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as the Activation Strategy of the School Library Instruction

학교도서관 교육 활성화 전략으로서 통합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The School Library Instruction(SLI) is one of the tool subjects for information literacy. Therefore, the connection with school curricula Is the activation strategy of SLI. The school library Integrated curriculum is Integrating a thinking strategy of SLI and subjects of subject education curricula. The purpose of the school library Integrated curriculum is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role of teacher-librarian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this study, a presented example of the school library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10th students is based on the cross-curriculum subjects as a strategy of connection and integration.

학교도서관 교육은 학생의 정보활용능력을 위한 도구교과 중 하나이다. 따라서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가 학교도서관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이다. 학교도서관 통합 교육과정은 학교도서관 교육의 사고전략과 교과교육 과정의 학습주제를 통합한 것이다. 학교도서관 통합교육과정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을 강화하고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계와 협동 전략으로써 범교과 학습주제를 기반으로 10학년을 위한 통합교육과정 개발 사례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IASL. 1993. Policy Statement on School Library [on-line]. [cited. 2007. 01. 01.]
  2. IFLA, UNESCO. 2000. School Library Manifesto. [on-line]. [cited.2007. 09. 01.]
  3. IFLA, UNESCO. 2002. School Library Guidelines. [on-line]. [cited. 2007. 09. 01.]
  4. Ann Marlow Riedling 2005. Reference Skills for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Tools and Tips. 2nd. ed. Ohio: Linworth Books, 3
  5. 김병주. 2002. '학교도서관의 교수 학습지원프로그램 운영.' 한국비블리아. 13(2), 278
  6. 교육인적자원부. 2007 a.학교도서관 운영 편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on-line]. [cited. 2007, 08. 12.]
  7. 교육인적자원부, 서울특별시교육청. 2003, 학교도서관 운영 편람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105-148
  8. 한윤옥, '전문직으로서의 사서교사에 대한 사회문화적 전망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5권, 제3호 (2001. 9), pp.233
  9. 김대현, '학교에서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한국교육, 20(1993), pp.89-104
  10. 조세경. '구성주의와 문제중심학습법.' 영어교육, 제56권, 제4호(2001), pp.311-327
  11. 강인애 등, 구성주의와 교과교육(서울 : 문음사, 1999), p.3
  12. 함명식, '학교도서관의 교수 학습 이론적 기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제13권, 제2호(2002), pp.197-219
  13. 이돈희 등, 지식기반사회와 교육(서울 : 교육부, 1999)
  14. 이돈희, 박순경, 교과학 기초 연구(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1997)
  15. 한숭희, 평생학습과 학습생태계. 평생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서울 : 학지사 2001)
  16. 유영만, 지식생태학: 지식기반사회를 위한 포스트 지식경영(서울 : 삼성경제연구소, 2006)
  17. Howard Gardner. Multiple Intelligences. 문용린, 유경재 옮김. 2007. 다중지능(서울 : 웅진지식하우스, 2006)
  18. 이영만, 'Gardner의 중다지능이론과 교육적 시사점,' 논문집, 40(1996), pp.147-174,(진주교육대학교)
  19. 이영만, 통합교육과정(서울 : 학지사 2001)
  20. 서경화,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교육과정 통합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열린교육연구, 제10권, 제1호(2002), pp.115-130
  21. 박정희,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설행 및 다중지능발달 측면에서의 효과 분석.' 열린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2003), pp.101-128
  22. 이병기, '다중지능이론에 의한 학교도서관 정보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7권, 제1호 (2003), pp.43-60
  23. Silvana Carletti, Suzanne Girard & Kathlene Willing. 1991. The Library / Classroom Connection. Ontario: Pembroke Publishers Limited
  24. Carol A. Doll. Collaboration and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Maryland The Scarecrow Press. Inc.. 2005)
