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 전문과목별 개원 의원의 공간적 분포 특성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linic Distribution by Specialty Subject

  • 발행 : 2007.06.30

초록

우리나라의 의료기관은 시설규모와 제공하는 진료과목 등에 의해 크게 의원, 병원, 종합병원으로 구분되는데 각기 입지적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특히 1차 진료기관에 해당하는 의원들은 병원시설의 설립과 운영을 모두 민간부문에서 담당하고 있어 그들의 입지선정에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적 부문의 입지원리가 작용하고 있다. 또한 진료 전문과목에 따라 환자의 발생 빈도나 의료서비스 선택의 선호도에 작용하는 요인에 차이가 있고, 요구되는 의료시설 및 장비의 자본 집약성에 차이가 있어 전문과목마다 각기 개원의원의 입지 선택이 다르게 이루어져 전문과목별 공간분포에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진료 전문과목별로 사적 부문에서 개원하는 의원들의 공간적 분포에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이러한 개원의원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서울지역을 대상지역으로 전문과목별로 개원하는 의원들을 대상으로 입지계수를 산출하여 공간적 분포패턴을 분석하였다. 특히 지역적 편중이 심한 성형외과 의원이 집중 분포하고 있는 강남구를 대상으로 집적과정을 미시적 접근으로 분석해 보았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edical hospital distributions in Korea. For the purpose we examine the inter- and intra regional variations in the distributions of clinics by specialty subject. In particular, we analyz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Location Quotients of clinics for 12 specialty subjects in Seoul. Medical services tend to be concentrated on the large cities, especially in the Metropolitan Seoul Area. In particular, clinics and medical doctors as well as large scale general hospitals have been strongly concentrated on the Metropolitan Seoul area. These circumstace may be related with the fact that medical hospitals are established and operated by private sector in Korea, and thus they attempt to find their location where they can get maximum profit.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clinics of 12 specialty subjects can be classified to several characteristic patterns. In particular, clinics of plastic surgeon tend to be strongly concentrated on the Gangnam area in Seoul. Finally, clinics of plastic surgeon tend to be located on the areas near the subway stations along the subway Line 2 and Line 3 in the beginning. The existence of plastic surgeons turns out to have significant role on determining the location for the newly opening plastic surgeons in the later. Therefore, their agglomeration has been getting more strong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