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eliminary Study of Developing Integrated Supportive Service Works for the Families of Disabled Children Focus on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장애아가족 통합지원서비스 사업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to develop integrated supportive service works for the families of disabled children registered in the D-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The service works are intended to improve family members' health and their growth potentials, and cover service programs of family education, counselling, culture solidarity, and information networks. There are two topics covered in this study; first, this study is to develop integrated supportive service programs for the families of disabled children, and second, the study is also to construct comprehensive strategies and plans for effective services after evaluating practical service programs. In this study, 31 families with one or more disabled children have been selected through stratified random sampling, and all the family members were observed for program effects of integrated service items developed from previously validated indices. For analysis, eight question items were made for interview and each item denotes satisfaction score ranging from 1(very dissatisfied) to 5(very satisfied) on the Likert's five point scale. Mean value of each item was counted after the program, and satisfaction scores were compared over the programs implementation. Overall, the satisfaction scores range 4.1 to 4.6, indicating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over most service program. Therefore, it is finally proposed that a longitudinal strategy model offer high quality service programs consistently for the target families, as a goal of achieving comprehensive cooperation and support exchanges between community and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be schematized.

Keywords

References

  1. 김은서. 박승희(2007). 정신지체 자녀 양육이 가족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정서. 행동장애연구, 23(4), 263-289
  2. 김정진(2003). 정신장애인 가족의 자원유형 및 지지정도와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가족지원모델 실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2004. 719-742
  3. 문경도(2006). 장애인 가족 가족역량 강화를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기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변보기. 전은석(2006).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및 가족지원에 관한 연구 - 자폐아동부모를 중심으로 -. 교육의 이론과 실천, 11(2), 71-88
  5. 손유니(2001). 능력 강화를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신지체 학교 초등부 학부모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양옥경.김연수(2003).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부모역할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논집, 11, 115-147
  7. 오세철(2006). 장애아동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 및 만족에 미치는 관련 변인 분석 연구. 한국지체부자유유아교육학회지, 48, 15-29
  8. 오혜경. 전혜연(2004). 장애아동 부양가족의 양육부담 및 가족지원욕구. 한국가족복지학, 9(1), 7 9-100
  9. 윤종희. 김리진. 하수민(2006). 건강가정지원 서비스에서 가족-중심 개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통합 장애아 가족을 대상으로 한 생태학적 접근. 인간발달연구, 13(1), 15-22
  10. 윤종희(2006). 건강가정지원 서비스에서 가족-중심 개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 통합 장애아 가족을 대상으로 한 생태학적 접근. 대한가정학회지, 44(4), 191-205
  11. 이기영. 조희금. 정민자. 송혜림. 이승미. 성미애. 이현아(2004). 가정의 건강성 증진을 위한 정책개발 연구.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위탁연구 자료집
  12. 이금섭. 송미화(2007). 가족기능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자폐성 장애 유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정서. 행동장애연구, 23(3), 477-507
  13. 이제화. 김상복(2007). 정서 및 행동문제를 가진 아동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분석-1997년에서 2007년까지 국내외 연구 중심으로. 정서. 행동장애연구, 23(4), 29-52
  14. 전귀연. 김수경(2005). 장애아동 가족지원 서비스 요구 및 만족도 조사. 대한가정학회지, 43(5), 57-79
  15. 전혜인(2005). 부모결연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아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효능감 및 가족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전혜인. 박지연(2004).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의 가족지원에 관한 문헌 고찰:1995년-2004년의 연구를 중심으로. 정서. 행동장애연구, 20(4), 117-137
  17. 정민정(2007). 우리나라 장애아동 가족복지 정책의 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2(4), 37-59
  18. 정방자. 최경희(1995). 건강한 부모-자녀관계를 위한 정신역동적 연구. 영남대 학생연구, 1-12
  19. 조희금. 김경신. 정민자. 송혜림. 이승미. 성미애. 이현아(2005). 건강가정론. 서울:신정
  20.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8).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가이드북
  21. 최선희(1999). 한국인의 가족 건강성 영역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한현정. 김혜영(2003). 장애아동 가족지원서비스의 실태 및 요구조사. 한국가족복지학, 8(2), 137-162
  23. Cornwell, J. & C. Korteland,(1997). The family as a system and a context for early intervention. In Thunman, S. K., J. R. Cornwell & S. R. Gortwald(Eds.). Context ofearly interventionsystems & settings. Baltimore: Brookes Pub. Co., 93-110
  24. Cowen, E(1985). Person-centered approached to primary prevention in mental health: Situation focused and competence-enhancement.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25. Delaney, E. M. & Kaiser, A. P.(2001). The effect of teaching parents blended communication and behavior support stretegies. Behavior Disorders, 26, 93-116 https://doi.org/10.1177/019874290102600201
  26. Dunst, C., Trivette, C., Davis, M. & Cornwell, J.(1988).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Help-Giving Practices. Children's Health Care, 17(2), 71-81 https://doi.org/10.1207/s15326888chc1702_2
  27. Dunst, C., Trivette, C. & Thompson. R.(1991). Supporting and Strengthening Family Functioning: Toward a Congruence Between Principles and Practice. Prevention in Human Services, 9(1), 19-43 https://doi.org/10.1300/J293v09n01_02
  28. Dunst, C., Trivette, C. & Deal A.(1994). Supporting & Strengthening Families. Cambridge, MA: Brookline Books
  29. Olson, D, H., & DeFrain, J(2003). Marriage and Families: Inbimacy, Diversity, and Strength(4th ed). Mountain View, CA.: Mayfie이 Publishing Co
  30. Tumbul, A. P., & Tumbul, H. R.(2006). Families and Exceptionality(5th 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Prentice Hall
  31. William, L. H.(2006). Exceptional Children(8th ed.). Pearson Education, Inc, Prentice Hall. 김진호.박재국.방명애.안성우.유은정.윤치연.이효선 역. 서울:시그마프레스