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urriculum of Department Security Secretarial Programs in Korea University

국내 대학 경호비서학과의 교육과정 특성에 관한 연구 -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 공배완 (경남대학교 법정대학 경호비서학부)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sis and measure on the curriculum of security programs in Korean university as the private security system. Civil security demand social safety life by the police protection and private security system. The private security or the civil guards shows rapid growth by the social developm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ut the supply and training system have some limitations in spite of the high demand guard-secretary. The main role of secretaries has been to accompany superiors in order to maintain their dignity or trait. Then the secretaries are required to play additional roles of safety managers such as a security manager, a protocol manager, an intelligence manager and a protective driver in order to overcome the domestic and the international safety environment and to elevate the quality of service as a competitive work. S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current situation of civil body and security guard training industry and to seek an educational model. For that, we examine in 'Do the professional training organizations meet social demand for the body and security guards'? And, 'What kind of training has to be provide for the body and security guards'? and 'What the qualifications of the trainers'? Then,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raining courses between private organizations and universities'? 'Is there differences in the job placement among the trainers of private organizations and universities'? etc.. Conclusion, the social demand common curriculum for the body and security guard will be drawn from the analysis of diverse training organizations with different training courses in contents, training periods, educational value, and social aim. Then we have to a standard curriculum for the successful training education system to provide social security.

경호학과 또는 경호비서학과로 명칭 되는 민간시큐리티의 학과설치는 시민의 안전의식 증대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사회치안활동에 대한 경찰력의 물리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조치로서 안전 전문인력 양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시민의 안전지킴이로서 시큐리티 전문요원을 양서하기 위한 관련학과의 설치는 1995년을 기점으로 하여 2006년 현재 전국적으로 63개 대학(2년제, 4년제 포함)에서 설치${\cdot}$운영되고 있다. 물론 학과의 명칭은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학과가 추구하는 공통목표는 민간인에 의한 대민안전서비스 활동이다. 민간인 또는 민간기관에 의한 사회범죄예방 및 생활안전서비스는 이미 선진국에서는 보편화되어 사회의 중추적인 안전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경찰력인 공경비와의 보완적인 관계에서 독자적인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대학교육체계의 확립이 미흡한 실정이며 이로 인한 전문교육의 정착도 민간경비산업의 발달에 부응하지 못하는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특히 현실적인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전문교육기관인 대학에서 전문 인력의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본질과 차이성에 대한 분석을 함으로서 전문인력의 양성체계와 사회적 수요문제의 적합성을 논하려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