  25. Patricia Montiel-Overall.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eacher and Librarian Librarian Collaboration (TLC).' School Libraries Worldwide. Vol.11, No.2 (2005), pp.24-48
  26. Peter Milbury. 'Collaboration: Ten Important Reasons to Talk It Seriously.' Knowledge Quest, Vol.33. No.5(2005), pp.30-32
  27. Gail Dickinson, Achieving National Board Certification for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s(Chicago : ALA, 2006)
  28. Sybil Farwell, 'Successful Models for Collaborative Planning,' Knowledge Quest, Vol.26, No.2(1998), pp.24-30
  29. Carol A. Doll. Collaboration and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Maryland The Scarecrow Press. Inc.. 2005)
  30. Patricia Montiel-Overall.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eacher and Librarian Librarian Collaboration (TLC).' School Libraries Worldwide. Vol.11, No.2 (2005), pp.24-48
  31. Gail Dickinson, Achieving National Board Certification for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s(Chicago : ALA, 2006)
  32. Carol A, Kearney, Curriculum Parter: Redefining the Role of the Library Media Specialist(London : GreenWood Press 2000)
  33. Shayne Russell, 'Teachers and Librarians: Collaborative Relationships,' Teacher Librarian, Vol.29, No.5 (2002), pp.35-38
  34. Carolyn S. Brodie, 'Collaboration Practices,' School Library Media Activities Monthly, Vol.23, No2(2006), pp.27-30
  35. 유소영, '정보교육과 학교도서관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26권(1994), pp.53-74
  36. 김효정, '한국 학교도서관 기준설정을 위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1권, 제1호(1997), pp.71-104
  37. 유소영, '초등학교 도서관교육과 그 과제,'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제33권, 제1호 (2002). pp.1-21
  38. 유소영. 2004. '정보이용능력 기준과 정보처리 학습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5권, 제4호(2002), pp.251-269
  39. 이병기. '학교도서관과교육과정의 통합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9권, 제2호(2005), pp.85-105
  40. 송기호 등, 독서를 통한 정보활용능력 가이드 개발: 초등학생용(서울 : (사)국민독서문화진흥회, 2005)
  41. 한윤옥, '학교도서관의 협동교수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9(1995), pp.257-279
  42. 함명식, 문헌정보교육학개론(대구 : 태일사, 2003a)
  43. 송기호, '교과학습과 연계한 학습독서의 실제.'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8권, 제1호 (2007a), pp.423-441
  44. 김연례,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활용능력 교육 수용 및 확산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45. 박영규,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교과 교육과정 모형(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4)
  46. 이병기, 정보활용교육론. (고양 : 조은글터, 2006)
  47. 이병기,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보활용교육과 도서관활용수업의 제도화,'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8권, 제1호(2007). pp.443-462
  48. 교육인적자원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서울 : 同부, 2007b), p.11
  49. 교육인적자원부, 초, 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서울 : 同부, 2005)
  50. 곽병선, '교과에 대한 한 설명적 모형 탐색.' 한국교육. 제14권, 제2호(1987), pp.162-163
  51. 서울특별시교육청 중등교육과, 인천광역시교육청 중등교육과 그리고 경기도교육청 평생교육과의 <학교도서관 이용 촉진 프로그램>자료를 분석한 것임
  52.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습능력향상을 위한 초등 독서지도 자료(서울 : 同교육청. 2005a)
  53. 서울특별시교육청, 중, 고등학교용 과학과 독서지도 매뉴얼(서울 : 同교육청. 2005b)
  54. Ray Doiron, Judy Davies. Partners in Learning: Students. Teachers. and School Library(Englewood Libraries Unlimited, 1998), p.5
  55. 노영희, 권재현,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에 대한 인식 및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2권, 제2호 (2007), pp.137-138
  56. 곽병선, '교과에 대한 한 설명적 모형 탐색.' 한국교육. 제14권, 제2호(1987), pp.162-163
  57. 한숭희, 평생학습과 학습생태계: 평생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서울 학지사, 2001)
  58. 조석희 등, 간편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연구(I)(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2001)
