 분석.' 열린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2003), pp.101-128
- 이병기, '다중지능이론에 의한 학교도서관 정보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7권, 제1호 (2003), pp.43-60
- Silvana Carletti, Suzanne Girard & Kathlene Willing. 1991. The Library / Classroom Connection. Ontario: Pembroke Publishers Limited
- Carol A. Doll. Collaboration and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Maryland The Scarecrow Press. Inc.. 2005)
- Patricia Montiel-Overall.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eacher and Librarian Librarian Collaboration (TLC).' School Libraries Worldwide. Vol.11, No.2 (2005), pp.24-48
- Peter Milbury. 'Collaboration: Ten Important Reasons to Talk It Seriously.' Knowledge Quest, Vol.33. No.5(2005), pp.30-32
- Gail Dickinson, Achieving National Board Certification for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s(Chicago : ALA, 2006)
- Sybil Farwell, 'Successful Models for Collaborative Planning,' Knowledge Quest, Vol.26, No.2(1998), pp.24-30
- Carol A. Doll. Collaboration and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Maryland The Scarecrow Press. Inc.. 2005)
- Patricia Montiel-Overall.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eacher and Librarian Librarian Collaboration (TLC).' School Libraries Worldwide. Vol.11, No.2 (2005), pp.24-48
- Gail Dickinson, Achieving National Board Certification for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s(Chicago : ALA, 2006)
- Carol A, Kearney, Curriculum Parter: Redefining the Role of the Library Media Specialist(London : GreenWood Press 2000)
- Shayne Russell, 'Teachers and Librarians: Collaborative Relationships,' Teacher Librarian, Vol.29, No.5 (2002), pp.35-38
- Carolyn S. Brodie, 'Collaboration Practices,' School Library Media Activities Monthly, Vol.23, No2(2006), pp.27-30
- 유소영, '정보교육과 학교도서관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26권(1994), pp.53-74
- 김효정, '한국 학교도서관 기준설정을 위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1권, 제1호(1997), pp.71-104
- 유소영, '초등학교 도서관교육과 그 과제,'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제33권, 제1호 (2002). pp.1-21
- 유소영. 2004. '정보이용능력 기준과 정보처리 학습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5권, 제4호(2002), pp.251-269
- 이병기. '학교도서관과교육과정의 통합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9권, 제2호(2005), pp.85-105
- 송기호 등, 독서를 통한 정보활용능력 가이드 개발: 초등학생용(서울 : (사)국민독서문화진흥회, 2005)
- 한윤옥, '학교도서관의 협동교수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9(1995), pp.257-279
- 함명식, 문헌정보교육학개론(대구 : 태일사, 2003a)
- 송기호, '교과학습과 연계한 학습독서의 실제.'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8권, 제1호 (2007a), pp.423-441
- 김연례,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활용능력 교육 수용 및 확산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박영규,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교과 교육과정 모형(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4)
- 이병기, 정보활용교육론. (고양 : 조은글터, 2006)
- 이병기,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보활용교육과 도서관활용수업의 제도화,'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8권, 제1호(2007). pp.443-462
- 교육인적자원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서울 : 同부, 2007b), p.11
- 교육인적자원부, 초, 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서울 : 同부, 2005)
- 곽병선, '교과에 대한 한 설명적 모형 탐색.' 한국교육. 제14권, 제2호(1987), pp.162-163
- 서울특별시교육청 중등교육과, 인천광역시교육청 중등교육과 그리고 경기도교육청 평생교육과의 <학교도서관 이용 촉진 프로그램>자료를 분석한 것임
-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습능력향상을 위한 초등 독서지도 자료(서울 : 同교육청. 2005a)
- 서울특별시교육청, 중, 고등학교용 과학과 독서지도 매뉴얼(서울 : 同교육청. 2005b)
- Ray Doiron, Judy Davies. Partners in Learning: Students. Teachers. and School Library(Englewood Libraries Unlimited, 1998), p.5
- 노영희, 권재현,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에 대한 인식 및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2권, 제2호 (2007), pp.137-138
- 곽병선, '교과에 대한 한 설명적 모형 탐색.' 한국교육. 제14권, 제2호(1987), pp.162-163
- 한숭희, 평생학습과 학습생태계: 평생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서울 학지사, 2001)
- 조석희 등, 간편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연구(I)(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2001)
-
ASLA. 2000. Policy Statement - School Library Bill of Rights. [on-line]. [cited. 2007. 10. 30.]
