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d Production from Pond Cultured Cherry Salmon, Oncorhynchus masou (Brevoort)

육상수조에서 계대사육한 시마연어, Oncorhynchus masou (Brevoort)의 종묘생산

  • Seong, Ki-Baik (Yeongdong Inland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Kim, Kyung-Sik (Yeongdong Inland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성기백 (국립수산과학원 영동내수면연구소) ;
  • 김경식 (국립수산과학원 영동내수면연구소)
  • Published : 2007.02.25

Abstract

Seed production of the cherry salmon, Oncorhynchus masou (Brevoort) were studied in terms of egg development, hatching rate, juvenile growth, smolt duration, smolt rate, and adult growth rates. Fork length and body weight of $0^+$ juvenile were $9.32{\pm}1.19\;cm$ and $9.36{\pm}3.50\;g$ for females and $9.07{\pm}1.02\;cm$ and $8.57{\pm}3.04\;g$ for males, respectively. Body weights of $1^+$ smolt were $84.09{\pm}18.1\;g$ and $86.33{\pm}41.2\;g$ for females and males, while body weights of $1^+$ parr were $101.88{\pm}60.9\;g$ and $98.38{\pm}39.6\;g$ for females and males, respectively. Monitoring of gonadosomatic index (GSI) confirmed that maturations of both sexes were not synchronous; males achieved highest GSI in September, while females achieved it in October.

계대사육한 시마연어(Oncorhynchus masou)의 인공종묘생산시험에 관해 조사하였다. 1997년산과 1998년산 시마연어의 발안율은 각각 76.7%, 66.3%이고, 부화율은 24.3%, 20.2%였고, 부상율은 12.8%, 10.4%였다. 치어는 부화 후 22개월 만에 가랑이체장과 체중이 각각 27.4 cm, 체중 249.6 g, 28.1 cm, 체중 288.2 g으로 성장하였으며, 생존율은 21.2, 48.6%였다. 1997년산, 1998년산, 산천어의 상대성장식은 각각 $BW=0.0088FL^{3.0893}$, $BW=0.0076FL^{3.1248}$, $BW=0.0093FL^{3.0652}$로 나타났다. $0^+$어의 암수별 평균 가랑이체장과 체중을 보면, 체장은 각각 $9.32{\pm}1.19\;cm$, $9.07{\pm}1.02\;cm$이었고, 체중은 각각 $9.36{\pm}3.50\;g$, $8.57{\pm}3.04\;g$으로 나타났고 성비는 암컷이 34%를 차지하였다. $1^+$어의 smolt 된 암수의 평균 가랑이체장은 각각 $19.85{\pm}1.14\;cm$, $19.95{\pm}2.62\;cm$이고, 평균체중은 각각 $84.09{\pm}18.1\;g$, $86.33{\pm}41.2\;g$으로 나타났으며 성비는 암컷이 91.3%를 차지한 반면, parr의 암수 평균 가랑이체장은 각각 $19.60{\pm}3.79\;cm$, $19.81{\pm}2.74\;cm$, 평균 체중은 각각 $101.88{\pm}60.9\;g$, $98.38{\pm}39.6\;g$으로 나타났고, 성비는 암컷이 21.3%를 차지하였다. 생식선 숙도 지수는 10월에 최대값인 10.99를 나타냈으며, 수컷은 9월에 6.56으로 최대값을 나타내 암수의 성숙 시기가 달랐다.

Keywords

References

  1. Groot, C. and L. Margolis, 1991. Pacific Salmon Life Histories. Published in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of Canada, Department of Fisheries and Oceans, pp. 233-250
  2. Zar, Jerrold H, 1984. Biostatistical analysis, pp. 292-298
  3. 久保達郞, 1980. 北海道のサクラマスの生活史に關する硏究. 北海道サケマスふ化硏報, 34, 1-95
  4. 北海道立水産孵化場, 1984. サクラマスの 增養殖. pp. 7-14
  5. 西村 明, 畑山 誠, 1992. サクラマス仔稚魚における耳石日周輪 形成. 北海道立水産ふ化場硏報, 46, 9-16
  6. 小林美樹, 嚴見俊則, 岡田鳳二, 永田光博, 1988. サクラマスの生 態學的硏究. 北海道立水産ふ化場硏報, 43, 57-64
  7. 佐野誠三, 1982. サケマスの仲間. つり人社, pp. 61-69
  8. 杉若圭一, 1985. スモルト化時期におけるサクラマス幼魚の食性と 攝餌生態. 北海道立水産孵化場硏報, 40, 69-75
  9. 杉若圭一, 1991. 北海道北部河川におけるサクラマス幼魚のスモル ト化. 北海道立水産ふ化場硏報, 43, 29-40
  10. 박인석, 성기백, 홍관의, 노용길, 1996. 산천어의 2배체 및 3 배체의 산란시기전 형태적 특징. 수진 연구보고, 52, 37- 43
  11. 성기백, 문정웅, 김성철, 주태근, 1992. 산천어 양식기술개발시 험. 수진 사업보고, 91, 27-35
  12. 성기백, 홍관의, 이진호, 김찬섭, 엄광선, 백국기, 노용길, 1995. 시마연어의 양식기술개발 기초시험. 수진 1994년도 내수면연구소 사업보고서, pp. 93-98
  13. 성기백, 이진호, 백국기, 홍관의, 김경식, 엄광선, 1997. 시마연어 양식기술개발시험. 수진 1997년도 내수면연구소 사업보고서, pp. 160-161
  14. 양한춘, 박경양, 이창훈, 김기홍, 손철원, 방종득, 주수동, 1999. 양식생물질병. 교육부, pp. 102-106
  15. 정문기, 1977. 한국어류도감. 일지사, 서울, 727 pp
  16. 홍관의, 1999. 산천어의 종묘생산 및 성장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강릉대학교, 41 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