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pair

관절경적 후방 십자 인대 봉합술

  • Kim, Kyung-Tae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
  • Sohn, Sung-Ke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
  • Kim, Chul-Ho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
  • Kang, Min-So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
  • Lee, Chul-Wo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 김경택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손성근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철홍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강민수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철원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sults of arthroscopic primary repair of a posterior cruciate ligament(PCL) avulsion injury without bony fragment at the femoral attach sit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 1993 to Dec. 2002, we performed 10 cases of PCL repair by arthroscopic suture technique.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8.7{\pm}11$ months and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28.2{\pm}6$ years old. 8 cases were men. 2 cases were women. At last follow-up, all cases were evaluated with the Lysholm and Gillquist knee rating system and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criteria. Posterior tibial displacement on stress lateral radiograph and posterior instability with posterior drawer test were measured also in all cases. Results: The mean Lysholm and Gillquist score was $94.5{\pm}2.6$. 4 cases were IKDC A(normal) and the other 6 cases were IKDC B(nearly normal). Posterior instabilities by posterior drawer test were grade I in 5 cases and grade II in 5 cases. A mean posterior translation of tibia was $3{\pm}2.3$ mm on stress lateral radiographs. Conclusion: Arthroscopic primary repair of PCL avulsion without bony fragment at the femoral attach site is one of the useful methods that reduce the posterior instability and improve the functional outcomes.

목적: 후방 십자 인대의 골편을 포함하지 않은 대퇴 부착 부 견열 손상에 대한 관절경적 일차 봉합술의 추시 결과를 보고한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본원에서 관절경적 후방 십자 인대 봉합술을 시행한 13례 중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0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38.7{\pm}11$개월이었다. 평균 나이는 $28.2{\pm}6$세로 남자 8례, 여자 2례였다. 모든 예에서 최종 추시 시 Lysholm and Gillquist 점수 및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criteria를 이용하여 평가 하였으며, 후방 전위 검사로 후방 불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후방 부하 측면 방사선 사진으로 경골의 후방 전위를 측정하였다. 결과: Lysholm and Gillquist 점수는 평균 $94.5{\pm}2.6$,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criteria에 따른 결과는 4례에서 A(normal), 6례에서 B(nearly normal)이었다. 후방 전위 검사 상 5례에서 grade I의 후방 불안정성을 보였으며, 5례에서 grade II의 후방 불안정성을 보였다. 후방 부하 측면 방사선 사진에서 경골의 후방 전위는 평균 $3{\pm}2.3mm$ 이었다. 결론: 후방 십자 인대의 골편을 포함하지 않은 대퇴 부착 부 견열 손상에 대한 관절경적 일차 봉합술은 후방 불안정성을 줄이고 기능적 회복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