  59. ASLA. 2000. Policy Statement - School Library Bill of Rights. [on-line]. [cited. 2007. 10. 30.]
  60. 김효정, '정보사회에 있어서 사서교사의 위상,' 如然김효정박사화갑기념논문집(서울 : 1997a), pp.113-137
  61. 안인자 등, 학교도서관 사서교사(사서) 직무분석(서울 : 한국디지털도서관포렴, 2002)
  62. Joy McGregor. 'Collaboration and Leadership,' Curriculum Connections Through the Library(Englewood : Libraries Unlimited. Inc.. 2003)
  63. Lawrence Leonard & Pauline Leonard. 'The Continuing Trouble with Collaboration: Teachers Talk.' Current Issues in Education. Vol.6. No.15(2003). [online] [cited 2007. 05. 18.]
  64. Carol A. Doll. Collaboration and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Maryland The Scarecrow Press. Inc.. 2005)
  65. Carolyn S. Brodie, 'Collaboration Practices,' School Library Media Activities Monthly, Vol.23, No(2006), pp.27-30
  66. 김대현, '학교에서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한국교육. 20 (1993). pp.89-104
  67. Susan M. Drake, Rebecca C. Burns,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박영무, 강현석, 김인숙, 허영석 공역. 2006. 통합교육과정(서울 : 도서출판 원미사, 2004), p.21
  68. 명지원, '기존 통합교육과정의 한계와 그 극복으로서 홀리스틱 통합교육과정,'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지, 제10권, 제1호 (2006), pp.17-32
  69. 송민영, '홀리스틱 통합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 모색,' 홀리스틱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2007), pp.75-100
  70. 이영만, 홍영기, 초등통합교육과정(서울 : 학지사, 2006), p.27
  71. 나장함,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관점: 간학문적 접근의 영재 및 범재 교육에 대한 시사점,' 영재와영재교육, 제4권, 제1호 (2005). p.29
  72. 송민영, '홀리스틱 통합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 모색,' 홀리스틱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2007), pp.75-100
  73. 김대현, '학교에서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한국교육. 20 (1993). pp.93-94
  74. 이영만, 통합교육과정(서울 : 학지사. 2001). p.38
  75. Babara L. Stein. Risa W. Brown. Running a School Library Media Center: A How-To-Do-It Manual for Librarians. 2nd. ed. (New Yark Neal-Schumam Publishers. Inc.. 2002). p.95
  76. 장언효, '고차적 사고능력 신장을 위한 학교 학습과 수업,' 교육논총. 제18권, 제1호(1998). pp.59-72
  77. 박순경, '범교과 학습에 대한 이해.' 초등우리교육. 108(1999). pp.76-80
  78. Silvana Carletti, Suzanne Girard & Kathlene Willing. 1991. The Library / Classroom Connection. Ontario: Pembroke Publishers Limited
  79. Peter Milbury. 'Collaboration: Ten Important Reasons to Talk It Seriously.' Knowledge Quest, Vol.33. No.5(2005), pp.30-32
  80. 이영만, 홍영기, 초등통합교육과정(서울 : 학지사, 2006), pp.167-168
  81. Susan M. Drake, Rebecca C. Burns,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박영무, 강현석, 김인숙, 허영석 공역. 2006. 통합교육과정. (서울 : 도서출판 원미사, 2004), pp.67-96의 내용을 토대로 재구성함
  82. 김대현, '학교에서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한국교육. 20 (1993). pp.97-98
  83. 이병기,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보활용교육과 도서관활용수업의 제도화,'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8권, 제1호(2007). pp.443-462
  84. 박효정, 다중지능이론과 수업(서울 : 양서원, 2006)
  85. 이병기, 2006. 정보활용교육론(고양 : 조은글터, 2006)
  86. 개포고등학교, 학습자료 이용지도 프로그램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신장 방안(서울 : 同학교(서울시 교육청 지정 연구학교 운영보고서).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