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the Applicability of Waldorf Program as Educare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다문화 가정 유아 보육을 위한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 탐구

  • Cho, Sun-Hee (Division of Social Welfare.Educare, Yeungnam College of Science & Technology)
  • 조선희 (영남이공대학 사회복지.보육계열)
  • Published : 2007.10.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the possibility that Waldorf education may help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o acclimate themselves to new surroundings in Korea. An educare institution that had adopted the Waldorf Program since 2005 was selected. The parents and teachers of 13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who had attended the educare institution were interviewed. The questions were focused on linguistic development, social relationships, and cultural identity in order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and changes in the children before and after adaptation to the Waldorf Program.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Waldorf Program exerts a positive influence on linguistic development, the formul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and on the cultural ident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eywords

References

  1. 강도은 역 (2002). You Are Your Child's First Teacher. 서 울: 정인출판사
  2. 강상희 (1993). 발도르프 교육학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3. 곽노의 (1996) 발도르프유치원 교육이론과 활동 유아교육연구 16(1), 5-22
  4. 곽노의 (1997). 독일의 열린 학교: 자유발도르프 유치원. 열린유아교육연구, 2(1), 92-104
  5. 곽노의 (1999). 자유발도르프 유아교육. 서울: 밝은 누리
  6. 김미혜 (1983). 혼혈 청소년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성원(2001). Rudolf Steiner 의 유아교육론 연구. 대구가툴 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수연 (2001). 한국의 혼혈인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 학교석사학위논문
  9. 김정임 (2005). 발도르프 유아교육론과 리듬에 관한 연구. 영유아교육연구, 8, 41-59
  10. 김정임 (2006). 발도르프 유아교육에 대한 이해. 서울: 학지사
  11. 노충래, 홍진주(2006).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사회 적응실 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2, 127-159
  12. 류왕효 (2005). 발도르프 교육의 한국 보육 적용에서 초기 성 과와 문제점. 한국영유아보육학, 41 , 371-400
  13. 문채련 (2004). 유치원교사의 놀이개념에 관한 인식. 학교심리연구, 8(1), 17-40
  14. 문채련, 이소은(2006). 유아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5세 유아의 활동분석: 발도르프 프로그램과 생활주제중심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237-256
  15. 설동훈, 이혜경, 조성남 (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16. 엄옥진 (1999). 자유발도르프 유치원과 한국 유치원의 교육 비교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윤갑정, 고은경(2006).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의 한국 유 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6(2), 147-168
  18. 이미란 (2006). 취학전 갖추어야할 7가지 능력: 발도르프 장 애통합을 중심으로. 발도르프교육예술가 전문과정 주 말연수, 인지학연구센터. 7월 17일
  19. 이숙재, 이봉선 (2004). 영유아의 발달과 교육. 서울: 창지사
  20. 이정숙 (2002) 어린이들의 거친 신제놀이. 산학연구소 논문집, 22, 95-106
  21. 이정희 역 (2001). 정신과학에서 바라본 아동교육. 루돌프 슈타 이너 (1907). 과천: 반디 출판사
  22. 이정희 역 (2002). 새시대 새로운 영유아교육관을 말합시다. 행동하는 정신, 9, 58-65
  23. 이태상(2006).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기초 학습 능력 증진 및 문화 정체성 형성. 대구경북RHRD세미나 2006-07, 67-100
  24. 윤선영(2002). 발도르프 유아교육의 첫걸음-유아교사를 위한 안 내서-. 서울: 문음사
  25. 윤선영 (2004). 발도르프 리듬생활만들기. 서울: 문음사
  26. 정윤경 (2004). 발도르프 교육학. 서울: 학지사
  27. 정정희 (2006a) . 결혼이주여성 자녀교육방안. 대구경북 RHRD세미나 2006-07, 51-64
  28. 정정희 (2006b). 다문화 가정 자녀 학습지원 및 유초등 다문 화 이해증진. 결혼 이주여성 정착 및 자녀정체성 강화사업최종보고서, 97-168
  29. 정정희 (2006c). 다문화 시대를 대비하는 보육의 방향. 대구경북RHRD세미나 2006-03, 50-65
  30. 정혜영 (1997). 발도르프 학교교육의 사상적 이론적 기초: 슈 타이너의 인지학적 교육론. 교육학연구, 35(1), 1-16
  31. 전경화, 김지현 (2001). 유아문학을 통한 반편견 교육과 유아 의 반편견 인식조사. 부전대학 논문집, 22, 204-214
  32. 통계청. 인구동태통계연보, 각 연도
  33. 통계청 (2006). 2005년 혼인 . 이혼통계결과, 5, 7
  34. 한건수 (2006). 다민족 . 다문화사회의 도래: 국제결혼의 증 가를 통해본 한국사회의 과제. 대구경북 RHRD세미나 2006-07,1-14
  35. 한경아(1994). 한국 혼혈인의 실태와 문제. 효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한혜원(2002). 흔혈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관한 연구. 국민 대학교석사학위논문
  37. Dancy, R. B.(1989). 당신은 당신아이의 첫 번째 선생님입니다 (강도은 역). 서울: 정인출판사
  38. Gollnic, D. M., & Chinn, P.C.(1994). Multicultural education in s pluralistic society (4th ed.). NY: Macmillan College Publishing Company
  39. Herring, R. D., & Runion, K. B.(1994). Counseling ethnic children and youth from an Adlerian perspective. Journal of Multicultural Counseling & Development, 22(4), 215-226 https://doi.org/10.1002/j.2161-1912.1994.tb00255.x
  40. Lang, P.(2005). 취학 전 아동의 발달. 발도르프 영유아 교육예술가 전문교육세미나 2005-08
  41. Lindenberg, C.(1985). Waldorfschulen: Aanstfreilernen. selbstbewussthandeln. Hamburg
  42. MacDonald, K., & Parke, R.(1984). Bridging the gap: Parent-child paly interaction and peer interactive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55, 1265-1277 https://doi.org/10.2307/1129996
  43. Sassmanshausen, W.(1997). 발도르프유치원의 열린 그리고 자유로운 교육방안. 열린유아교육연구, 2(1), 61-72
  44. Singh, B. R.,(1994). Group identity, individual autonomy and education for human rights. Educational Studies, 20(1), 87-103 https://doi.org/10.1080/0305569940200107
  45. Steiner, R.(1927). Wie erlangt man Erkenntnisse der boeberen Welt?. Stuttgart: Verlag Freies Geistes Leben
  46. Steiner, R.(1948). Die Erziehung des Kindes vom Gesichtspunkte der Geisteswissenschaft. Stuttgart: Verlag Freies Geistes Leben
  47. Thorp, E. K.(1997). Children, 'race and racism: The limitations of research and policy.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9(4), 425-436 https://doi.org/10.2307/3120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