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of the Reconstructi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with Freshfrozen Achilles Allograft and of the Second-look Arthroscopy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 후 2차 관절경소견

  • Yoo, Jae-Do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Mokdong Hospital, School of Medicine, Ewha Womens University) ;
  • Kim, Sung-I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Mokdong Hospital, School of Medicine, Ewha Womens University)
  • 유재두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목동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김성일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목동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Purpose: To assess the clinical results of ACL reconstruction with a fresh frozen Achilles allograft, retrospectively and the findings of the graft in second look arthroscopy. Materials and Methods: Twenty-eight ACL reconstructions using fresh frozen Achilles tendon allograf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between March 1999 and February 2003. The average age was 31.2 years old and the average follow-up was 16.6 months(range: 12-26 months). The clinical evaluation was done by KT-1000 arthrometer, Lysholm knee score, range of motion, Lachman and pivot-shift test. Results: In the last follow-up of Lachman test, 21 cases showed normal, 5 cases grade 1, 2 cases grade 2 and 1 case grade1. The results of pivot-shift test data, 23 cases(82.1%) were normal, 4 cases(14.3%) grade 1, 1 case(3.6%) grade 2. The mean maximum side-to-side difference was improved from 6.75mm preoperatively to 2.46mm in the last follow-up. Lysholm knee score was improved from 73.5 preoperatively to 91.6 in last follow-up. Re-rupture of the ACL graft was found in one case and one case of wound infection in the tibial incision was found. The 6 cases showed the good synovialization of the ACL graft. Conclusion: The anterior stability was restored with ACL reconstruction using fresh frozen Achilles allografts and the good synovialization was found in the second-look arthroscopy

서론: 전방 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 후 임상적 결과와 이차 관절경 소견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전방 십자인대 손상 환자에 대하여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 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3 1.2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16.6개월(범위: $12{\sim}26$개월)이었다. 수술 후 평가는 Lysholm 슬관절 점수, 관절 운동범위, Lachman 및 pivot-shift 검사, KT-1000 관절계를 통한 최대 도수 전위 검사상 차이를 측정하였다. 수술 후 1년 이상 경과 한 환자 중 8례에서 이차 관절경 검사를 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Lachman 검사는 정상 21례, 1등급 5례, 2등급 2례이었고, 3등급 1례가 있었다. Pivot shift 검사 상 정상 23례(82.1%), 1등급 4례(14.3%), 2 등급 1례(3.6%)로 호전을 보였다. 관절운동 범위에 제한이 있는 경우는 없었다. KT-1000 관절계를 이용한 최대 도수 전위 검사상 수술 전, 후 차이는 수술 전이 평균 6.75 mm였고, 수술 후 최종 추시 시 평균 2.46 mm였다. Lysholm 점수는 수술 전 평균73.5점에서 수술 후 평균 91.6점으로 호전되었다.(p<0.05). 합병증은 전방 십자 인대 재파열 1례, 경골부 이식건 고정부의 상처 감염 1례 있었다. 총 8례에서 이차적 관절경을 시행 할 수 있었으며, 검사에서 활액막 형성의 정도는 우수가 5례, 양호가 1례, 불량이 2례였다. 결론: 전방 십자인대 손상에서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여 전방안정성을 회복할 수 있었으며, 2차 관절경 소견에서 양호한 활액막 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