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도시권 설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linea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Region, Korea

  • 이희열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부 지리교육) ;
  • 주미순 (부산 다대고등학교)
  • 발행 : 2007.06.30

초록

본 연구는 부산을 중심도시로 하여 부산의 영향권에 포함될 수 있는 주변 배후지역의 범위를 파악하여 부산광역도시권을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대도시권 설정의 기준과 기존의 부산광역도시권 설정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중심도시 부산과 주변지역 간의 연계성은 통근율과 역통근율 지표를, 중심도시 주변 지역들의 도시성은 농가율, 전업농가율, 인구밀도, 도시적 토지이용율 지표를 이용하여 새로운 부산광역도시권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부산광역도시권은 부산을 중심도시로 하여 울산시, 창원시, 마산시, 진해시, 김해시, 밀양시, 양산시 등 7개 주변지역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변지역은 진해시, 김해시, 양산시를 포함하는 내측주변지역과 울산시, 창원시, 마산시, 밀양시를 포함하는 외측주변지역으로 구분되었다.

The newly adopted Korea Geodetic Datum (a.k.a. KGD2002) calls for massive reengineering work on geospatial dataset. The main focus of our study is placed on the strategy and system implementations of the required data reengineering with a keen attention to integrated approaches to interoperability, standardization, and database utilization. Our reengineering strategy includes file-to-file, file-to-DB, DB-to-file, and DB-to-DB conversion for the coordinate transformation of KGD2002. In addition to the map formats of existing standards such as DXF and Shapefile, the newly recommended standards such as GML and SVG are also accommodated in our reengineering environment. These four types of standard format may be imported into and exported from spatial database via KGD2002 transformation component. The DB-to-DB conversion, in particular, includes not only intra-database conversion but also inter-database conversion between SDE/Oracle and Oracle Spatial. All these implementations were carried out in multiple computing environments: desktop and the Web. The feasibility test of our system shows that the coordinate differences between Bessel and GRS80 ellipsoid agree with the criteria presented in the existing research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