- 김효정, '정보사회에 있어서 사서교사의 위상,' 如然김효정박사화갑기념논문집(서울 : 1997a), pp.113-137
- 안인자 등, 학교도서관 사서교사(사서) 직무분석(서울 : 한국디지털도서관포렴, 2002)
- Joy McGregor. 'Collaboration and Leadership,' Curriculum Connections Through the Library(Englewood : Libraries Unlimited. Inc.. 2003)
-
Lawrence Leonard & Pauline Leonard. 'The Continuing Trouble with Collaboration: Teachers Talk.' Current Issues in Education. Vol.6. No.15(2003). [online] [cited 2007. 05. 18.]
- Carol A. Doll. Collaboration and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Maryland The Scarecrow Press. Inc.. 2005)
- Carolyn S. Brodie, 'Collaboration Practices,' School Library Media Activities Monthly, Vol.23, No(2006), pp.27-30
- 김대현, '학교에서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한국교육. 20 (1993). pp.89-104
- Susan M. Drake, Rebecca C. Burns,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박영무, 강현석, 김인숙, 허영석 공역. 2006. 통합교육과정(서울 : 도서출판 원미사, 2004), p.21
- 명지원, '기존 통합교육과정의 한계와 그 극복으로서 홀리스틱 통합교육과정,'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지, 제10권, 제1호 (2006), pp.17-32
- 송민영, '홀리스틱 통합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 모색,' 홀리스틱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2007), pp.75-100
- 이영만, 홍영기, 초등통합교육과정(서울 : 학지사, 2006), p.27
- 나장함,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관점: 간학문적 접근의 영재 및 범재 교육에 대한 시사점,' 영재와영재교육, 제4권, 제1호 (2005). p.29
- 송민영, '홀리스틱 통합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 모색,' 홀리스틱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2007), pp.75-100
- 김대현, '학교에서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한국교육. 20 (1993). pp.93-94
- 이영만, 통합교육과정(서울 : 학지사. 2001). p.38
- Babara L. Stein. Risa W. Brown. Running a School Library Media Center: A How-To-Do-It Manual for Librarians. 2nd. ed. (New Yark Neal-Schumam Publishers. Inc.. 2002). p.95
- 장언효, '고차적 사고능력 신장을 위한 학교 학습과 수업,' 교육논총. 제18권, 제1호(1998). pp.59-72
- 박순경, '범교과 학습에 대한 이해.' 초등우리교육. 108(1999). pp.76-80
- Silvana Carletti, Suzanne Girard & Kathlene Willing. 1991. The Library / Classroom Connection. Ontario: Pembroke Publishers Limited
- Peter Milbury. 'Collaboration: Ten Important Reasons to Talk It Seriously.' Knowledge Quest, Vol.33. No.5(2005), pp.30-32
- 이영만, 홍영기, 초등통합교육과정(서울 : 학지사, 2006), pp.167-168
- Susan M. Drake, Rebecca C. Burns,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박영무, 강현석, 김인숙, 허영석 공역. 2006. 통합교육과정. (서울 : 도서출판 원미사, 2004), pp.67-96의 내용을 토대로 재구성함
- 김대현, '학교에서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한국교육. 20 (1993). pp.97-98
- 이병기,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보활용교육과 도서관활용수업의 제도화,'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8권, 제1호(2007). pp.443-462
- 박효정, 다중지능이론과 수업(서울 : 양서원, 2006)
- 이병기, 2006. 정보활용교육론(고양 : 조은글터, 2006)
- 개포고등학교, 학습자료 이용지도 프로그램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신장 방안(서울 : 同학교(서울시 교육청 지정 연구학교 운영보고서).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